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교원평생교육활동 지원법' 제정 이후 첫 정기총회를 7일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가진 한국교육삼락회총연합회(회장 최열곤)가 학교 특기적성 명예교사 지원, 가정교육 운동 전개 등을 골자로 한 2004년도 사업계획안을 확정했다. 삼락회는 우선 퇴직교원들을 평생교육 요원화해 교원 부족시 대체교사로 활용하도록 조직화하고 각급학교의 특기적성 교육, 특별활동에 기간제 교사나 명예교사로 활동할 계획이다. 또 무너져 가는 가정교육의 기능을 제고하기 위해 가정교육 독본을 제작·배포하고, 평생교육 교양강좌 등을 개설한 인터넷 대학원 운영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불우 청소년 결연지도, 충효교실 운영 등으로 청소년 선도에 나서고 교육유공자 발굴·격려, 우수 교육사례집 발간, 효행·선행자 표창 및 사례발표, 교육 현안에 대한 세미나 개최 사업도 병행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삼락회는 정기총회에서 "교장선출보직제는 학교행정의 전문성의 무시한 발상으로 교사와 관리직을 대결구도로 몰아 교직의 안정을 해치므로 도입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또 삼락회가 평생교육활동과 문화시민운동에 앞장 설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에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건의했다.
2003-10-09 15:46전국시도교육위원회의장협의회(회장 나영수·서울교위의장)는 6일 강원도교육위에서 열린 의장협의회에서 해당 지역 의무 임용과 중초 임용, 병역특례 등을 골자로 한 초등교원 확보방안을 마련, 교육부에 건의했다. 의장협의회는 건의문에서 "교대 정원을 증원하고 신입생 선발시 교육감에게 일정 비율의 지역배분제나 신입생 추천권을 부여해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일정기간 근무를 의무화하는 '의무임용제도'를 향후 5년간 유지할 수 있도록 법제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단기적으로는 영어, 컴퓨터, 과학, 예체능 교과의 경우 중등교사자격 소지자를 기간제 교사로 임용하도록 정원을 배정하고, 장기적으로는 중등 자격자를 일정기간 연수 후 초등교사 자격을 주고 일정기간 농어촌에서 근무하도록 관련 법규를 개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일정기간 농어촌 근무를 희망하는 교사에게 공익근무요원으로 병역의 의무를 대체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고, 초등교사 수급대책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근본대책을 강구해 줄 것을 촉구했다.
2003-10-09 14:50학술진흥재단에서 지원하는 연구비가 서울대를 비롯한 이른바 일류대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진흥재단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지원한 연구과제 총 7393건 중 1357건(18.35%)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에 집중됐다. 1억원 이상 지원한 프로젝트 237건 중 64건(27%)이 이들학교에 지원됐고 이중 5억원 이상의 연구과제 총 16건 가운데 5건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에 지원됐다. 1억원 미만의 연구과제에서는 3년간 100건 이상 지원대 곳이 14개 대학ㄱ에 총 2861건으로 나타났다. 반면 10건 이하로 지원된 대학이 248곳이었으며 3년간 한 건에 불과했던 곳도 141개 대학에 이르렀다.
2003-10-09 14:36경기도교육청이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신설 개교했거나 예정인 학교 304개교를 대상으로 최초 설립계획서상 개교일과 실 개교율을 비교한 결과 당초 계획대로 신설된 학교는 고작 2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육청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의 54.26%에 달하는 168개교가 1년 이상 개교가 지연됐으며 1년 미만 6개월 이상 지연된 곳이 44개교 14.47%, 6개월 미만 지연된 학교는 29개교 9.53%였다. 반면 개교예정일을 앞당겨 개교한 학교는 2개교로 나타났다. 결국 79.27%가 개교 예정일을 지키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로 보면 1년 이상 개교가 지연된 비율은 초등학교 50%, 중학교 57.6%, 고등학교가 73.1%로 나타나 고등학교가 가장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03-10-09 14:36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한국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와 협약을 통해 초·중·고 대학생 사용자 및 비영리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스타스위트7 통합 오피스 프로그램을 무상 제공키로 하고 8일 기증식을 가졌다. 스타스위트7은 한국 썬에서 최근 발표한 통합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 그래픽 소프트웨어, 데이터 소스 관리툴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윈도우, 솔라리스, 리눅스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활용 가능하며, 소스가 공개돼 있어 누구든지 소스를 활용한 연구와 기능향상에의 참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스타스위트7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에듀넷(www.edunet.net)이나 한국 썬 마이크로시스템즈(www.sun.co.kr)에 접속한 후, 제품 파일을 다운로드해 자동설치하면 된다.
