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명의 아이가 있다. 할아버지와 같이 사는 승산이, 쌍둥이 인 정기, 정상이 그리고 유일한 홍일점 민희. 네 아이가 있는 곳은 시골의 작은 분교 1학년 교실이다. 이들은 오학년 언니 5명과 함께 생활한다.
3월 입학을 한 후 며칠이 지난 어느 날 보건소에서 보건소장님과 여자 선생님 한 분이 분교를 찾아오셨다. 1학년 아이들 혈액형 검사를 하시기 위해서였다. 4명 중 번호가 1번인 정기가 손톱 밑을 바늘로 찔러서 피 한 방울을 채취하였다.
“아야”하는 짧은 비명이 정기 입에서 나왔다. 다음은 형보다는 조금 엄살이 덜 한 정상이가 선생님 앞에 서서 의젓하게 검사를 마쳤다. 걱정했던 승산이 차례가 되었는데 갑자기 승산이가 자지러지면서 울기 시작했다. 달래보았지만 울음을 멈추게 할 수 없었다. 결국 민희가 먼저 혈액형 검사를 마치고 다시 승산이를 시도해보았지만 할 수가 없었다.
우리 반에서 가장 작은 아이인 승산이에게는 엄마가 안계신다.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초등학교 입학전까지 여러번의 예방접종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예방주사를 맞는 그 끔찍한 아픔과 고통의 순간을 아이들이 금방 잊고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은 엄마의 위대한 사랑의 힘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엄마가 없는 아이들은 그 아픔을 희석시켜줄 그 무엇이 없었기에 아픔의 기억이 깊게 깊게 각인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강행할 수 가 없었다.
그렇게 3월이 지나가는데 4월 하순 경 뇌염예방 접종을 한다고 예고가 되었다.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여러번에 걸쳐서 아이들에게 이야기하였다.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반짝이면서 귀를 쫑긋 세우고 듣고는 있지만 우리 1학년 아이들이 잘 이해하지는 못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바늘이 없는 모형 주사기를 가지고 왼팔을 걷고 주사를 맞는 실습을 해보았다.
하나, 고개는 주사를 맞는 팔의 반대쪽으로 돌린다. 둘, 눈을 감고 맞는다. 셋, 다른 사람이 맞는 것을 쳐다보지 않는다. 등
장황한 설명과 함께 여러 번에 걸친 실습을 실시해보았다. 이 모든 것이 작고, 눈물이 많고, 여리기만한 아이 승산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었다.
4월 어느 날 하얀 가운을 입은 두 분이 학교에 오셨다. 주사를 맞기 시작했다. 정기, 정상이 그리고 3분 선생님이 같이 우려하고 있는 승기 차례가 되었다. 그러나 우리 승기는 용감하였다. 그리고 학교가 승산이를 위해 준비되었던 주사교육프로그램의 결과는 위대하였다.
조금은 겁먹은 표정이었지만 승산이는 자기의 순서 때 교실에서 해보았던 대로 고개를 돌리고 눈을 감고 그 어려운 순간을 견디어내는 것이었다. 주사를 맞는 순간 조금은 찡그리던 얼굴이 “이제 다 되었다.”라는 의사선생님의 말씀에 앏게 웃음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러면서 나도 해냈다는 자신감이 넘치는 표정이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눈에 선하다. 그렇게 승산이는 어려운 인생의 한 고비를 넘긴 것이다.
그로부터 한 20일쯤 지난 어느날 갑자기 연락도 없이 ‘대전 건강검진협회’라는 곳에서 두 분이 찾아오셨다. 주섬주섬 장비를 보건실 대신에 사용하고 있는 도서실에 설치를 하시고는 1학년 아이들을 대상으로 심전도검사와 빈혈 검사를 하신단다.
분교장이 본교에 전화를 걸어 이분들이 오신 것을 알리고 검사에 응해야하는 지를 문의하였다. 그런데 그날 마침 본교의 보건선생님께서는 옆의 보건선생님이 계시지 않는 다른 작은 학교에 순회교육을 가셨다고 한다. 잠시 후에 교감선생님의 연락을 받은 보건선생님의 전화가 왔다. 깜박 잊고 미처 연락을 드리지 못해서 미안하다는 말씀이었다.
검사는 시작되었다. 심전도 검사는 쉽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검사요원으로 오신 남자 분이 자신감과 패기가 넘치는 젊은 분이라 무척 보기는 좋은데 그것이 우리 아이들을 겁에 질리게 하는 것이었다.
“선생님 그렇게 크게 말씀하시면 아이들 겁 먹습니다.” 주의를 요하는 말씀을 드리지 않을 수 없었다.
빈혈검사는 예방주사와는 다르게 많은 양의 피를 그 여리고 작은 팔에서 뽑아내는 것이었다. 선홍빛이 감도는 붉은 피가 주사기를 통해 뽑혀져 나오는 모습은 세상살이에 닳아질대로 닳아진 47세의 아저씨인 내가 보기에도 눈살이 찌푸려지는 광경인데 이제 막 세상에 첫발을 디디는 우리 병아리들에게는 얼마나 큰 아픔일까?하는 생각에 가슴이 괜히 애려온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 4명의 아이들은 용감했다. 세상살이가 시들해져버린 내가 보기에도 우리 아이들의 용감한 행동은 감동을 주는 것이었다. 또한 그 용감한 행동 가능케 한 것은 아이들을 한 단계 더 성숙시킨 학교라는 울타리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 같다.
몸무게가 20㎏도 못나가는 아이가 5㎖가 넘는 피를 뽑으면서도 울음 한번 울지 않고 그 어렵고 힘든 의식을 거뜬하게 치러내는 것을 보면서 나는 교육자로서 또 한번의 희열을 맛볼 수 있었다. 그 젊은 선생님에게 부탁했다. 빈혈검사를 위해 뽑은 피를 가지고 우리 승산이 혈액검사까지 좀 해달라고.
그 혈액 검사의 결과가 온산에 녹엽이 넘쳐나는 5월의 마지막 날 통보가 왔다. 승산이는 O형이란다. 한방울의 피를 채혈하는 의식도 참여하지 못했던 우리 승산이가 초등학교 물 먹은지 2개월만에 무지무지하게 의젓해졌다. 어른이 다되었다.
그런 이야기를 교장선생님과 나눌 기회가 어제 있었다. 교장선생님 왈 “위대한 교육의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