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2월 학기, 학교별 특성 따라 운영해야

교육부가 내년부터 초․중․고교 2월 학기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봄방학을 없애고 겨울방학으로 통합하겠다는 것이다. 반세기가 넘도록 3월 신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는 현실에서 2월 학기의 존폐 문제는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수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데 학교에 나가 시간만 낭비한다는 학생과 학부모의 불평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학사일정은 학교만의 일이 아니고 가정, 사회와 함께 연계돼 이뤄지는 활동이다.

2월은 새학년 준비 위한 돋움月

잘 아는 것처럼 2월은 한 학년도를 마무리하고 새 학년도를 준비하는 기간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물론 교사에게도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달이다. 매사 처음과 끝이 있어야 하듯 연간 학사일정에도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수업과 행정업무를 함께 해야 하는 초․ 중등학교에서는 여러 가지 굵직한 일들이 많다. 우선 졸업식을 치르고 신입생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신학년 교육과정 설계는 물론 학급편성과 담임배정, 교육계획서 작성 등 교육의 기본 틀을 짜는 시간이기도 하다. 교원인사도 있으며 학생들의 전편입학도 다른 때보다 많다. 이처럼 2월에는 학생이나 교사 모두가 바쁘게 움직이는 시기다.

기본적으로 학사일정은 법적인 규정 안에서 학교장 재량으로 운영할 수 있다. 주 5일 수업제가 도입된 이후 법정 수업일수가 연 34주 220일에서 34주 190일로 축소됐다. 이 일수를 지키는 범위 안에서 여름과 겨울, 봄방학을 적의 실시하면 된다. 현재 2월 학기는 수업을 하지 않고 최소한의 학사일정 중심으로 운영하는 학교들이 많다. 즉 졸업식, 종업식, 신입생 적응교육, 입학식 등 행사가 필요한 학년별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봄방학을 획일적으로 폐지하면 학교별 다양화가 사라지고 단위학교별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도 침해받게 된다.

이 기회에 학기제 운영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이뤄지길 바란다. 한 학년을 2학기제로 운영하는 것은 방학과 연계해 이뤄지는 우리의 오래된 관행이다. 최근 체험학습 활성화를 위해 방학을 나눠 운영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방학 분산제’와 함께 학기제 운영도 다양하게 연구해 볼 만하다. 또 자유 학기제 운영, 학기집중 이수제, 선행학습 금지법 등 여러 가지 제도적인 변화도 시행되거나 예고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의 특성을 고려해 학기제 운영방식을 개선한다면 2월 학기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학사일정‧현장 의견 고려해야

2월 학기가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고 겨울방학을 그대로 연장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과 함께 해야 되는 최소한의 기일이 있어야 한다. 교육부는 앞으로 공청회 등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2월 학기의 운영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나 2월 학기는 어떤 획일적인 방법보다는 초․ 중․ 고별로 학교별 특성에 맞게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중간한 상태에서 학생들은 시간을 낭비하고 일부 보직교사들만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기간이 돼서는 안 된다.

한 학년을 마무리하면서 보다 체계적인 추수(追隨)지도나 학생의 진로와 관련한 직업탐색 활동 등이 이뤄지는 계기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됐으면 좋겠다. 2월 학기가 학생과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합리적인 방향으로 개선돼 만족스런 교육 활동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