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베 수상이 내거는 「교육 재생」의 모델로서 1980년대부터 영국 대처 수상이 단행한 교육개혁을 주목하고 있다. 아베 수상은 그의 저서에서 영국 대처 수상의 교육개혁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교육 수준의 저하 등, 당시의 영국과 현재 일본이 안고 있는 교육 과제가 닮은 점이 많기 때문이다. 문부과학성은 11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도쿄 내에서 심포지움을 열어 영국의 교육 담당자 등의 소리를 들을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다.
영국에서는 1988년에 학력이나 교원의 질의 저하에 대응하는 교육개혁법이 성립하였다. 그 결과로 전국 공통 커리큘럼의 작성이나, 7세, 11세, 14세를 대상으로한 전국 공통 테스트를 실시하고 학교별 성적을 공표한 바 있다. 또, 독립 기관으로 교육 수준국이 장학관을 파견해 학교를 평가하여 수준이 낮은 학교에는 정부가 개입해 지원 대책을 강구했다.
11월의 심포지움에서는 영국의 교육 수준 국장 경험자나 전국 공통 테스트의 작성·실시 기관의 담당자가 추진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일본, 미국, 영국 등의 학교장에 의한 학교 평가의 실천 보고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