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고 고등 교육을 받는 사람들의 비율이 경쟁국에 비해 뒤쳐지는등 교육 체계가 전반적으로 후퇴하고 있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밝혔다.
OECD 조사에서 미국은 25세-34세의 성인중 고교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이 선진산업국가중 9위에 머물렀으며 학사학위를 가진 사람들의 비율에서도 벨기에와 함께 공동 7위에 그쳤다.
OECD의 배리 맥고 교육국장은 미국이 20년전만 해도 이 두가지 기준에서 모두 세계 1위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정보를 경제부문에 투입하는 '지식경제' 분야에서 아직 1위를 달리고있지만 교육이 경제에 기여하는 정도는 약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OECD는 각국의 교육정책 효율성을 평가하기위해 해마다 이같은 분석 통계를 작성하고있다.
이 보고서는 15세를 기준으로 미국 학생들의 실제생활 수학 적용능력을 평가한 결과 유럽이나 아시아 등에 비해 뒤떨어지고 평균치이하로 나타난 반면 한국과 핀란드,네덜란드,일본,캐나다,벨기에는 최고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맥고국장은 미국이 교육에 투입하는 비용을 감안할 때 이같이 저조한 성적은 학교교육체제가 "명백히 비효율적"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미국은 전체 교육과정에서 학생 1인당 1만1천152달러를 써 스위스의 1만1천334달러에 이어 세계 2위를 달리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