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미래사회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지식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교육의 본질은 전인교육이다. 이렇게 빠른 속도와 더불어 양으로 넘쳐나는 사회에서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학생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학교는 또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지식 자체만 가르쳐서는 한계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오랫동안 실행해 왔던 지식 습득의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교육이 갖는 궁극적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인간 육성이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교육은 가능한 많은 지식을 고도의 기술을 통해 가르쳐 왔다. 하지만 이제는 지식 자체가 아니라 지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는 교육을 해야 한다. 최근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교육경쟁력임을 인식하고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규명해 학교교육과정에 연계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역량 중심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에 상당 부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는 오헌석, 이광우, 이근호 등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뒷받침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일찌기 1970년대부터 이 같은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1974년 맥클랜드는 지능검사와 적성검사에 대해 학교성적에 대한 예측력은 높지만 직무성과나 인생 성공 여부는 예측력이 낮기 때문에 또 다른 능력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주장했다. 1982년 보야치스는 ‘어떤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와 관련된 개인의 내재적 특성(지식·기술·특질·동기·자기 이미지·사회적 역할)’이라 했다. 이 같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인재육성으로 지식에서 역량으로 변환해야 한다는 보고를 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8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성 덕목 중 ‘예의’ 점수가 가장 높고, ‘성실’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184개교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만 명을 대상으로 자기존중, 성실, 배려, 소통 등 10개 인성덕목에 대해 조사를 한 결과 ‘예의’ 점수가 10점 만점에 8.25점으로 가장 높고, ‘정의’(7.82점), ‘책임’(7.71점), ‘자기존중’(7.67점)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성실’ 점수는 6.61점으로 10개 덕목 중 가장 낮았다. 이 보고서에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학교 현장에서 기본적인 학생 인성교육을 ‘예의’에서 ‘성실’로 변환, 미래사회에 대비해 교육할 필요가 있다.

지성·인성·감성교육으로 대비해야

인간이 오래 산다고 윤택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니며, 돈을 많이 번다고 훌륭한 삶을 사는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다. 삶에 있어서 양이 질을 보장하지 않는 것처럼, 학생 교육에 있어서도 질은 양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 가치 있는 양만이 수준 높은 질을 보장할 뿐이다. 올바른 인재육성이 다양한 경험적 지식과 도덕적 체험이 함께 학생 교육에 감성적인 내용이 제공돼 마음을 움직일 때 모든 학생들의 내면에서 감동적 융합이 펼쳐질 수 있다.

특히 학생 교육의 효과가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교원들의 감성적 마인드 변화는 학생 교육에 있어서 필수로 전제돼야 하며, 이러한 것이 학교 현장에 정착돼 감성교육으로써 감동에서 실행으로 변환되는 동인이 이루어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제는 미래사회 대비하는 전인교육의 큰 세 가지 축을 지식에서 역량으로 변환하는 지성교육, 예의에서 성실로 변환하는 인성교육, 그리고 감동에서 실행으로 변환하는 감성교육을 해야 할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