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네덜란드, 부모도 성교육 책임진다

‘가정이 학교보다 중요’ 인식
 性을 일상적인 대화 소재로
 가이드라인 주고 탐구 허용


첫 성관계 연령이 유럽에서 단연 높고 데이트 강간, 청소년 출산율, 낙태율도 세계 최저 수준이다. 모두가 네덜란드 성교육의 비결을 궁금해 하는 이유다.

주로 언급되는 비결은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성교육이다. 네덜란드는 4세부터 성교육이 시작된다. 성에 관심을 갖기 이전에 성교육을 하고, 성을 일상적인 대화 주제로 받아들이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렇게 성교육의 기초가 다져진 후 초등 4학년부터 제도화된 필수 성교육이 시작된다. 이때는 남녀의 성기와 임신, 발기 등을 상세하게 배우기 시작해 성관계와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교육까지 이뤄진다.

이런 교육이 가능한 데는 교육 내용이나 제도보다는 ‘가르치는 성교육’만으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힘이 됐다. 성교육 수업은 강의가 아닌 토론으로 이뤄진다. 내용도 생물학적인 성보다는 성적인 자기 결정권에 더 방점이 있다.

성교육의 관점은 단순히 ‘개방적’이라기보다는 ‘일상적’이다. 성을 은밀하게 탐닉할 대상이나 낭만적이거나 극적인 쾌락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의 평범한 한 부분으로 여기도록 한다는 것이다.

성적인 자기 결정권을 가르치는 토론식 교육이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유도 성을 평범한 주제로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성교육 프로그램이나 생물 수업 시간 외에도 기회가 있을 때 언제든지 성이나 성 관계를 주제로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물론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성교육만으로는 네덜란드의 성과를 설명할 수 없다. 서구 선진국 대부분이 하고 있는 교육이기 때문이다. 유럽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정규 교육과정에서 성교육의 비중이나 내용에 큰 차이는 없다.

이 때문에 학교 교육 외에 다른 비결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바로 가정과 사회의 역할이다. 네덜란드는 다른 서구 국가들에 비해 양부모가정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전통적인 가정관이 여전히 영향력이 있다는 것이다. 학교 성교육도 발달해 있지만 여전히 가정이 성교육의 책임을 진다는 인식도 강하다.

많은 네덜란드 부모들은 자녀들이 성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자녀에게 성에 대해 탐구할 수 있도록 한다. 자녀들과 성을 주제로 대화를 하고, 궁금해한는 부분을 알려준다. 물론 무제한적인 탐색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부모는 자녀들과 성을 의논하면서 진지한 이성 관계와 성관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이렇게 가정이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데는 사회적 배경도 있다. 네덜란드는 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늘면서 시간제 일자리가 민간에서부터 정착돼 맞벌이 여성이라도 자녀교육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정의 교육적 영향력이 유지됐다. 혼전 임신 청소년에 대해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기보다는 가정에 책임을 요구하는 제도가 성적인 책임의식을 강화했다는 분석도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