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대학 교양과목으로 현장 체험 실시


미래 국가의 장래는 머리로 먹고 사는 지식 산업의 경쟁력을 이끌어 내는 지식 창출과 인적 자원의 질적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 바로 대학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대학을 졸업한 인재는 많아도 제대로 써 먹을 인재가 없다는 것이 경제계의 지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 방법은 보다 많은 연구를 하여야 한다. 학생들에게 보다 일찍 일터를 이해하고 직장에 적응하는데 무엇이 필요한 것인가를 깨닫게 하고자 다양한 노력들이 대학에서 시도되고 있다.

도쿄수도대학에 갓 입학한 1학년생 3명은 도쿄 동부에 위치하며 약 250만 명에게 음료수를 공급하는「수도물 제조 공장」을 무대로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8월 22일부터 8일 동안 인턴십을 시작했다. 3일째에는 직원과 같은 청색의 작업복에 청색 헬멧차림으로 젊은 직원에게 안내를 받아 약품 주입소의 지하 2층에 있는 기화기실에 들어가 액체 염소를 기화하는 작업을 한다. 3명은 얼굴에 흐르는 땀도 아랑곳없이 기화기와 연결되는 배기관에 장착된 압력계를 분리하여 청소와 점검을 한 뒤에 다시 달았다. 염소가스가 새었을 경우에 사용하는 호흡기의 착용법도 배웠다.

카나마치 정수관리사무소 기술과 아키야마 계장(59살)은 「염소를 취급하는 작업은 힘들고 위험도 수반하지만, 관리를 게을리 하지 않고 순서를 제대로 지키면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어떤 일에도 공통되는 것입니다」라고 건네주었다. 「1학년 때부터 인턴십을 체험할 수 있는 일도 수도 대학 도쿄를 선택한 이유의 하나」라고 정수장 일을 체험하고 있는 시스템 디자인 학부 타시로씨(19살)가 이야기 한다.

구도립대 등을 통합해 작년 봄 탄생한 수도대는 첫 해부터 「현장 체험형 인턴십」을 1학년부터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교양 과목을 설치하였다. 작년에는 411명이 이수하였고, 금년은 809명이 등록했다. 금년도 등록자 중 1학년은 720명으로 1학년생 전체의 4할을 차지한다. 주요 인턴십 파견처는 도쿄도의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287곳이나 된다.

이 과정에서는 인턴십 의의나 파견지에서의 매너 등을 배우는 「사전 지도」와 실시 후에 성과나 향후의 과제를 그룹별로 서로 이야기 한다. 또 발표하는 「사후 지도」도 있어 체험 기간 중 학생들은 매일의 활동 종료 후에 반성점이나 감상 등을 기입한 실습록을 만들어, 파견처의 지도자에게 확인을 받는다. 모든 기간이 종료하면, 800-1000자 정도의 보고서를 제출한다. 특별한 이유 없이 결석하면 단위는 받을 수 없다.

수도대의 현장 체험형 인턴십 부회장을 맡는 도시환경학부 니시무라 교수(53살)는 「최근의 학생은 문제 발견 능력이나, 대인 관계의 능력, 창조성도 저하되고 있다. 1학년 때부터 실습을 통하여 이러한 능력을 닦으면 좋았다」라고 목적을 말한다. 처음엔 전원 필수로 하는 구상도 하였었지만, 「흥미가 없는 학생을 보내도 본인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고, 실습하는 곳에도 폐가 된다」라고 미루었다.

작년도에는 실습을 마친 후에 파견처에 업무개선 제안도 했지만, 금년은 그만두었다.「실습처의 과제보다 스스로의 과제를 생각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싶었기 때문」이라 하였다.

학생들이 느낀 현장의 분위기는「직원들은 모두 「실패가 용서되지 않는 장소다」라고 입을 모으고 있었다. 책임이나 자부심을 느끼고 일을 하고 있는 것을 잘 알게 되었다」라고 참가한 소감을 이야기 했다. 다른 한 학생은 타 대학의 학생보다 한 발 빠른 체험을 함으로 대학에서 무엇을 배워야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고 하였다.

문부과학성의 조사에서, 단위 인정 과목으로서 인턴십을 실시한 대학은 2004년도 418교(59.0%)이며, 학년으로는 3학년(75.7%)의 여름방학(82.7%)이 가장 많다. 실시 기간은 1주간 이상 2주간 미만이 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2주간 이상 3주간 미만이 4분의 1 수준이었다. 조사를 시작한 1996년도의 실시율은 17.7%였다. 현재는 단위와 무관하게 인턴쉽을 하는 학생도 급증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