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철학자 화이트 헤드(1861~1947)는 교사를 네 부류로 나눴다. 보통 선생은 지껄이고, 좋은 선생은 잘 가르치며, 훌륭한 스승은 스스로 모범을 보이고, 위대한 스승은 가슴에 불을 지른다고 했다.
지금은 선생님 인플레이션 시대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선생은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 스승은 ‘자기를 가르쳐서 인도하는 사람’이다. 선생과 스승 둘 다 가르치는 사람이지만, 스승은 지식 전달뿐만 아니라 삶의 지혜도 함께 가르쳐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국·영·수를 가르치는 교사는 선생이지만 국·영·수를 통해 인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스승인 것이다.
우리 교육현장에 선생은 있으나 스승이 없다고들 한다. 단순 지식만을 전달하는 선생은 있으나 인생길을 밝혀주는 스승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얘기는 옛말이 된 지 오래이며, 교사의 권위가 땅에 떨어져 있다. 꺾일 대로 꺾인 교권으로 신음하는 교육현장이 매우 안타깝다. 일부 학생·학부모의 폭언 등 날로 심각해지는 교권침해와 선생님을 부정적 시각으로 곱지 않게 보는 현실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정보화 사회라는 시대 환경과도 무관치 않다.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요즘 학생들은 지적 갈증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광속의 인터넷을 이용해 학교와는 비교할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사이버공간에서 언제 어디서나 무엇이든 배울 수 있다. 자연히 학교에 대한 권위,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약화될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논어에 ‘술밥이 있거든 선생에게 먼저 드려라’라는 뜻의 ‘有酒食(유주식)이거든 先生饌(선생찬)’이라는 글이 있다. 여기서 사용된 ‘先生’은 ‘나보다 먼저 태어난 사람’이라는 뜻이다. ‘집안에서 술밥이 익거든 어버이에게 먼저 드리고, 그 뒤에 형 또는 누나에게 드리고, 그 뒤에 자신이 먹도록 해라’는 가르침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先生’은 꼭 ‘나보다 먼저 태어난 사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변화의 속도가 느려 먼저 태어난 사람이 많은 것을 알고 있을 확률이 높은 옛날에는 ‘先生’이 ‘나보다 먼저 태어난 사람’을 의미할 수도 있겠지만, 변화의 속도가 빨라 먼저 태어났다고 해서 반드시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오늘날에는 ‘先生’은 ‘가르치는 사람’이라는 뜻이 더 강하다.
지식 넘어 삶의 지혜 인도자 돼야
그런데 우리 사회에는 적합한 호칭이 없거나 딱히 부를 호칭이 없을 때 누구에게나 일단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풍토가 있다. 이러다보니 세상에 선생님이 너무 많아서 일반적인 호칭이 돼버렸다.
현재 우리 교육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의 실마리를 풀기 위해서는 교권을 확립하고 스승을 부활시켜야 한다. 그래야 가슴에 불을 지르고 영혼까지 움직이는 교육이 가능하다. 혼과 혼의 대화, 인격과 인격의 부딪힘, 정성과 정성의 호응, 정열과 정열의 만남이 있는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부터 선생님 대신 스승님이라고 부르는 운동을 펼쳐보자.
물론 스승에 대한 존경은 구걸하고 강요해서 얻어지는 게 아니다. 교사로부터 변화의 물결이 시작돼 스스로 스승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교사 자신부터 학생과 학부모 앞에서 떳떳이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참된 스승의 길을 걸어갈 수 있는 품격과 자질, 소양을 갖춰 스승의 자리를 되찾는 일이 절실하다. 교사가 학생을 사랑으로 대하고 본인 스스로가 스승이라는 자부심을 가질 때 비로소 우리 교육이 바로 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