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교육당국이 한 번 대학교수 자리에 앉으면 평생을 가던 종신제를 버리고 실적평가를 통한 임용제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의 근본이 됐던 공유개념을 버리고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은 자본주의 경쟁체제를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이 교육계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가장 먼저 도입한 곳은 수도 베이징(北京)시여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베이징시 교육위원회와 시 인사국은 최근 교수 임용제 채택을 골자로 하는 '베이징시 관할 대학교수 임용제 실시의견' 규정을 시달했다고 경보(競報)가 22일 보도했다.
시험시행안(試行)이란 단서가 붙은 이 규정에 따르면 시 관할의 대학과 전문대학에서 앞으로 교수와 부교수 등의 종신제를 취소하고 교수 초빙임용제와 교직원의 임용계약제를 전면 실시하기로 했다.
이 규정을 적용받는 시 관할 대학은 수도사범대, 수도경제무역대, 베이징연합대, 베이징공업대, 수도의과대, 베이징청년정치학원 등 33개 대학 및 전문대 등이며, 칭화(淸華)대와 베이징대 등 교육부 관할 대학은 제외된다.
규정은 대학교수의 임용에 있어 공개모집, 평등경쟁, 엄격심사, 계약관리의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교수의 처우와 보직은 매년 한 차례의 심사를 통해 조정하도록 했다.
교수의 직무도 강의, 연구, 실험 등의 전담직으로 세분화해 직능을 심화시킴으로써 교육과 연구활동의 질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베이징시는 1987년 이래 매년 한 차례의 심사평가를 거쳐 일단 교수로 임명되면 평생 그 신분과 자격이 변하지 않는 종신제를 유지해 왔다.
시교위 인사처 쑨산쉐(孫善學) 처장은 초빙임용제 시행으로 종신제는 사라지고 능력에 따라 직위와 급여가 달라지는 시스템이 도입됐다면서 현직 교수 가운데 심사를 통해 교수직을 박탈당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