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릴레이기고> 사이버 공간도 현실이다

학교폭력 대응 방안 ⑤ 끝.

최근 새로운 폭력현상인 사이버 따돌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이버 따돌림”이란 인터넷, 휴대전화 등을 이용해 학생들이 특정 학생들에게 지속적·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가하거나, 개인정보 또는 허위사실을 유포해 상대학생이 고통을 느끼도록 하는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사이버 따돌림은 직접적인 신체적 고통이 드러나지 않고 때론 행위자체를 유머러스하게 보기 때문에 가벼운 문제로 치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이버 폭력은 결과적으로 물리적 폭력과 유사하거나, 심지어 그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 전파성, 신속성, 가상성, 시각적 충격성 등의 특징 때문이다.

온라인에서 사이버 따돌림을 당한 아이들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는 현실의 제한된 공간과 시간, 그리고 특정인에 의해 가해지는 상처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 그 결과 자존감의 심각한 감소와 우울감이 나타나고 극단적인 경우 자살을 초래하게 된다.

폭력은 어떤 형태든 본질적으로 비도덕적이다. 사이버 따돌림도 집단이 개인에게 부당하게 폭력을 가하는 행위이므로 반사회적 행위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그런 행위가 발생했을 때 가해자에 대한 법적 처벌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모든 행위에는 다양한 원인이 내재돼 있고 규제만이 능사는 아니다. 행위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묻되, 인간이성의 성숙함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의 사이버폭력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미국은 사이버폭력에 무관용정책

사이버공간은 현실공간과 별도로 존재하는 가상공간이 아니라 현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때론 현실을 지배하는 실제적 공간이라는 인식 하에 처벌 역시 현실 공간에서의 폭력에 대한 처벌과 같아야 한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사이버 따돌림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무관용정책(Zero Tolerance Policy)을 채택하는 주가 늘고 있다.

부분실명제를 모든 포털사이트로 확대하고 주요 포털들을 비롯한 인터넷 사이트들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악성 댓글이나 사이버 따돌림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장치 개발,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도록 하며, 악성 댓글 및 사이버 따돌림 방지 캠페인 활동을 펼치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으로는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무조건적인 비판보다 건설적 대안을 제시하는 올바른 토론문화가 정착돼야 한다. 나와 동일한 생각이 아닌 경우 무조건 ‘악’으로 규정하는 대립적 시각에선 언제나 사이버폭력과 사이버 따돌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학교에서는 사이버 따돌림이 피해자에게 엄청난 고통을 준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의식교육, 가해자 처벌과 학부모 상담 등을 엄격하고 일관성있게 할 필요가 있다.

예방을 위한 공감과 공존 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꾸준히 하고 문제 발생 시에는 갈등해결이나 분노조절 프로그램, 또래상담등을 연계해 시행할 필요가 있다. 피해자들이 부모나 교사 등에게 피해 사실을 솔직하게 알리고 싶은 믿음과 확신을 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 역시 중요하다.

자녀의 온라인 활동에 관심 가져야

무엇보다 사이버 따돌림 예방을 위해 부모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부모가 자녀의 온라인 활동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녀가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를 확인하고, 거실과 같이 가정의 공적인 공간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도록 하며, 핸드폰이나 게임 이용에 규칙을 두고 제한하고, 자녀에게 개인적인 정보는 교환하면 안된다는 것을 교육할 필요가 잇다. 나아가 자녀가 사이버 따돌림을 당했다면 학교에 알리고 가해 내용을 프린트하거나 저장해 놔야 한다.

근본적으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긍정적 정체성을 인식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사이버 폭력의 가해자가 된다는 것이 스스로 인간이하의 존재로 전락하게 되는 수치스러운 일이라는 의식과 사이버공간 내에서의 인격적 관계가 결국 자신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것이라는 의식이 자리잡을 수 있다면 규제는 물론 그에 대한 요구조차도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