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사회공부는 친밀한 사회 문제로부터 출발해야

의류를 살 때의 기준은 무엇인가? 하와이 여행 대금이 시기에 따라서 다른 것은 무엇때문인가?  일본 중학교 공민 교과서는 이런 예를 들면서, 경제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기 쉽게 하려고 연구를 하고 있다. 4인 가족의 저금이 60만엔 있다. 제국 서원의 교과서는 이 돈의 용도가 테마이다. 각각의 희망을 합계하면 305만엔 필요하여 다 구입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가족이 서로 이야기하여 40만엔을 여행에 사용하고, 나머지의 20만엔은 저금한 채 두기로 했다.

경제라고 하는 행위는「돈이나 물건, 서비스 등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즉, 보다 좋은 경제적 선택을 생각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신슈 대학 쿠리하라 준교수(경제 교육)에 의하면, 이전에는 생산·유통·소비라고 하는 물건의 흐름을 중심으로 기술한 교과서가 많았다고 한다. 그런데,, 학습 지도 요령의 개정으로 93년도 교과서부터「무엇인가를 손에 넣을 때, 무엇인가를 포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라고 하는「선택」의 개념을 나타내는 기술이 증가했다. 이것은 경제의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

「경제적인 견해는 장차 살아가는 힘으로 연결된다. 확실히 몸에 익혀 풍부한 인생을 살아가면 좋겠다」고 쿠리하라씨는 이야기한다. 가계나 재정 등 뿐만이 아니라 텔레비전을 볼까 공부를 할까, 취직인가 진학인가, 라고 하는 일상적이며, 인생의 문제도 선택의 관점으로부터 분명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 나라 중학교의 경우 사회 과목은 재미없는 과목으로 전락하고 있으며, 점수도 낮은 것이 현실이다. 과외를 받기 위해 노력하는 과목도 아니기에 더욱 그러하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의 사회 과목을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