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이 교원정년 연장을 위한 법안을 제출하고 처리에는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자 6일 충남·북 도교련회장, 시·군 교련회장 등 13명이 자민련을 방문해 항의하고 3월 국회에서 "당론대로 정년 연장법안을 처리할 것"을 강력 촉구했다. 이날 자민련에서는 정년연장 법안 제출자인 조부영 국회교육위원이 이들을 맞았다. 이 자리에서 조부영 의원은 "무리한 교원정년 단축은 잘못된 정책이고 63세로 재조정해야 한다는 자민련의 당론과 개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전제하고 "올 2월말 정년퇴직한 초등교원이 86명에 불과해 정년을 연장해도 교원 부족사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안되고 3년 내 교원 부족사태가 자동적으로 해결된다며 이를 반대하는 교육부와 민주당의 입장이 확고해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이은웅 교총회장직무대행은 "잘못된 교원정책으로 교원들의 사기가 극도로 저하돼 있는데 자민련이 정년 연장을 추진하고 있어 교원들의 기대가 크다"면서 "정년 재조정은 교사부족 사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교직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 교원경시 정책을 시정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정년 연장 안이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박준구 충남교련회장, 민병윤 충북교련회장, 박상복 음성군교련회장, 박무신 아산군교련회장, 정기석 괴산군교련회장, 백정현 부여군교련회장, 이효해 홍성군교련회장 등이 정년 단축이후 교육현장의 황폐화된 모습을 열거하며 "교육부는 3년 내 교사부족사태가 해결될 것이라고 태평한 말을 하지만 3년 후에는 정년퇴직자가 크게 늘어나 향후 10년간 교단 공백이 지속될 것"임을 지적했다. 또한 교총 박진석 교권정책국장은 "자민련이 15대 국회부터 당론으로 정해 추진해 온 교원정년 연장을 이제와 새삼 민주당과 조율 운운해 정년연장의 의지를 의심케 한다"면서 "자민련은 공당으로서의 책임과 40만 교원의 신뢰를 저버리지 말고 이번 국회에서 반드시 정년법안을 처리해줄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