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24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파란 가을 하늘이 높아가고 있다. 가을 색의 대표는 이맘쯤 수확을 기다리고 있는 연 겨자색 물결 볏논이다. 조생종 벼들은 이미 수확을 마치고 빈 논 벼 그루터기에는 새잎이 자라고 있다. 제법 튼실한 대봉감이 붉어지는 볼로 풀숲에 툭 떨어져 있다. 돼지 감자꽃이 노랗게 하늘거리고 황금빛 들판이 점점 더 무르익어가는 늦은 오후이다. 저수지 둑길 따라 바람에 흩날리는 햇살이 눈 부신 억새꽃 넘어 가을로 오고 있다.

 

 

추석이 코 앞이다. 오일 장날은 햇 오곡과 백과가 여문 가을과 추석 냄새로 가득하다. 마음 바쁜 어르신은 벌써 추석장 보기에 미소가 가득하다. 추석 하면 뭐가 떠오를까? 고된 일상을 뒤로하고 가족들과 서로 만나 애틋한 정을 나누는 모습, 귀성객과 귀성 차량 행렬로 대이동 물결이 방송을 탄다. 그리고 조용하던 시골 동네, 적막강산이던 시골집이 떠들썩하고 헤어졌던 가족과 친지, 동창들과 수다스러운 만남이 설레는 기분 좋은 날이다. 지나면 그 시간은 그리움이 따라가고 애틋함과 함께 추억의 책갈피로 남겨져 가슴이 깨질 듯 슬픔이 더 큰 것 같다.

 

 

추석 하면 떠오르는 냄새가 있다. 잘 익은 과일의 달큰함과 구수한 떡 냄새, 비릿한 조기 냄새에 시장을 거니는 발걸음이 자꾸만 멈춰진다. 집에서 냄새도 진하다. 다 익어 속살까지 꽉 찬 보름달이 너무나도 밝은 가을 저녁, 동네 어귀의 노오란 가로등 불이 무색하리만치 옥색 달빛은 온 동네를 비추고 있다. 가을 저녁의 선선한 바람은 귀뚜라미 울음소리와 함께 옆집, 앞집의 고소한 부침개 냄새를 온 동네로 실어 나르고 있다. 이내 우리 집에도 그 냄새는 들린다. 바람은 정지의 황토벽까지 그 냄새를 기름지게 실어 집 담장을 넘어 불어간다. 곤로 위 프라이팬은 식용유를 튀겨가며 부침개를 부쳐내고 이내 커다란 대광주리에 켜켜이 쌓인 채 한껏 달아오른 몸을 식힌다. 눈을 감고 천천히 부침개가 쌓여 있는 대광주리를 들여다본다. 부추전, 파전 등 요즈음은 부침개가 넉넉한 편이다. 하지만 부쳐지는 양 못지않게 주워 먹는 손길 또한 만만찮다. 찰싹 찰싹 손 등을 맞아가면서도 그 손은 기어이 동태전 하나를 움켜쥔다.

 

 

추석은 여름내 길어 지저분했던 머리카락을 단정하게 이발시키고 꾀죄죄한 몸뚱어리를 뽀얗게 빚어내는 날이다. 하얀 쌀가루로 빚어낸 송편은 솔가지 위에서 익어가고, 햇과일들은 반지르르한 향을 낸다. 부침개를 다 부쳐낸 프라이팬은 이내 커다란 조기를 얹어 지져낸다. 가을 햇살과 바람으로 적당히 말려진 호박, 가지고지는 고사리며 도라지 등 여러 나물과 함께 참기름 들기름으로 볶아지고 무쳐진다. 어림잡아 대엿 근은 됨직한 검붉은 고깃살로 탕과 주림 육전을 만들면 비로소 차례상이 그득해 보인다.

 

차례를 준비하는 전날 유년의 모습이다. 곤로의 케로신 냄새, 짭조름한 조기 냄새, 고소한 부침개 냄새, 나물을 무쳐내던 참기름 냄새. 녹진한 탕국 냄새가 기억의 코끝을 훔치는 추석 냄새다. 친척 어르신이 가져온 빨갛게 포장된 네모진 종합 선물 세트의 쿠키랑 껌 냄새도 빼놓을 수 없다. 흙담을 따라 알록달록 희나리가 진 감나무의 빨간 홍시 냄새도 기억한다. 지금은 사라져 버린 추억 속 추석 냄새다.

