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2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교원평가제 등에 반대, 대규모 연가투쟁에 나선 데 대해 "교사의 본분을 포기한 행동"이라고 비판하고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여야는 또 정부에 대해서도 전교조의 요구를 수용하지 말고 불법 연가투쟁에 엄정 대처할 것을 주문했다.
열린우리당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학생을 가르쳐야 할 교사들이 입시가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연가투쟁을 벌이는 것은 현행법상 불법일 뿐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온당치 않다"며 "정부는 연가투쟁에 엄정하게 법대로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희상(文喜相) 전 의장은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교사들이 기득권을 지키려고 학생의 학습권을 볼모로 집단행동을 하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라며 "과거 교수평가제 도입을 주장해 박수를 받았던 전교조가 정작 자신들에 대한 평가를 반대하는 건 전교조 답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국회 교육위 소속 정봉주(鄭鳳株) 의원도 "입시철에 교원평가제 문제로 연가투쟁을 벌이는 것은 교사의 본분을 완전히 포기한 것"이라며 "전교조의 강경행동이 국민에게 받아들여진다거나 정부와 정치권이 집단행동에 밀려 요구를 수용할 것이라는 기대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강재섭(姜在涉) 대표는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민주노총의 집회와 전교조의 연가투쟁이 잇따라 열리는데 이것은 참여정부가 말하는 참여가 아니라 '참여의 과잉'"이라며 "일찍이 우리가 '공공의 적'으로 규정한 바 있는 무분별한 집단 이기주의에 대해 정부는 공권력을 동원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재희(全在姬) 정책위의장은 "교직원노동조합법상 전교조의 연가투쟁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국민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전교조는 초기 전교조가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기준(兪奇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연가투쟁은 학생을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도구로만 생각하는 것이며 철밥통을 지키려는 비(非)교육자적 행동"이라며 "불법행위를 거듭하며 자신들의 이익만을 주장하는 전교조는 국민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스스로 존립 기반을 붕괴시키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상열(李相烈) 대변인은 "참교육을 실현한다는 취지로 출범한 전교조가 지나치게 정치적 활동에 치우치기보다는 본래의 취지대로 돌아가야 한다"며 "노동자들의 활동도 법 테두리 내에서 이뤄져야 하며 그 결과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박용진(朴用鎭) 대변인은 "연가를 내는 것은 합법적인 일이고 일부러 수능 기간을 피해 수업에 차질이 없도록 애를 쓰는데도 불구하고 검찰까지 나서 사법처리 운운하는 것은 교사로서의 기본적 권리를 무시한 것일 뿐 아니라 정부가 오히려 불법을 저지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