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3만년 비밀 간직한 빙하 한 모금

오윤석 교사의 남극연구체험기
지구과학교사 4명 세종기지서 18일
눈보라 속 지질탐사, 펭귄마을 방문
타 기지들 ‘자원의 寶庫’ 연구 치열



○세종기지는 지금 여름

극지연구소가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모집한 ‘남극연구체험단’에 뽑혀 세종기지에 합류한 우리들. 22차 월동대원 17명이 반갑게 새 식구를 맞는다. 그런데 2박 3일 동안 미국, 칠레를 거쳐 꼬박 30시간 비행 끝에 첫 발을 내 디딘 남극 땅은 생각보다 따뜻하다. 우리에겐 한 겨울인 1월 19일부터 2월 5일까지 세종기지에 체류했으니 주변에선 “얼마나 추울까” 걱정을 했지만 기지 주변은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가 여름이다.

그렇다고 땀 흘리며 활동을 한 것도 아니다. 평균 기온이 -2℃ 정도(바람이 심해 체감 온도는 보통 -7~-8℃)에 눈보라나 비가 잦은 날씨 탓에 으슬으슬한 추위다. 극에 오면서 방한이야 철저히 준비했으니 견딜만하지만 문제는 짧은 밤. 밤 11시 반쯤 진 해가 새벽 2시 반시면 떠오르는 판에 햇살 속에서 잠을 청해야 했다. 한밤에도 일몰 직후나 일출 직전처럼 밝아 별을 거의 볼 수 없다.

1988년 2월 17일에 준공된 세종기지는 서남극 남쉐틀랜드군도 킹조지섬 바튼반도(남위 62도 13분, 서경 58도 47분)에 위치해 있다. 기지 뒤로는 높은 봉우리들이, 그리고 왼쪽에는 마리안소만과 그 안쪽으로 두터운 빙하가 있다. 여름에는 주변 연구 목적의 하계대원들과 체험단이 들어와 많게는 30여명이 묵기도 한다.

○눈보라 속 지질탐사

체험단이 중고교 지구과학 교사 4명과 극지연구소 연구원으로 꾸려지다보니 이튿날부터 진행된 활동은 지극히 ‘지구과학적’인 내용으로 채워졌다. 그중 가장 많은 시간이 할애된 활동은 세종기지 주변 지질탐사. 체험단장인 극지연구소 이종익 박사님이 이끌었다.

눈과 얼음으로만 뒤덮였을 거란 예상과 달리 기지 주변은 오래전 화산활동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마그마, 화산재 등이 굳고 쌓여 형성된 안산암, 응회암 등 거무튀튀한 암석이 지천이다. 우리는 응회암층에서 식물화석도 많이 발견했다.





또 주변이 빙하지형이어서 기하학적인 구조토도 쉽게 볼 수 있다. 구조토는 토양 속 수분이 얼고, 녹고를 반복하면서 자갈 등이 표면으로 솟아 기하학적인 형태를 이룬 것.
이틀 동안 주변을 헤맨 우리는 날카로운 빙퇴석(빙하와 함께 쓸려 내려온 돌)으로 덮인 봉우리를 아무 등산 장비 없이 서 너 번씩 오르내리느라 녹초가 됐다. 하지만 그보다는 수시로 몰아치는 눈보라와 비가 발목을 잡았다. 극지라 시릴 만큼 깨끗한 하늘, 태양을 기대했건만 하루에 해를 보는 시간은 아침에 잠깐 뿐이다.

하루는 초속 32미터의 강풍과 한치 앞도 볼 수 없는 눈보라를 동반한 블리자드까지 경험할 수 있었는데 그 위력이 기지를 흔들 정도였다. 하지만 남극의 눈보라를 언제 다시 맞을 수 있겠나. 하나라도 더 보고, 느끼고, 얻어 가겠다는 열정만큼은 늘 뜨거웠다.

○3만년 전 공기 맛을 보다

세종기지 주변 마리안소만 해안에는 빙하절벽이 발달해 있다. 우리는 조디악을 타고 빙하 끝단까지 접근해 직접 탐사했다. 지금으로부터 약 3만년 전에 형성된 빙하 속에는 신기하게도 기포들이 알알이 박혀있다. 그 옛날의 공기와 미생물이 빙하 속에 갇혀 형성된 것이다. 세종기지에서는 이 빙하와 빙하 속 미생물을 주요하게 연구한다. 진화, 유전, 환경 등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빙하는 남극 연구의 꽃이다.

하지만 빙하는 점점 빠른 속도로 녹고 있다. 10년에 걸쳐 세 번째로 들어왔다는 한 대원은 몇 년 전에 비해 육안으로도 느낄만큼 빙하가 많이 녹았고, 기지 주변에 얼음이 녹아 드러난 땅도 상당히 넓어졌다고 증언했다. 실제로 빙하는 지난 몇 년 동안 수 백 미터나 녹아 대륙 쪽으로 후퇴한 상태고, 빌딩 높이만 했던 위용이 이제는 5, 6미터에 불과해져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그대로 전해줬다.





