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 제정에는 청소년적십자(RCY)가 큰 역할을 했다. 충남 강경여고 RCY 단원들이 1958년부터 병중에 계시거나 퇴직하신 선생님을 위문하는 봉사활동을 해 오던 중 1963년 9월 21일을 충청남도 내 ‘은사의 날’로 정해 일제히 사은 행사를 갖기로 결의했다.
1964년 5월 개최된 제13차 RCY 중앙학생협의회에서는 ‘은사의 날’을 ‘스승의 날’로 고쳐 부르기로 하고 날짜도 5월 26일로 바꿨다. 제1회 ‘스승의 날’이 탄생한 순간이다.
학생들은 이듬해 ‘스승의 날’을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로 다시 바꿨고, 기념식을 개최하도록 각계에 호소문을 보냈다. 스승이 세종대왕처럼 존경받는 시대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담은 것이다. 대한적십자사는 ‘스승의 날’ 노래(윤석중 작사, 김대현 작곡)도 만들어 방송과 기타 보도매체를 통해 보급하며 스승의 날 전파에 힘을 보탰다.
그러나 1973년 3월 모든 교육 관련 기념행사가 국민교육헌장 선포일로 묶이면서 ‘스승의 날’ 행사는 소홀해지기 시작했고, 정부 방침에 따라 사은 행사는 규제 대상에까지 올랐다. 하지만 RCY 단원들은 계속해 ‘스승의 날’을 기념했고(그래서 그들은 49회 스승의 날을 맞았다고 이야기한다), 1982년 5월15일 다시 부활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제1회 ‘스승의 날’은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정부는 부활된 1982년을 공식 기념일로 삼고 있다.
대한적자사 RCY 사업팀 김수현 팀장은 “청소년적십자사의 학생들의 스승 존경 운동은 선배의 활동을 후배들이 그대로 전수받는 RCY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져 온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올해부터 RCY 학생들만이 아닌 전국의 학생, 전 국민의 공감대를 얻는 스승존경 캠페인으로 거듭나 학생들은 인성을 키우고, 선생님들은 보람과 기쁨을 얻을 수 있었으면 한다”라고 강조했다. 대한적십자사는 ‘참스승을 찾아라’ 에세이, ‘제자들의 통큰사랑’ 4행시 공모전을 여는 한편 스승의 날 발원지 강경고의 KBS 도전골든벨, KBS 한민족방송의 ‘나의 삶, 나의 보람’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스승의 존경 운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