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능동적 교육전문가로 거듭나자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한국 사회에서는 선생님들이 ‘나라를 세운 사람들(nation builders)’로 존경받는다고 부러워했다. 선생님들이 존경받아왔던 이유는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룬 현대사에서 나라의 운명을 개척한 주역이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나라 발전에는 선생님만이 아닌 많은 공헌자가 있다. 그렇지만 변변한 자원 하나 없는 우리나라는 가 잘살게 된 데에는 뛰어난 인재를 배출해낸 교육의 힘이 컸고, 그 중심에는 열악한 교육환경에서도 사랑과 헌신으로 가르침을 실행한 선생님들이 계셨다. 또 한 개인의 삶을 바꾸어 놓는 데에도 선생님의 역할은 빠지지 않는다. 대통령부터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선생님에 대한 추억이 있다. 그들은 ‘선생님이 오늘의 자신을 만들었다’고 얘기하곤 한다.

‘교육의 질이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말이 자칫 상투적으로 쓰이는 것 같지만 이는 진리다.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아이들은 선생님이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만난다. 선생님과 대화하며 ‘꿈’을 키우고, 그들의 가르침으로 ‘지식’을 깨닫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우리 아이는 학교에서 돌아오면 선생님에게서 들은 얘기를 쉴 새 없이 조잘댄다. 이 아이에게 선생님은 만물박사요, 지적 호기심을 이끌어내는 사람이었다. 선생님은 때때로 잘잘못을 따져 주는 재판관의 역할도 한다.

아이들은 선생님으로부터 옳고 그름을 배운다. 자라면서 인격을 형성하고, 인성을 갖추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 선생님들이고 아이들은 선생님에게서 지식보다 중요한 ‘삶’을 배운다. 비록 사교육이 번성한다 해도 아직도 우리 부모들은 아이가 어떻게 자라고 있는지, 선생님에게서 제일 듣고 싶어 할 것이다. 왜냐하면 선생님이 우리 아이를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선생님은 그런 존재다.

그런데 걱정스러운 것은 선생님의 권위가 날로 실추되고, 선생님들이 위축되어 간다는 사실이다. 우리 사회에서 교사들은 누구나 인정하듯 지식인층이고 엘리트 집단이다. 높은 수준의 직업윤리를 가지고 자신을 스스로 규율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이다. 변호사, 회계사, 의사와 같은 전문직 집단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교사는 전문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사회․경제적 지위는 날로 낮아지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로 모두가 그렇진 않지만, 많은 교사가 무기력의 늪에 빠져있음을 보게 된다. 엘리트 지식인, 교수·학습 전문가로서 자존감과 자긍심을 잃고 있다. 교육학 이론에 의하면, 자아 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은 어떤 영역에서든 행복한 직무 몰입과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핵심 요인이다. 이렇게 볼 때 지금의 현상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아마도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선생님들을 개혁의 대상으로 여기는 풍조가 만연하면서 생겨난 경향이다. 늘 밖으로부터 변화를 요구받는 교사들은 심정이 편치 않다. 교사들이 가진 자기혁신 역량과 교육적 주도력을 도외시하고, 이들을 변화시켜야 할 피동적 객체로 대우할수록 위축되기 마련이다. 교사의 자발적 변화 의지와 능력이 아닌 외부 평가와 금전적 유인책으로만 움직이려 하므로 사랑과 헌신으로 가르치려는 교사는 자괴감을 느끼는 것이다. 물론 교사들에게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교사라는 동질적인 집단에 머물며 ‘성장판’이 닫힌 채 변화하는 환경에 더디게 대응하거나 적응하기 때문이다. 오죽했으면, 어느 시 교육감은 ‘선생님들도 명함을 만들자’고 제안했을까. 자신의 소속, 신분, 전공 분야를 자랑스럽게 밝히고, 떳떳하게 세상으로 나가자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평생학습 사회로 진화하고 있다. 학교 밖에는 미술관, 박물관, 과학관, 문화원, 도서관과 같이 다양하고 질 높은 학습자원이 널려 있다. 교육기부, 재능기부, 또는 멘토링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전문가가 교육활동에 참여하겠다고 한다. ‘공부의 신’,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처럼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청년 단체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과거와 같이 꼭 교사만이 학생들을 이끄는 것이 아니다.

교직을 둘러싼 문제점만 탓하며 계속 무기력에 빠져 있을 수는 없다. 세상은 변하고 있고 더는 교육이 교사들만의 전유물이라 여기고 학교 안에서만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주장할수록 더 교사들은 위축되는 길을 갈 수밖에 없다. 교사 스스로 교육현장을 연구하고 열정적으로 학교와 수업을 개선해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 교사들이 학교를 변화시키는 데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면 진정한 교육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