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김없이 맞는 5월 15일이다. 매년 찾아오는 이 날은 학교에 있는 사람이나 학부모, 아니 전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스승의 날’이다.
‘기피의 날’로 변한 스승의 날
교직에 몸담은 지 3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스승의 날이 되면 괜히 얼굴이 상기되고 부풀어 오르는 마음이 든다. 잠시 지난날의 기억을 떠올려본다.
‘이 날이 되면 아침부터 너 나 할 것 없이 선생님들의 책상엔 학생들이 갖다 놓은 카네이션과 예쁘게 써 놓은 글들로 수북이 넘쳐나고, 교무실 어느 자리에선 아이들이 선생님을 빙 둘러싸고 스승의 은혜 노래를 불러댔다.’
과거 스승의 날 학교 곳곳에서는 사랑과 감동을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수년 전부터 스승의 날이 선생님들에겐 곤혹스러운 날이 됐다. 선생님이나 학부모나 고민은 마찬가지인 것 같다. 그래서인지 어느 학교는 아예 학교 문을 걸어 잠그고 쉬는 날로 만들어 놓기도 한다. 뜻 깊은 스승의 날이 점점 학교들이 기피하는 날이 되고 말았다.
얼마 전 교육당국은 한술 더 떠 촌지근절 대책이라는 미명 하에 촌지 포상금까지 만들어 교사들을 잠재적인 범죄자 집단처럼 만들어 버렸다. 이제 몇 만원의 선물을 주고받았다간 교사의 명예와 함께 자리까지 내놔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스승의 날이 선생님들에겐 그래도 명예로운 날이 아니었던가. 어찌하다 이렇게까지 됐는지 한심스러울 뿐이다. 이렇게 된 것을 가만히 생각하고 있자니 참으로 부끄럽기 짝이 없어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제 스승의 날을 다시 선생님, 그리고 아이들에게 돌려줘야 한다. 그동안 이런 꼴 저런 꼴 보기 싫어 교문을 닫아걸었다면 이제부터라도 생각을 바꾸고 문을 활짝 열었으면 한다.
정성이 서려있는 예쁜 편지글과 자그마한 선물을 준비한 제자들에게 둘러싸여 행복한 미소를 머금은 선생님들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선생님들에게 교직에서만 느낄 수 있는 행복감과 즐거움을 돌려줘야 한다.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감동을 위해 학부모들의 과욕이 개입되지 말아야 한다. 학부모들이 선생님들의 자존심과 명예를 훼손시켜서는 안 된다. 이 날 만큼은 학생들과 선생님들 사이에 사랑의 마음이 전달되는 감사와 소통의 날이 되도록 하자.
교문도, 감사의 마음도 활짝 열자
살아가면서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활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작은 정성의 마음을 표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더불어 살아가는 조화롭고 아름다운 민주 시민을 기르는 것으로 교육의 본질적 목표에 충실한 것이다. 이는 어느 교과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더 우선한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스승의 날’은 우리 선생님들이 학생들로부터 감사하는 마음이 가득 담긴 작은 꽃 한 송이와 쪽지를 넘치도록 받는 날이 되도록 하고 싶다. 가르쳐주고 보살펴준 노고에 작은 위안이 되는 날이 됐으면 좋겠다. 학생과 선생님이 서로 사랑하고 감동이 넘쳐나는 훈훈하고 아름다운 날이 되길 바란다. 학생들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불러주는 ‘스승의 은혜’ 노래 소리에 가슴이 울컥하면서 눈물이 솟아나는 그런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