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잡지 뉴스 위크지는 지난 달, 「세계의 대학 100교」를 선정 발표했다. 매년 이 시기에는 미 잡지 US 뉴즈·앤드·월드·리포트도 「전미 최우수 대학」을 게재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랭킹은 어떤 기준으로 선택되어 어떤 영향력을 가지게 될 것인가가 주목된다.
지난 달 13일에 발표된 뉴스위크지의 랭킹에서는, 상위 10교가 모두 미국과 영국의 대학에서 차지하고 있었다. 일본에서는 5개 대학이 들어갔다. 도쿄대학이 16위로 아시아지역에서는 톱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국 런던대, 미 코넬대 등의 명문교가 도쿄대학보다 하위로 내려가 일본에서는 어느 정도 분발했다는 평가를 하고 있는 것 같다.
이 랭킹으로 도쿄대학 보다 한 순위 위인 15위를 차지한 미국 프린스톤 대학은 동 18일에 발표된 US 뉴즈 잡지의 베스트 컬리지에는, 과거 3년 동안 동률 선두를 지킨 하버드대를 따돌리고 단독 톱이 되었다. 양 평가의 차이는 무엇인가?
우선 뉴스 위크지의 평가는, 지금까지 같은 대학 랭킹을 선택해 온 영국 더·타임지와 중국·샹하이 교통 대학의 평가에 독자적인 분석을 더한 것이다. 결과는 가지각색이지만, 모두 대학의「연구력」을 등급 설정하는 점에서 공통으로 하고 있다.
샹하이 교통대의 경우, 노벨상과 피르즈상의 수상자 수, 영국 네이쳐 잡지와 미 사이언스지의 게재 논문 수, 미 문헌정보회사 「톰슨 사이언티픽사」가 메기는 유력 연구자의 수 등 6개 항목의 점수르 합하여 산정하고 있다. 더·타임즈도 거의 같지만, 단순한 수상자 수나 논문수의 점수화가 아니고, 연구시설의 인원수가 차지하는 비율로 비교하고 있는 점 등이 다르다. 뉴스 위크지는, 양자의 항목의 일부에, 도서관의 규모라고 하는 독자적인 요소를 추가하고 순위를 결정했다.
한편의 베스트 컬리지는 대상이 미 대학에 한정되어 있고, 입학생의 성적, 졸업률, 재무 상황 등을 기초로 결정하고 있어 연구 평가보다도, 수험생에게 있어서의 「대학 선택」의 기준으로서 도움이 되고 있다. 우수한 학생 모으기에 분주 하는 대학 측으로 볼 때 이쪽의 랭킹이 더 신경이 쓰일지도 모르다.
몇 년 전, US 뉴스의 전 편집 담당자가 「데이터에는 문제가 있다」라고 고백해, 신뢰성에 의문도 제기되었지만 각 대학 모두 매년, 이 순위 변동에 관심을 기울일수록 영향력은 더 커진다. 연방 정부의 예산 배분 결과와 서열이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고 하는 보고도 있을 정도다.
「가장 유력한 조사에서, 보다 상위가 되도록 전략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캘리포니아대샌프란시스코교)는 견해도 보이고 있다. 일본의 대학도 순위에 들어가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평가의 내용을 잘 알고, 정당한 평가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 일본 학계의 견해이다.
이같은 자료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우리 나라도 대학의 질 관리 시스템이 세계에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확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의 질 관리 시스템은 구축을 위해 고등교육 제도 운영을 위한 제 관행을 국제화해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평가가 국내의 평가기준에 안주하지 않고, 국제 표준(Global standard)을 고려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우리 나라 대학의 국제적 위상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글로벌 지식 생산체제의 확산은 피하기 어려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외국 대학의 유입을 야기할 것이다. 우리 나라 대학들도 외국에 진출하여 운영하는 등 시장의 국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발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