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역’하면 미리 겁부터 먹고 어렵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교과서에 없는 현장의 이야기로 학생들에게 무역이란 무엇인지 체험하고 맛보게 해 주고 싶었습니다.”
지난달 17일 롯데그룹 계열사인 (주)케이피케미칼에서 만난 박상규 영업팀 책임은 점심시간이 끝나고 수업 시작 시간이 되자 “다들 출근 하셨어요? 출근 도장 찍고 자리에 앉으세요”라며 학생들을 불러 모았다. (주)케이피케미칼에서는 교육기부 사업의 일환으로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 지난달 16일부터 이틀간 무역실습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첫날 학생들은 해상적하보험, 통과 관세, 무역 계약, 수출입 대금결제 등 이론적인 내용을 배웠고 이튿날에는 이론을 바탕으로 게임을 하며 무역실무를 실습했다. 학생들은 셀러팀과 바이어팀으로 나뉘었고 각 팀의 영업사원은 협상테이블로 나가 거래를 진행했다. 협상이 끝나면 계약서도 직접 작성했다.
어떻게 협상해야 자신의 팀에 좀 더 이득이 될지 연신 계산기를 두드리며 치열하게 고민하는 학생들의 표정이 제법 진지하다. 광명정보산업고 회계정보과 송이슬(고1) 학생은 협상 게임 내내 선생님들에게 재고 파악법과 협상 스킬 등을 질문하며 배운 내용을 바로바로 협상테이블에 적용했다. 송 학생은 “학교에서는 주로 이론 수업으로 무역을 배웠는데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실질적인 무역용어와 거래과정을 가르쳐주셔서 많은 도움이 됐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영업팀 직원들은 근무시간 외에 밤을 새우며 머리를 맞대고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구성했다. 박 책임은 “학생들에게 조금은 어려운 내용이 아닐까 걱정도 했지만 생각보다 내용을 잘 이해하고 협상과 계약을 성사시키는 것을 보니 가슴이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교육을 총괄한 인사팀 박은정 대리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단순 체험 차원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기업체에서 그동안 쌓아 온 실질적인 노하우를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수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며 “이번 교육기부의 혜택을 받은 학생들이 장래에 구직 활동을 할 때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주)케이피케미칼은 앞으로 학생뿐만 아니라 특성화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무 교육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롯데그룹은 모든 계열사가 교육기부 참여에 나선다. 같은 날 (주)케이피케미칼 울산 공장에서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 20여 명이 직접 공장을 견학 하며 공정 실습을 했다. 이밖에도 ‘롯데카드 청소년을 위한 금융교육’, ‘롯데백화점 어린이 환경학교’, ‘롯데마트 사랑의 PC 나눔행사’, ‘롯데제과 Sweet Factory 체험관’ 등 다양한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롯데그룹 교육기부 프로그램은 ‘교육기부.kr’이나 ‘창의인성교육넷(www.crezone.net)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문의=02)750-7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