2003-10-09 14:35'한글'의 모든 것을 담은 최초의 온라인 박물관인 '디지털한글박물관(www.hangeulmuseum.org)'이 한글날인 9일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역사관, 조형예술관, 교육문예관, 학술정보관, 미래관 등 모두 5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돼 있다. 용비어천가, 월인석보 등 한글 고문헌을 비롯해 한글의 창제원리와 변천사, 옛 글꼴, 3차원 가상현실 기술로 구현한 가상 한글 전시관 등이 내용으로 들어간다. 또 용비어천가 초간본 3, 4권, 월인석보 15, 25권, 번역소학 4권, 다산 정약용의 명물소학이 최초로 공개되는 한편 화살촉, 도자기, 기왓장, 실패, 제문과 악보 등 한글이 쓰인 생활물품 등 한글 생활사 자료도 3D 이미지로 담아 접할 수 있게 했다. 세종대왕과 주시경 선생 등 한글을 창제, 보급한 인물들도 소개되며 영상 자료뿐 아니라 텍스트와 음성자료 등도 있다. 이번에 제공되는 자료는 그동안 개인이나, 민간단체에서 소장하고 있어 일반인이 접하기 어려웠던 한글 고문헌 자료 450여 종 4만5천 면에 대한 원문을 디지털화해 인터넷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했고, 이들 자료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쓴 해설자료(전문가용·일반인용 1만 1천매)도 함께…
2003-10-09 14:34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운영하고 있는 에듀넷의 회원수가 올해 들어 감소추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학술정보원이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에듀넷 회원은 2003년 7월 현재 504만859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555만여명에 비해 50만명이 줄어든 수치다. 교육학술정보원은 6월 기준으로 비실명자등 불량 회원 68만여명을 정리했다고 밝혔지만 학교급별 회원 현황을 보면 주 이용자의 감소추세는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7월 현재 학생과 교사를 제외한 기타 회원이 199만8462명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에듀넷의 주 이용대상자로 선정된 초·중고생과 교사가 60%에 불과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지난해 183만1553명이었지만 올해는 100만6883명으로 80여만명이 감소해 감소율이 45%에 달했다. 또 중학생은 지난해 115만123명에서 97만9921명으로 17만여명이, 고등학생도 지난해 95만7270명에서 올해 77만2283명으로 18만 여명이 감소했다. 이밖에 교사 회원도 34만6309명에서 29만1045명으로 5만여명이 감소했다. 기타 회원을 제외한 교사 및 학생 순수 감소 인원이 120만명이 넘어 비실명자 등 불량회원 6
2003-10-09 14:3341일간의 등교거부 투쟁이 끝난 부안 지역 47개 초중고가 다시 돌아온 학생들로 활기를 되찾았다. 더욱이 오랜 시간 빼먹은 수업을 보충하느라 어린 초등생들까지 때아닌 '0교시'에 '방과후 보충수업'을 받느라 학교의 하루는 분주하기만 하다. 6일 부안교육청이 '오전 수업시간 조정과 오후 수업시간 연장으로 2학기 학습진도를 맞출 것'을 당부하면서 각 학교들은 학년별 수업결손 시간을 산출하고 보충수업 계획을 짜 실천에 옮기고 있다. 학교마다 사정은 다르지만 오전 등교시간을 20∼40분 앞당기고 오후 수업을 1시간 연장해 하루 2시간씩 보충학습을 편성하고 있다. 12일간 휴교를 했던 동진초(6학급)는 전학년이 오전수업 시간을 40분 앞당긴 8시 20분에 시작해 사실상 0교시를 진행한다. 방과후에도 1∼4학년은 4교시까지만 있는 요일이면 수업을 1시간 더 한다. 이에 따라 주당 1·2학년은 8시간, 3·4학년은 7시간, 5·6학년은 5시간의 수업 보충이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 동진초는 학생들이 학교에 나오지 않는 동안 마을회관 2곳, 교회 2곳을 빌려 6명의 교사가 2주 이상 오전수업을 진행해 아이들의 수업 결손을 줄일 수 있었다. 현재 학교가 파악한 수업결손은 1·
2003-10-09 14:14진학과 취업률이 저조해 매년 신입생이 미달되는 등 자생력을 잃어가던 인문, 실업고가 진학·취업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하는 통합형 고교(이하 통합고)로 전환한 뒤 명문고로 거듭나 화제다. 9일 충남 천안 병천고에서 열린 '통합고 시범운영 합동보고회'에서 병천고 등 5개 통합고는 "1년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거쳐 2학년 때부터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진학과정과 취업과정을 선택 이수하면서 대학 진학은 물론 취업률도 껑충 뛰어오르고 신입생마저 몰리고 있다"며 "통합고가 고사 직전의 실업고를 되살릴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2001년부터 3년째 통합고 체제를 운영한 이들 학교의 유형은 크게 계열분리형(병천고, 장성실고), 계열통합형(성주고, 강남종고, 증평정보고) 2가지다. 1학년 때는 계열 구분 없이 국민공통교육과정을 배우고 다양한 진로탐색과정을 거쳐 2학년 진급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게 하는 것은 같다. 다만 계열분리형은 2학년 때 학생 선택에 따라 문과, 이과, 미용과, 정보과 등으로 과가 분리되는 반면, 계열통합형은 과로 분리되지 않고 인문사회코스, 자동차정비코스, 정보전자코스 등 다양한 코스를 선택하고 관련 교과들을 이동수업을 통해 이수하는 점에서 다
2003-10-09 14:01현대 과학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 중 하나로 블랙홀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놀랍게도 블랙홀의 실존 여부는 아직 불명이다. 물론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이 그 존재를 믿고 있다. 구체적 통계는 없지만 굳이 수치화 한다면 99.9% 이상이 아닐까 여겨진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100%라는 수치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이런 점에서 블랙홀은 실존 여부가 확증되지 않은 채 역사상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자연과학적 존재로 꼽힌다. 블랙홀 관념을 처음 떠올린 사람은 영국의 물리학자 존 미첼로 1783년의 일이었다. 그는 뉴턴의 만유인력 이론을 기초로 태양보다 250배 이상의 무거운 별에서는 빛도 탈출하지 못해 '검은 별'로 보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착상이었을 뿐 더 이상 진지한 과학적 연구로 이어지지 못했다. 그러다가 1915년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뒤 상황이 급변했다. 이듬해 슈바르츠실트는 아인슈타인의 중력 방정식을 처음으로 풀어내어 블랙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사건의 지평선'이란 개념을 내놓는 한편, 그 안에 물질의 밀도가 무한대로 되는 특이점이 형성됨을 보였다. 1939년 오펜하이머는 중성자별의 질량
2003-10-09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