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교육의 주인은 교원이다

오늘날 세계는 지구촌화되고 정보화의 진전과 지식의 폭발적 증가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교육은 지식 교육에 편중되어 있고 그것도 교실 중심이며, 교사 중심이고 주입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의 혁신이 필요하다.

혁신이 아무리 강조되어도 교육 분야는 다른 분야와 달리 갑자기 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제부터의 교육은 장기적인 관점, 평생교육 관점에서 교육 이념 및 방향을 정립하여 실천하는 일이다. 올바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의 실천 결과를 꾸준히 분석하여 개선하여 나가도록 하는 일이다.

의무교육 단계인 초·중학교에서는 한국인으로서 필요한 기본적 자질과 능력을 갖추게 하여 세계에 통용될 수 있는 인재가 되도록 길러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교육은 ‘모든 이’를 대상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교육활동이 전개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교육개혁은 언제나 ‘자식 교육’만의 문제이며 ‘어른들의 교육’에 대한 언급은 언제나 뒷전으로 밀려나 있었다. 지금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식 교육은 대학 입시만 치루고 나면 평생 동안 한 번도 써보지 못하는 지식이 수두룩하다. 그것은 개인으로 보나 국가로 보아서 엄청난 에너지의 낭비요 손실에 해당한다. 이러한 교육은 점진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것은 작업 중심, 토론 중심, 경험 중심, 학습중심, 자발적인 학습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학생은 자기의 취미와 능력과 개성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의 재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추어 학교의 교육력이 살아나는 학교로 나가야 한다. 좋은 성과를 거두려면 무엇보다도 교육의 핵심에 서 있는 교원이 손님이 아닌 주인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일이다. 최근 교육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마치 학생이 주인인 것처럼 비쳐질 때가 많다. 어디까지나 학생은 교육과정을 통과하여 서비스를 받고 가는 고객이다. 환자가 아무리 오랫동안 병원에 머물면서 많은 돈을 들여 치료를 받아도 주인이 될 수는 없다.

학교교육에서 주인과 고객의 입장을 확실히 하여 주인들이 깨어나야 교육이 변화할 것이라 확신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는 아이들에 대한 사랑과 미래를 열어보는 안목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실천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학교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도 다 해결하면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