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망의 새 시대 교육의 제자리 찾기, 제2의 새교육 개혁운동으로 행복교육시대를 활짝 열겠습니다.’ 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2014 대한민국 교육계 신년교례회에는 청마의 힘찬 기운처럼 새해 교육계에 대한 바람과 희망적인 메시지들이 쏟아졌다. 고경만 서울 경문고 교사와 강은숙 경기여자고 교사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교례회는 교육계 관계자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이는 교육계 최대의 행사인 만큼 테이블마다 훈훈한 정담과 교육현안 논의로 이야기꽃이 피었다.

“행복한 학교 만들겠습니다!”○…교례회에서는 교원, 학생, 학부모 대표들이 신년의지를 담아 ‘행복한 학교, 인성중심 교육을 만들기 위한 우리의 약속’을 발표했다. 설정식 서울대영초 교사는 “교육전문가로서 확고한 윤리의식을 가지고 열정적인 자세로 교육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유선 서울수도여고 학생(2학년)은 “선생님을 존경하고,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며, 학교규칙을 준수하는 등 자율과 책임이 확립되는 학교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김선영 서울수락초 학교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은 “가정교육과 함께 학교교육을 신뢰하고 올바른 학교 참여를 통해 학교발전을 지원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신년의지를 다졌다. 설 교사는 “현장교사들이 주체가 된 교총의 새교육개혁포럼에 참석해 나는 교사로서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고민을 많이 하게 됐다”며 “새교육개혁운동을 통해 우리 교육이 한 층 발전하는 한 해가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두 번째 만나는 대통령 영광”
○…이날 ‘자랑스러운 교총인상’을 수상한 이채주 부산연천중 교감은 “교례회가 박근혜 대통령과 두 번째 만나는 자리”라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이 교감은 지난해 ‘제32회 스승의 날’ 기념 모범 교원 청와대 오찬에도 초청됐었다. 그는 “교원들과 3시간 동안 소탈하게 대화하시는 내용을 듣고 교사들의 위상을 높이는 데 관심이 많다는 것을 느꼈는데 교례회도 참석해 격려해주셨다”며 “대통령을 두 번이나 만난 건 교사로서 최고의 영광”이라고 말했다. 교총인상을 받아 어깨가 더 무거워졌다는 이 교감은 “‘항상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부모의 마음으로 소중하게’라는 평소의 신념을 지켜나가면서 새해에는 더욱 더 열심히 아이들의 교육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했다.
“교원들이 웃으면 나라가 행복!”
○…대통령과 자리를 함께 한 전호숙 한국국공립유치원교원연합회장은 가장 먼저 교례회장에 나와 건배사를 되뇌고 또 되뇌였다. “실수할까봐 긴장된다”던 전 회장은 “50만 선생님이 웃으면”, “대한민국이 행복합니다”라는 건배사로 참석자들의 박수를 받았다. 유·보통합, 누리과정 시행, 돌봄 확대 등 올해 유아교육계에 난제가 많다는 전 회장은 “무엇보다도 올해에는 꼭 유치원이 유아학교로 개명되길 기대한다”는 말을 남겼다.

교사합창단의 노래로 전한 ‘희망’○…이날 서울음악교사합창단(단장 주광식 서울 휘문중 교감, 이하 합창단)의 공연이 교례회의 분위기를 돋웠다. 서울음악교사합창단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교사 합창단으로 1988년 중등 음악교사들을 중심으로 창단됐으며 지난해 제35대 교총 회장단 취임식에서도 공연한 바 있다. 교사들은 ‘꿈꾸는 세상’, ‘푸르른 날’, ‘강가에 봄이 오듯’ 등의 선곡으로 우리 교육에 희망찬 새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지휘자 이성은 신일고 교사는 “마지막을 장식한 ‘우정의 노래’와 ‘우리는’ 등 두 곡은 교육계가 하나가 되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주광식 단장도 “교육계의 마음을 모으는 큰 자리에서 연주할 수 있어 자부심을 느낀다”며 “합창단의 연령대가 다양해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며 보완하는 진정한 ‘합창’을 할 수 있어 좋다”고 소감을 밝혔다.
균형 없이 백년대계 없다!
○…전임 교총 회장들도 참석해 교례회 자리를 빛냈다. 교육계 원로인 김민하 전 한국교총 회장(28대)은 올해 교총에 “균형감각을 잃지 말라”고 조언했다. 김 전 회장은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그동안 교총이 균형을 유지하고 생각을 잘 조절하며 발전해 왔다고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정부와 협조할 건 협조하더라도 긴 안목으로 보면서 사안에 따라 비판할 건 비판해야 교육백년대계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퇴직교원들도 교육계 선배로 자리를 지켰다. 서성옥 한국교육삼락회총연합회 회장은 “우리나라 교육을 발전시킨 것은 지금의 25만 퇴직교원”이라며 “책 ‘브레멘의 동물음악대’의 늙은 동물들도 훌륭한 악단을 만들었듯이 중요한 교육가족의 일원으로 현직교원들을 도와 ‘아름다운 교육’을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