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력 있는 국내 대학평가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평가 객체인 대학이 자유롭게 평가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오성삼 건국대 교육대학원장은 건대 새천년관에서 22일 열리는 '대학평가 혁신 심포지엄'에 앞서 21일 발제문을 공개, "지금까지의 대학평가는 상대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대학을 여건이 좋은 대학의 들러리로 세웠을 뿐 발전을 독려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오 대학원장은 "국내 대학평가는 평가대상 학과가 개설돼 있는 모든 대학을 평가대상으로 삼아 순위를 매겨왔는데 이는 공공적 성격을 지닌 교육부나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대학을 한 줄로 세워서 보여주길 바라는 사회의 그릇된 분위기에 편승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평가 참여를 의무로 하지 않아도 공인된 평가를 받지 못한 학교나 학과는 교육수요자로부터 외면받기 마련"이라며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대학이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한 준비에 매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평가제의 취지를 살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오 대학원장은 "국내 모든 대학이 단시간에 국제 평가인증을 받도록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며 ▲최소한의 기본조건 충족여부 평가 ▲국내의 분야별 전문평가기구에 의한 평가 ▲국제평가인증기구에 의한 평가 등으로 평가제를 삼원화시켜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평가학회와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주관으로 열리는 심포지엄에서는 오 대학원장과 함께 이종서 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이 기조 발제에 나서 내년에 개설할 예정인 한국고등교육평가원 운영 방향 등 정부의 대학평가정책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