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지 않아도 아이가 학교 수업에 따라 가지 못하는데 선행 학습도 못하게 하고, 그렇다고 학교에서 아이들의 학력을 책임지지도 않으면, 우리 아이는 어떻게 공부하라는 말입니까? 먼저 입시 제도를 바꿔 주든지….”
내가 교육 현장에서 한 발짝, 아니 반 발자국만이라도 뒤로 물러서 있었다면, 나 역시 두 아이의 아빠이기에 그 학부모와 함께 이 현실을 마구 칼질하며 맞장구쳤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불행히도 나는 그런 위치에 있지 못하다.
‘교육 일선’
교육 일선이라는 말을 옆에다 익숙히 두고 살아온 나는 그 학부모에게 아무런 속 시원한 이야기나 대책을 말해주지 못했다. 마음으로는 어느 한쪽의 양보를 전제로 하는 것이 정책이기에 이 또한 그러한 관점에서 바라봐주길 바라지만, 당장 자녀의 미래가 달린 문제로 고민하는 학부모에게 쉽게 던질 말이 아니다.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리 교육계 내에서조차 제대로 된 논의가 한 번도 없이 시행됐기 때문이다. 비록 생각이 다르고 시각차로 인한 갈등이 늘어난다고 해도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교사들로 하여금 터놓고 짚어 볼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그래야 이런 학부모들의 하소연 앞에서도 속 시원히 답변해 줄 수 있지 않을까.
“내년부터 한 학기는 시험을 전혀 보지 않는다면서요? 그렇지 않아도 애들이 공부를 안하는 판에 시험마저 안보면 아이들은 어떻게 하나요? 우리같은 시골은 직업체험 할 곳도 없잖아요? 무슨 대책을 세워야하지 않나요?”
솔직히 말하면 이 말에도 역시 속 시원한 답은 없다. 이는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아이들이학력이 떨어질 것에 대한 대책을 답해주지 못해서가 아니다. 이제 시범학교를 거쳐 전국적으로 하게 될 ‘자유학기제’가 과연 아이들의 미래를 담보해 줄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되어 질 준비가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크기 때문이다.
전국 중학교 한 학년의 학생 수는 약 오십여 만 명이다. 이들이 한 학기 동안 오전엔 수업, 오후에 직업 관련 교육(여러 유형이 있겠지만)을 받는다고 했을 때, 과연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인프라가 있는지에 대해 냉정히 말해 교사들을 잘 모른다. 차라리 부족하다거나, 미비한 것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알 수 있다면 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 공약 사항이다 보니, 그 어떤 정책보다도 빠르게 시행하려 하는 것이고, 이는 지난 정권에서 대부분의 교사가 반대 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정책입안자들만의 생각으로 밀어붙여 아이들을 실험쥐로 만들어 버린 ‘집중이수제’의 전철을 밟게 되지는 않을지 걱정이 되는 것은 왜일까?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고 우수한 전문 직업인 양성과 학력 중심 교육을 벗어 날 수 있는 좋은 제도임에 분명하기에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늦게 도입되는 감을 가질 만큼 ‘자유학기제’ 자체에 대한 반감은 없다.
하지만 효과적으로 시행하고 기대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정치적 논리가 아닌 아이들만을 위한 정책이 돼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느낌을 받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로서, 정책 시행 전에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아쉽다.
혹자는 ‘그래서 시범학교를 하는 것이 아니냐.’ 라고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는 교육과정 변경 시에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실시했던 시범학교 지정과는 그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고 본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오류 정도는 현장에서 얼마든지 수정하여 교육할 수 있지만, 많은 사회적 인프라를 기반으로 실시해야 할 ‘자유학기제’에 인프라 구축 없이 진행되는 시범학교의 모습은 정말 아찔하기까지 하다.
어찌 됐든 이미 우리는 자유학기제 중심으로 가고 있고, 그 선봉에 서서 아이들이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
아이들의 입장에서 체험하게 될 곳은 일선 기업들이다.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몇 곳이 있긴 하지만, 학생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고 직업 또한 인기 직종이나 아이들의 관심을 받는 직종 중심으로 돼 있어 실질적인 진로․직업체험 교육이 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어차피 정부가 시작한 일이다. 현장의 교사들보다 앞서 이에 대한 대책과 정책이 진행되길 바란다. 또한 유망 기업들에 인센티브를 줘서라도 교육 현장과의 연계를 제도화해 주길 바란다. 관련 전문 인력도 새로 배치해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켜 주길 간절히 바란다.
마지막으로 교육정책은 선거 공약이라고 해서 무조건적, 우선적으로 말 그대로 ‘빨리빨리’로 진행되지는 않았으면 한다. 대통령의 공약이라고 해도 교육만큼은 정책 시행 이전에 현장에서 충분히 검토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