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좋은 수업, 자발적 탐색 허용해야

새 학기가 시작된 지 벌써 한 달이 넘었다. 교사들은 봄의 시작과 함께 새 학기를 맞으면 언제나 설렘에 빠진다. 누구든지 해가 바뀌거나 새 봄을 맞으면 좋지 않은 지난 기억은 떨쳐버리고 새로운 기분으로 시작하지 않는가?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교사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교사들의 마음은 새로 옮겨 간 학교, 새로 맡은 학년, 새로 맡은 학급에서 신나고 멋진 교직생활을 하고 싶은 기대로 가득 찬다. 그런 기대 중 가장 큰 것이 새로운 아이들과 함께 좋은 수업을 하고 학생들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다. 수업이야말로 학생의 지속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으로서 교사들이 하는 일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이다.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뤄진다. 즉, 학생들은 교사의 가르침을 통해 배운다. 그런데 학생은 교사가 가르친 대로만 배우는 것은 아니다. 가르치는 대로만 배운다고 하면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학생은 교사가 가르친 것 이상으로 배우기도 하고, 가르친 것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으로 배우기도 한다. 이 점에서 교사가 가르친 것을 학생이 제대로 배우도록 하는 수업이 바로 좋은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좋은 수업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우선,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준비도를 고려해 가르치는 수업이 좋은 수업이다.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준비도를 넘어서는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은 교사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배우는 내용을 어렵게 생각하게 만들고,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떨어뜨린다. 물론 학생들의 학습준비도에 한참 못 미치는 수업도 학습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기는 마찬가지다. 요즈음 널리 강조되는 맞춤형 수업이란 결국 학생들의 학습준비도에 적합한 수업을 하라는 것에 다름 아니다. 학생들의 이해방식과 눈높이에서 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교과내용을 가르치면 학생들은 제대로 배울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와 학생 상호 간에 질문과 대답이 오가는 수업에서 학생들은 훨씬 잘 배우게 된다.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로 하여금 대답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내용을 더 생각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때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고려해 질문하고 대답을 기다려 줘야 한다. 교사의 충분한 기다림은 교과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생각하는 것을 촉진하고 격려하는 계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교과 내용에 대해 계속하여 교사에게 질문할 수 있을 때 제대로 배운다. 학생들의 자발적인 질문은 교과지식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교실의 모든 학생들이 교사가 가르치는 지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식의 원리에 따라 배워 나가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은 미숙하지만 질문이라는 방식을 통하여 나름의 탐색 활동을 시도한다. 교사가 진도 나가기에 조급해 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질문을 제기할 수 있는 허용적 교실 분위기를 조성할 때 학생들은 더 잘 배우게 된다.

또한, 교사가 학생들의 지속적 성장과 성취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높은 기대를 할 때 수업은 활기가 넘치며 역동적이 되고, 학생들은 보다 잘 배우게 된다.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교사의 기대는 대화와 행동으로 알게 모르게 다양하게 표출되고 학생들은 이를 곧잘 알아차리고 그런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내면화한 교사의 긍정적이고 높은 기대는 그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더욱 분발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좋은 수업은 방법상의 기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학생의 학습준비도를 잘 고려하는 것, 질문을 세련되게 하는 것은 방법적 기술이나 기법을 연구하고 연습함으로써 터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자발적 탐색을 가능하게 하고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것, 학생들의 성취와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이고 높은 기대를 하는 것은 교사가 진정으로 학생들을 존중하고 배려하고 사랑할 때 가능한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좋은 수업은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의 기술과 진정한 학습자 존중의 마음과 태도가 함께 어우러져야 가능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새 학기에는 학생들은 좋은 수업을 통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교사들은 가르치는 보람과 기쁨으로 충만했으면 좋겠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