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겨울방학 때 있었던 일이다. 초·중등 교사 40명 정도가 모여 ‘북한 교육의 실제’에 대한 연수를 받는 중이었다. 서울 시내 중위권 대학 법학과에 합격한 고3 탈북 남학생에게 교사들이 북한에서 배웠던 이런저런 내용을 물어보면 학생이 답하는 식이었다.
그러던 중 사회를 보던 교사가 물었다. “북한 학생들과 비교해 남한 학생들이 어떤지 한마디로 이야기해 볼래요?” 학생은 한참 고개를 숙이고 생각하더니 번쩍 고개를 들면서 말했다. “남한 친구들은 조국을 모릅네다.” 마치 거울이 쨍하고 깨지듯 갑자기 교실에 정적이 흘렀다. 모두 충격을 받았던 것이다.
1930~40년대 이 땅의 뜻있는 젊은이들은 신지식을 배우는 한편 조국 광복을 추구했고, 1950~60년대에는 6·25 전쟁을 겪으면서 그 날을 잊지 말자고 외치고 다녔다. 1970~80년대 들어서는 조국 부강을 위해 공장에서 바다에서 해외에서 비지땀을 흘렸고, 올림픽을 치르게 되면서 대한민국 국민임을 한껏 자랑스러워했다.
그랬던 우리 젊은이들이 해외여행 자유화 바람과 IT 열풍을 겪으면서 글로벌화, 세계인화, 가상인화 되다보니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족의식이 약화돼 있다. 탈북 학생의 눈이 남한 친구들의 이런 실상을 정확하게 짚어낸 셈이다.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혹자는 세계 각 나라가 세계화를 지향하는 마당에 우리나라가 꼭 민족과 조국을 가르쳐야만 하는지 묻는다. 세계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개념도 아리송한 ‘열린 민족주의’를 지향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또 다른 한쪽에서는 “주민들 먹여 살릴 돈도 없으면서 저렇게 핵실험이나 하고 아무 죄도 없는 연평도 사람들에게 포나 쏴대는 북한 사람들도 같은 동포라고 봐야 하나”라고 묻는다. 학교에서는 그래도 ‘같은 민족’이라고 생각하도록 가르친다.
그러면서 교육 당국은 태극기를 그려보게 하고, 현충일과 같은 행사 때마다 애국가를 소리 높여 부르게 하면 애국심이 생기고 애족심이 생겨난다고 생각하고 있다. 과연 이런 노력이 우리 젊은이들의 민족의식을 강화시켜 주고 있는가.
아니다. 그러니 최근 들어 ‘나라사랑교육’이라고 해서 보훈처, 국방부, 교육부 등이 팔을 걷어붙이면서 나서고 있는 것 아니겠는가. 요즘은 여기에 덧붙여, ‘젊은 학생들이 6ㆍ25가 우리가 일본과 싸운 전쟁이라고 알고 있다’거나 ‘우리의 최근 역사는 친일·독재의 부끄러운 역사일 뿐’이라고 서로 개탄하면서 이념에 기반을 둔 역사 논쟁까지 가세하고 있는 형국이다.
우리 젊은이들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 혼란이 극치를 달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트기 전의 어둠이 가장 어두운 법이듯 비록 현실은 암울하지만, 우리 젊은이들이 조국과 민족에 대한 긍지를 가질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이 있다. 2002년 월드컵 때 우리 젊은이들은 수천, 수만 명이 모여 서울시청 앞을 비롯해 전국의 주요 도시 광장을 붉은 물결로 뒤덮으며 ‘대한민국’을 열광적으로 외쳤다. 우리들의 조국에 대한 열정에 전 세계가 놀랐고, 우리 자신도 감동했다.
우리 젊은이들이 조국을 몰라서야 되겠는가. 호국보훈 교육, 2002년도의 붉은악마들처럼 젊은이들의 감성을 움직일 수 있는 화두를 찾아서 그 젊은이들을 조직적으로 이끌 수 있어야 한다.
과거에는 RCY(청소년적십자운동) 등이 젊은이들의 사회변화 열정을 이끌어냈다. 조금 더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신라에서는 화랑도 운동이 통일의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이제 우리는 민족 통일을 화두로 삼아 젊은이들의 열정을 조직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호국보훈교육을 하는데 뜻을 모아야 할 것이다.
다가오는 6월 25일은 6·25전쟁이 발발한지 64주년이 되는 날이다. 북한은 우리에게는 1대도 없었던 탱크를 소련의 지원을 받아 무려 242대나 몰고 남침을 감행했다. 그 때문에 많은 사람이 죽고 다치고 1000만의 이산가족이 생겼으며, 지금까지도 매년 6월이 오면 우리들은 가슴앓이를 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우리 한반도에 6월이 갖는 의미를 학생들의 감성을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차원에서 강조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