일본 “사립대학연맹”(도쿄)이 실시한 한 대학생 실태 조사에서 대학 시절에 장래를 위한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갖추고자 하는 학생이 늘어나고 있다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대학 전입시대로 인해 전문성을 갖추지 않으면 취직할 수 없다라고 하는 위기감이 있다.”라고 전문가는 배경을 분석한다. 종전의 대학생활에서 중요시 하던 "취미, 놀기”보다는 “지식, 기술”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같은 조사는 4년마다 실시하여, 이번이 12회째이다. 작년 9월~10월에 가맹된 사립대 123개교의 학생 약 1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122개교 6639명의로부터 회답이 있었다.
대학에 입학해서 좋았던 점을 묻는 질문에서는 두 번째로 회답이 많았던 “지식이나 기술을 갖추게 되었다.”(58.7%)가 전회 조사보다 4.8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비해서 3위의 “취미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39.6%)가 5.6포인트, 4위의 “놀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21.7%)는 2~4포인트 각각 전회 조사 수준을를 밑돌았다. 대학 진학 목적에서도 “전문적인 지식, 기술을 갖추고 싶다.”가 전회를 웃돈 것에 비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서.”, “자유로운 생활과 청춘을 즐기고 싶다.”는 각각 밑돌았다.
1개월간의 지출 내용을 보더라도 자격 취득을 위한 학원이나 전문학교 등에 내는 “더블 스쿨비용이대”가 18,100엔으로 3500엔 증가했다. 학습 자료대도 1300엔 증가한 7400엔으로, 배움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가 엿보이는 결과였다. 조사를 담당한 나카가와 교수(리쓰메칸대 사회학)는 “대학에 들어가기 쉽게 됨으로써 ‘대졸’이라는 졸업장의 가치는 저하되고 있다.”라고 말하면서, “이제는 무엇을 배웠는가라는 질문을 받는 시대가 되어, 대학시절을 유예기간으로 생각하는 학생들이 줄어들었다.”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살아남기 위한 경쟁을 해야하는 대학도 학생을 확보하기 위해 실천적인 매력이 있는 수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문부과학성에 의하면, 교원연수 등을 행하는 대학은 해마다 늘어나 2005년에는 전 사립대의 8할이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강의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를 보면 “교수진”, “교육 과정의구성”, “수업 내용”, “세미나 등의 소인수 교육”, “시설,설비”의 모든 항목에서, “대단히 만족한다” “만족한다”를 합한 비율은 각각 전회를 4.2포인트에서 6.7포인트 웃돌았다. 이같은 결과는 대학측의 노력이 어느 정도 인정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서 오비린대학교 대학원(고등교육론) 시오키교수는 “대학 전입시대가 가까워지면서 결과적으로는 대학이 교육에 열심하게 되고, 학생도 공부하는 대학 본래의 모습을 찾게 된 면이 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