 

이제 코끝을 훔치는 기억도 사라져 추억도 바래졌나 본다. 추석은 달력에 빨갛게 칠해져 그냥 쉬는 날, 누군가에게 줄 선물을 고민해야 하는 날이다. 온 동네를 내 달리며 개구쟁이였던 내 모습과 아이들의 명절 소음도 그립고, 온 동네를 자욱이 떠돌던 그 냄새가 그리운 오늘이다.

 

며칠 전이다. 문득 아이들에게 추석하면 떠 오르는 것을 포스트잇에 한두 가지 써 보자고 했다. 그랬더니 용돈, 송편, 가족, 달이었다. 1위를 차지한 것이 용돈이라는 것에서 아이들의 추석 기대감에 세대 차이를 느끼며 모든 것을 돈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이 아쉬워진다. 어쩌면 추억도 돈으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할지도 모를 일이다. 또 다른 누구는 아주 오래전 어릴 적 추석은 달랐다면서 요즘 세태를 나무라지 않을는지 모른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을 받아들여야 한다.

 

 

잠깐 추석을 소회 해 본다. 본래 추석은 정월대보름, 6월 유두, 7월 백중과 함께 보름 명절이다. 그 가운데서도 정월대보름과 추석이 가장 큰 명절이다. 대보름은 새해 처음 맞는 명절이기 때문에 크게 느껴지지만, 추석은 수확기가 시작되는 시기의 보름 명절이어서 더 큰 명절처럼 느껴진다. 추석을 다른 말로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추석은 고대 농경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신라시대에는 이미 일반화된 명절로 자리 잡았다고 한다. 중국인들은 추석 무렵을 중추(中秋) 또는 월석(月夕)이라 하는데, 예기(禮記)에 나오는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한가위, 추석은 우리나라서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가족과 함께 모여 조상의 은혜를 기리며 즐겁게 지내는 날이다. 이 명절은 특히 가을의 풍요로운 수확을 감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들판에 넘실대는 황금물결과 온갖 과일들이 갖가지 색깔을 발하며 자태를 뽐내는 계절이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고 말해왔다. 계절마다 어김없이 풍요를 선사하는 자연과 마찬가지로 우리 세상사도 서로 나누고 베풀면 더욱 풍성해진다는 가르침을 주는 것만 같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이런 의미는 쇠퇴해지고 명절 연휴 하면 긴 휴식과 해외여행을 떠나는 일상이 되고 있다.

 

 

추석의 본질은 풍요로움을 다 같이 느끼는 기회를 만드는 것이다. 현대의 풍요는 농업사회 수확의 날에서 나오지 않는다. 산업과 기술의 성장은 사회의 풍요를 일상화했다. 경쟁과 효율을 따르는 사회의 풍요는 불균등하다. 결국 사회는 풍요롭지만, 개인은 일상화된 불평등을 해결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몰고 오기도 한다. 오랜만에 집안 가득한 기름 냄새에도 몰려 앉아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는 대화에도 허기는 채워지지 않는다. 추석과 풍요의 본질은 과거와 다르고 앞으로도 달라질 것이다. 그렇다고 냉소적일 필요는 없다.

 

세상은 여전히 추석 하면 그립다. 김춘수의 차례란 시의 일부를 떠 올린다.

 

“추석입니다 할머니 / 홍시 하나 드리고 싶어요 / 서리 내릴 날은 아직도 멀었지만 / 기러기 올 날은 아직도 멀었지만 / 살아생전에 따뜻했던 무릎, ~ 그러나 그 뜨거웠던 여름은 가고 / 할머니 / 어젯밤에는 달이 / 앞이마에 서늘하고 훤한 / 가르마를 내고 있어요 / 오십 년 전 그날처럼/.”

 

잊혀 가는 것에 아쉬움도 있지만 세상의 변화를 받아들이며 옛일과 유년을 반추해 보며 추석 냄새도 떠 올려 보는 것도 내 빈약한 감성을 살찌우는 추석이 되지 않을까?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