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우리 나라에서 선거철을 맞이하여 새롭게 들려오는 단어가 매니페스토가 아닌가 한다. 이 용어는 선거 전략에서 자기가 실천하고자 하는 공약을 표현하는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어가 교육에서도 도입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일본 이가시 교육위원회는 5월 15일, 시내에 소재한 공립 초․중학교, 유치원 등 총 40개에 이르는 교육기관이 각 학교별 학교 운영 목표 등을 나타낸 「학교 매니페스토」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교가 학습이나 학교 생활에 대해 구체적인 수치 목표를 내걸고 있다. 앞으로 시 교육위원회는 학교 매니페스트를 보호자에게 공개하고 학생에게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여 달성도의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라 한다. 학교 운영의 목표나 평가를 수치화한 평가 시스템은 이미 요카이치시의 초․중학교에서도 도입되고 있다.
이가시의 학교에서는 지금까지도 각 학교가「학교 교육 목표」를 설정해 왔지만, 「이념에 그치지 않고 보다 실효성이 있게 추진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동 시교육위원회는 모든 학교에 목표등을 구체적인 수치를 내걸도록 지시하였다.
그 예를 살펴보면「수업이 즐겁다고 생각하는 아동의 비율을 90% 이상으로 한다」(옥롱소), 「연간 수업 개시전 10분을 이용하여 독서나 연습학습을 실시한다」(후츄소) 등,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습에 관한 수치목표이다. 그 외에도 우생소에서는 등하교시의 사고를 막기 위해 「헬멧 착용 100%를 목표로 한다」, 우에노히가시소에서는 집단 괴롭힘이나 폭력을 허락하지 않는 「차별 없는 친구 만들기」를 위하여「집단 괴롭힘이 없는 학급을 목표로 한다」등의 학교 생활 전반에 관한 내용을 차지하고 있다.
이미 제출된 마니페스토 속에는 구체성이 부족한 것도 있어, 시 교육위원회는 해당하는 학교, 유치원에 대해 현상에 관한 자료를 하거나, 구체적인 수치목표를 설정하도록 지도한다. 또, 이것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추진되는가에 대한 목표의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매년2회 정도 보호자나 아동·학생에게 앙케이트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아지오 시교육장은 "학교교육에서 명확한 비전을 밝히는 것으로, 교원이나 보호자가 연계하여 학교 운영에 일체가 되어 임할 수 있다. 만일 목표를 완벽하게 달성할 수 없을지라도 과제가 부과되면 학교의 교육력은 향상될 것이며 이를 향후에 활용할 수 있다"라는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제 학교교육이 단순히 교사만의 수준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학부모, 관련 기관과 공유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외부인들이 학교를 들어다 보고 학교에서는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질문에 학교가 답하는 것이라 볼 때 학교 교원들의 업무는 갈수록 증폭되어 감을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