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의 꿈으로 설렜던 첫 발령 이후 수업과 담임, 행정업무로 정신없이 보냈던 3년 지났고 드디어 1급 정교사 자격연수를 받게 됐다.
그런데 경기도교육청 수학과 연수는 단국대 죽전 캠퍼스였는데 의정부에 있는 필자의 집과는 상당한 거리여서 학교 근처에 거처를 마련해야 하는 등의 상황으로 연수 전부터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선배 선생님들의 경험담과 위로의 말을 들었던 것이 오히려 1급 정교사 자격연수는 힘들게 보내게 될 긴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게 해 미리부터 마음이 지치기 시작했다.
작년까지는 5주간 동안 진행됐던 연수가 올해부터는 3주로 기간이 줄었다는 소식만이 유일한 희망이었다. 그런데 연수를 마치고 나니 시작했을 때의 지친 마음은 어디 갔는지 뿌듯함과 열정으로 마음이 가득 찼다.
연수의 교과과정은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알차게 구성돼 있었다. 무엇보다 현직 교사들의 강의는 희미하게 머릿속으로만 그려졌던 수업과 학생지도에 대해 이론이 아닌 구체적인 노하우를 전달하는 수업이었다. 선배 교사들이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세세한 부분까지 깨알같이 짚어 줘 감탄과 함께 ‘나도 저렇게 한 번 해보고 싶다’는 마음까지 들었다.
그 중에서도 협동학습과 관련된 수업들은 전적으로 강사가 선생님 역할을 하고, 연수생들은 학생 역할을 해 수업 활동을 해 보는 역할놀이 형태로 진행됐다. 수업은 ‘모든 학생들의 참여’라는 의도가 담긴 수업으로 구성돼 있었다. 학생들은 서로 함께 도와가며 문제를 풀고, 서로에게 설명해 주고, 칭찬해 주는 분위기를 만들어 갔다. 게다가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교구와 공학 프로그램을 활용한 내실 있는 수업이었다.
이 수업에 참여하면서 연신 필자의 수업을 들었던 학생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그동안 필자는 학습자가 원하는 수업이 아니라 교사가 원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해 놓고는 자신의 수업을 탓하기 전에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문제 삼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업무와 진도를 핑계로 수업 준비를 미비하게 해 학생들 입장에서 어려운 수업을 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수학을 재미없게 가르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어떤 가르침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3년 간 그렇게 수학을 가르쳐 왔다는 것에 자괴감이 들었다. 자신이 노력과 준비가 없는 교사라는 생각을 하며 많은 반성을 했고 사교육과 다른 진정한 공교육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됐다.
수업만 알찼던 것이 아니라 연수생들과 함께 한 자리가 됐다는 점도 좋았다. 서로의 경험을 같이 공유하고 보니 고민과 생각이 비슷하다는 점을 알게 됐고 ‘나만 힘든 게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에 많은 위로가 됐다.
또 연수생들끼리 서로의 효과적인 수업 사례 등을 얘기하면서 새로운 수업 전략도 배우고 수업시간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자료도 공유할 수 있었다. 서로 자극하며 발전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즐겁고 유익한 자리였다.
방학을 마치고 이제 학교 현장으로 돌아와 있다.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서 배웠던 내용들을 활용해 기존의 수업에 작은 변화를 주기로 했다. 조금만 변화를 주고 수업을 했는데도 학생들의 수업태도가 상당히 적극적으로 바뀌는 것이 눈에 보였다. 말은 안 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수업의 변화를 원하고 있었다는 것이 느껴졌다. 이런 학생들의 모습을 보며 학생들이 정말로 원하는 수업을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는 교사가 돼야겠다고 다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연수 기간 중에 한 강사분이 “연수 기간 동안 많은 것을 배우게 되겠지만 그 중에 단 하나라도 자신의 마음에 담고 갈 수 있다면 뜻 깊은 연수를 한 것”이라고 했던 것이 생각난다. 필자는 뜻 깊은 16일간의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기간을 보냈다. 이제 연수 기간을 보내며 했던 고민들을 기반삼아 나를 위한 수업이 아니라 정말 아이들이 재미있어 하고 필요로 하는 수업을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진짜 1급 정교사로서 남은 교직 생활을 이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