착잡한 심정을 달래려는 듯, 기지 월동대원들은 깨어져 나온 그 빙하로 팥빙수를 만들어 내왔다. 또 저녁 숙소에서는 대원들과 소주잔 속에 빙하 한 조각을 넣어 기울이며 기막힌 만년빙을 음미할 수 있었다. 잔 속에 얼음이 녹으며 기포들이 톡톡 터지는 소리도 신기하지만 3만년 전 공기 맛을 본다는 게 더 경이롭게 느껴졌다. 남극의 밝은 밤, 잔 부딪치는 소리가 더해갈수록 이 태고의 결정체가 남극의 주인으로 쩌렁쩌렁 호통치길 바라는 마음도 커져만 갔다.

○펭귄마을엔 냄새가 더 많다

남극 펭귄마을 방문 때다. 도대체 얼마나 많길래 펭귄마을일까? 2㎞ 남짓 걸어가며 온통 기대 속에 도착한 펭귄마을은 그야말로 펭귄 천지다. 척 봐도 천 마리가 넘어 보인다. 재밌는 건 가운데 난 길을 경계로 윗마을엔 젠투펭귄이, 아랫마을엔 턱끈펭귄이 제 영역을 지키며 옹기종기 사는 모습이다. 가까이 가도 멀뚱멀뚱일 뿐이다.




하지만 ‘남극의 신사’와 어울리지 않는 지독한 변 냄새가 코끝을 찌른다. 배설물이 얼마나 오래 쌓였는지 걸을 때면 양탄자처럼 땅이 살포시 밟힌다. 지질답사 차 이 길을 여러 번 지났는데, 돌아올 때마다 신발을 눈에 닦아야 했다. 펭귄 한 마리 꼭 데리고 오라는 부탁을 제일 많이 받았는데 냄새 때문에 도무지 펭귄 손을 잡을 수가 없었다.

남극에서는 식용으로 생물채집이 안 되지만 대구회를 실컷 먹은 기억도 생생하다. ‘곤욕의 땅’ 펭귄마을 앞 바다로 10여분을 나가 대구낚시를 한 이유는 순전히 연구목적(?)이다. 기지에서 대구 내장을 연구하는 한 대원을 위해서였다. 소고기를 썰어 단 낚시바늘에는 팔뚝만한 대구가 1시간 만에 40여 마리나 잡혔는데, 우리는 다량의 연구용 내장을 제공하고, 쓸모없는 살들은 뱃속에 버렸다.

○대륙기지 필요성 느껴

불순한 일기로 연구체험이 원활하지 못한데 더해 기대했던 남극야영체험은 안전상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바로 기지 주변에 남극물개와 코끼리해표가 서식하고 있기 때문. 송곳니가 날카롭고 접근하면 공격적이 된다. 웅크리고 있으면 얼핏 바위처럼 보여 더 위험한데 몇 년 전에는 타국 기지 대원이 물려 죽기도 했단다. ‘1박2일’을 기대했던 체험단은 야영은커녕 숙소에서 나갈 때도 2인 1조로 다녀야 했다.





세종기지는 남극대륙 서쪽 반도의 부속섬에 위치해 있다. 남극 주변부(남위 62도)에 있다는 한계 때문에 극점이나 대륙 중앙부에서 진행되는 오로라 관측이나 운석탐사활동을 경험할 수 없었다. 하지만 개인적인 아쉬움을 넘어 연구 폭에 제약을 받는 부분은 우리가 대륙 깊숙이 제2기지를 세워야 할 이유다. 현재는 후보지 답사가 진행 중이며, 이 때문에 운석 연구 차 대륙을 오갈 때는 모터스키 등의 장비 대여에 비싼 요금을 치러야 한다.

킹조지섬 남쪽 해안에 위치한 각국 기지들을 방문하면서 그런 마음은 더 간절했다. 필데스 반도에 있는 칠레 프레이 기지, 러시아 베링스하우젠 기지, 중국 장성 기지, 우루과이 아르티까스 기지에서 본 대원들의 치열한 연구와 대륙기지와의 정보 공유가 내심 부러웠다.
극지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100년간 쓸 석유가 매장돼 있는 등 자원의 보고를 둘러싼 열강의 영유권 쟁탈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대륙기지가 필요하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세종기지의 존재, 임무, 필요성을 아는 학생이 얼마나 될까. 그동안 나 역시 미디어를 통해 검색한 내용으로 수업을 하다보니 뒷맛이 개운찮다. 하지만 이제는 제대로 말할 수 있다. 남극연구체험으로 얻은 지식, 경험이 내겐 큰 밑천이 될 듯 싶다.

세종기지가 타국 기지와 함께 남극서 벌이는 과학활동과 그 의미, 우리의 자랑스런 과학자들을 생생히 알리고, 극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왜 지속돼야 하는지, 그리고 우리 학생들이 극지에 관한 일을 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 지 분명히 말하려 한다.

남극연구체험단의 가장 큰 임무는 바로 지구상 마지막 보고(寶庫), 극지에 대한 꿈과 희망을 아이들에게 심어주는 일이 아닌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