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작은이야기> 급식실 '새 소동'

오늘 점심시간이었다. 점심을 먹기 위해 급식실로 줄을 서서 들어섰을 때 ‘푸드덕’하는 소리와 함께 새 한 마리가 날아들었다.

“어? 새다! 새.” “어디? 어디?” 급식실은 금새 혼란스러워졌다.

당황한 새는 이미 제정신이 아닌 듯 이리저리 날아다니며 유리창에 부딪히고 그러다간 의자 밑으로 곤두박질치기를 반복했다. 아이들은 밥 먹을 생각은 않고 숟가락을 든 채 눈으로 새를 쫓기에 바빴다.

나는 그 새를 밖으로 내보내야한다는 생각에 창가로 가서 창문을 열려고 했지만 방충망이 고정되어 열 수 없었다. 그 때 의자 밑에서 정신을 차린 새가 날개짓을 했고 나는 얼른 의자를 놓고 창틀로 올라서 위 창문을 2개 열어 놓았다. 그러나 높고 작은 창문이 새의 눈에 띄지 않는지 새는 엉뚱한 곳에서 몸부림을 쳤다.

나는 마음이 다급해졌다. 조금 있으면 고학년들이 올 것이고 그러면 급식실은 아수라장이 될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나는 ‘새가슴이 된다는 뜻이 이런 것이구나’를 생각하며 덩달아 나도 새가슴이 됐다.

‘얘, 마음을 가다듬고 잘 살펴보렴. 네가 나갈 곳을 내가 열어 놓았어.’ 새에게 마음의 응원을 보냈지만 의자 밑에 숨어 있는 새는 꼼짝도 하지 않았다. 새가 보이지 않자 아이들은 언제 그랬냐는 듯 조용히 밥을 먹었다.

잠시 후 새는 조용히 날아 방충망에 옮겨 붙었다. 머리를 요리조리 움직이며 살금살금 옆으로 기며 나갈 길을 찾기 시작했다. 새는 내가 열어 놓은 이층 창문 쪽으로 조금씩 가까이 다가갔다. ‘그래, 그래. 조금만 더 위로 가봐.’

내 마음을 알았는지 새는 고개를 갸우뚱하더니 힘차게 하늘로 솟아올랐다. 나도 순간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얘들아, 새 날아갔어.”
“와! 정말요.” 아이들도 초롱초롱 한 눈망울에 기쁨이 가득하다.

“선생님, 저 새도 박씨를 물어 올까요? 선생님이 살려 주셨잖아요.”
내 옆에서 이 광경을 지켜보던 대겸이가 웃으며 물어보았다. 얼마 전에 배운 흥부와 놀부 이야기와 은혜 갚은 꿩이 문득 생각났던가 보다.
“글쎄, 마음속으로는 고마워하겠지.” 복도 끝에서 고학년들이 급식실로 몰려오고 있었다.
 충남 부여초 교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