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1983년에 국가수월성교육위원회가 <국가 위기>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가 경쟁력의 기본인 두뇌 경쟁력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한 내용이다. 이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89년 부시대통령은 지적재산 경제의 발전을 위하는 취지의 ‘목표 2000’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미국 학생들이 수학.과학 등 창의적 두뇌 생산성 분야에서 세계 최고가 돼야 한다는 확고한 목표를 설정했다.
최근에는 창의적인 우수 두뇌를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CEO에 대한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되어 미국에서 창의력 교육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더욱이 미국은 창의적 우수 두뇌의 국내 양성에만 그치지 않고, 외국으로부터도 인재들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 우수 두뇌에 대해서는 이민에서도 최고의 우대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일본도 우수한 인재를 해외에서 유치하기 위하여 도쿄대학을 비롯하여 유명 대학들이 해외 사무소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우수한 이공계 학생들이 대학원 석사과정만 마치고 취업하게 되면 연구 현장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염려하여 석사를 1년동안에 마치고 박사과정으로 바로 갈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나라 경제를 걱정하는 목소리, 기업의 경쟁력을 걱정하는 목소리들은 많지만 정작 이에 대한 좋은 해결 방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먼저, 우리가 살아온 농업사회, 산업사회에서는 국가 자산 가운데 논밭과 공장에서 생산되는 유형자산이 70% 이상이었다면, 오늘날처럼 지식기반사회인 미국의 국가 자산은 70% 이상이 무형자산이라는 것이다. 즉 머리에서 생산되는 지적재산인 것이다. 실제로 빌 게이츠는 오직 지적 재산만으로 세계 최고의 갑부가 되지 않았던가.
어떻게 보면 오늘 우리 경제의 어려움도 본질적으로는 우리 국민의 지적 재산 생산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경제 살리기의 근본 대책도 무엇보다 두뇌 생산성을 높이는 창의력 교육에 두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창의력 교육이 그렇게 쉬운 것인가? 창의력을 기르기 위한 목표는 설정한다 하여야 진정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지 방법을 알기가 어렵다. 그러나 틀에 박힌 교육만으로는 불가능하다.교육 현장이 유연성을 가지고 창의력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