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 교원들 “완전히 정치판이구나…”

25일 오후 2시 경기도교육연수원 개원식. 축사를 마친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자리를 뜨자 25개 교육지원청의 교육장·부교육감·국·과장·장학관·교장 등 행사장을 가득 메웠던 700~800명의 인원 중 3/4 이상이 썰물 빠지듯 교육감 뒤를 따랐다. 교육연수원 개원 축하를 위해 모인 것이 아니라 교육감에게 눈도장을 찍기 위해 모였다는 느낌이 역력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연수원 측은 수원교육지원청 40명(전문직 2명, 행정직 2명, 관리직 35명, 교사 6명)을 포함해 성남 30명, 안양·과천 32명, 부천 30명, 광명 21명 등 모두 602명 등 교육청별 참석 인원까지 미리 정한 공문을 각 지역교육청에 보냈던 것. 지역청은 해당 기관 및 관내 학교를 대상으로 인원을 채우기 위해 ‘차출’할 수밖에 없었다는 후문이다. 특히 일부 지역청은 교사 수를 맞추기 위해 수업 시수가 적은 수석교사에 참석을 요구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할당 인원을 채우지 못하자 특수학교 및 전체 초·중·고교에 추가 참석 희망자 접수 공문을 보내는 등 ‘강제동원’으로 빈축을 샀다.
연수원 행사에 ‘동원’이라는 일제 강점기에나 있을 법한 일이 강행된 데는 지난 21일 도교육청에서 열린 ‘학교폭력근절 및 예방을 위한 담당자 연수’에서 대다수 학교가 교육감의 뜻을 무시한 것에 대한 ‘경고’ 발언에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김 교육감은 “법적 근거에 의해 교육청에서 방침을 정한 후 조치하는데도 교장·교감 선생님들이 (기재에 대해)혼란을 느끼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조직을 해할 수 있는 언행은 절제되고 조심해야 할 것”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는 것이다. 이날 김 교육감은 1시간10분 동안 학생부기재 관련 교육청 입장을 밝히면서 전문직 출신 교장이 따르지 않는다는 등 운운하며 ‘경기교육계 조직력 강화’에 대해 수차례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원식에 참석했던 한 교장은 “완전히 정치판이구나…”라며 한탄했다. 그는 “참 많은 역대 교육감을 모셔 봤지만 이렇게 행동하는 교육감은 정말 처음”이라며 “교육청이 무슨 깡패조직도 아니고 목적을 위해 수단은 아무래도 좋다는 식의 비정상적 행위를 해서야 되겠느냐”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