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대다수의 중.고교 사학 법인에서 이사장 및 이사의 친인척이 해당 학교 교직원으로 근무, 사학 족벌운영 체제가 만연한 것으로 밝혀졌다.
28일 전북도교육청이 교육인적자원부 국감자료로 제출한 '법인별 이사장 및 이사, 학교관련 친인척 근무현황'에 따르면 이사장 또는 이사의 친인척이 해당 학교 교직원으로 근무하는 곳은 도내 67개 중.고교 사학법인(109개 학교운영)중 무려 51곳에 135명으로 나타났다.
직책별로는 교장이 14명, 교감 6명, 평교사 55명, 행정실 직원이 60명 등이다.
또 이들 가운데 이사장 및 이사의 자녀가 45명으로 가장 많았고 동생(사촌 포함)이 28명, 조카 24명, 배우자 8명 순이었다.
특히 김제지역의 A법인은 한 교정에 있는 중.고교에 이사장의 배우자와 형수, 사촌형제 등 친인척 7명이 교감 및 교사·행정실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고 또 다른 교사 1명도 이사의 처남으로 드러나 '가족 회사'라는 지적이다.
이밖에 이사장의 친인척 3∼4명이 한 학교에서 근무하는 학교도 적지 않았으며 정원 7∼9명인 사학법인 이사들 중 1∼2명을 이사장의 친인척으로 구성한 학교법인도 상당수에 달했다.
도내 67개 사학법인 중 이사장의 자녀 및 친인척이 이사로 이름을 올린 곳은 모두 42곳에 달했다.
전교조 전북지부 관계자는 "등록금 대비 법인전입금의 비율인 재정자립도가 1%도 안되는 도내 사학이 30%를 웃돈다"면서 "설립자가 투자는 하지 않고 정부보조금을 받아 학교를 운영하면서 친인척을 대거 고용한 것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려 부실사학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