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선생님 손은 약손이야…”

작은 논과 밭들이 이어져 있고 멀지 않은 곳에 부드러운 능선이 보이는 전형적인 시골 마을 한가운데 위치한 아담한 초등학교, 전교생이 70명도 채 되지 않지만 어린이들에게는 꿈의 터전이자 나에게는 하루하루 삶의 페이지가 펼쳐지는 곳이다. 겨울이 와서 보건실 창밖 나뭇잎도 져버렸는데 학교버스에서 내려서 운동장가로 걸어오는 어린이들만 파릇파릇하다.

전날 다친 상처를 소독하러 몇 명의 아이들이 다녀가고 1교시 수업중이라 대체로 조용한 시간에 누군가 보건실 문을 빠끔히 열고 들어왔다. 2학년 미진이다.

“미진이~ 어디 아프니?”

‘어디 아프니’는 내가 하루 중 가장 많이 쓰는 말 중에 하나다. 미진이는 속이 좋지 않다고 했다. 여기 저기 아프다 하면서 자주 오지만 잠시 후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잘 노는 아이다. 그래도 혹시나 해서 이것저것 물어보고 살펴보았다. 혈색도 발그레하니 체한 것도 아니고 배를 만져 봐도 특별한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배가 아프다고 하는 것 외에 별 증상이 없는 미진이를 침대에 눕히고 핫팩을 전자레인지에 따뜻하게 데워 배에 올려주었다.

그러고 나서 한 5분쯤 지났을까. 같은 반 소연이가 귀여운 얼굴에 인상을 잔뜩 쓰면서 보건실로 들어왔다. 몇 달 전 전학 온 똘똘이 소연이, 배가 아프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미진이 때문에 덩달아 온 것 같다. 미진이와 함께 조금만 누워있으면 좋아질 것 같다는 말을 했더니 눈을 반짝이며 좋아라했다. 둘이는 한 이불속에서 소곤거리며 놀았다. 10분쯤 지나고 나서 좀 좋아졌냐고 슬쩍 물었더니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다고 해서 교실로 보냈다.

그런데 점심시간에 또 보건실에 왔다. 이번에는 아예 둘이 같이 와서는 입을 모아 아프다고 엄살을 부린다. '하, 요 녀석들 봐라?'

“배 많이 아프다니까요.”

산책이라도 다녀오라고 했더니 둘은 투정을 부리듯 배를 감싸 쥐고 아픈 시늉을 했다. 다시 침대로 들여보냈더니 얼씨구나 좋다 하는 표정이다. 잠시 후 때마침 담임선생님이 들어왔다. 둘이 꾀병 같다고 일러주었더니 담임선생님은 나한테 맡기라는 눈짓을 보내곤 침대칸으로 들어갔다.

“아이구, 우리 강아지들이 어째 이렇게 아플까?”

담임선생님의 갑작스런 방문에 미진이와 소연이는 놀랍고도 반가운 얼굴이 되었다.

“이렇게 아프면 선생님 마음도 아픈데…. 빨리 나아서 쫌 있다가 재미있는 공부할 건데 같이 해야지. 제일 똑똑한 미진이와 소연이가 빠지면 어떡해?”

둘은 벌써 얼굴이 환해졌다.

“내가 배 문질러줄게. 선생님 손은 약손이야, 얼른 나아라….”

담임선생님은 둘의 엄마가 된 것처럼 배를 번갈아 쓱싹쓱싹 문질러주었다. 아이들은 좋아서 그러는 건지 간지러워서 그러는 건지 연신 킥킥거렸다. 보고 있는 내 입가에도 절로 웃음이 번졌다. 결국 둘은 만족스러운 미소를 띠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이불까지 정리해놓고 신이 나서 손잡고 가는 둘을 바라보며 나는 담임선생님에게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려주었다.

미진이와 소연이는 다름 아닌 사랑이 고팠던 것인데, 그것을 눈치 챘으면서도 나는 어째서 한 바가지 듬뿍 퍼주지 못했을까. 사실 미진이는 얼마 전 부모님의 이혼으로 알게 모르게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터였고, 샘이 많은 소연이는 단짝 미진이가 아프다고 받는 관심까지 시샘한 것일 텐데 말이다.

좋은 것만 보고 자랄 수 있다면 참 좋으련만 어린잎에도 거친 바람은 지나가듯이 아이들도 나름의 아픔을 겪을 때가 있다. 아니 어린잎이기에 작은 바람에도 어찌할 바를 몰라 하는 것이리라. 아이들은 마음이 아플 때면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볼 줄도 모르고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도 몰라 짜증을 부리거나 친구와 싸우거나 몸이 아프다고 한다. 우리 눈에는 분명히 아픈 것 같지 않은데 아프다고 말한다면 그 때는 마음의 눈으로 보아야 한다. 가만히 마음의 눈을 뜨고 보면 필요한 약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바로 ‘사랑’이라는 약이다. 이 약은 누구에게나 유효하지만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마법 같은 힘을 발휘한다. 때로는 위약(僞藥)이 되기도 하고 일회용 반창고가 되기도 하며 따뜻한 말 한마디가 되기도 하는 이 ‘사랑’이라는 이름의 약! 사랑만 주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스르륵 아물어서 금세 방긋 웃는 아이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