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9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광주시교육청은 최근 사교육비 경감과 조기유학 감소를 위해 영어교육활성화 방안을 마련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광주시교육청은 먼저 영어전용학습캠프인 EIC를 확대 운영한다. 초등학교의 경우 여름․겨울 방학 기간중에 각각 180명식 총 360명이 9개 초등학교에서 영어체험학습활동을 하게 된다. 중등은 매기 30명씩 총 14기에 걸쳐 420명을 대상으로 상황․내용․놀이 중심 활동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또한 원어민 보조교사를 단계적으로 확대 배치한다. 올해에는 20명에서 30명으로 증원하고 2010년까지는 모든 중학교에 원어민 교사를 우선 배치하고 초교와 고교에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배치할 계획이다. 원어민 외부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중에 있다. 광주 지역에 소재한 미군부대 소속 가족이나 대학 소속 원어민들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학교와 협조해 영어체험학습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학생들의 실생활에서의 영어사용을 유도하는 영어전용구역 설치 시범학교도 운영한다. 광주과학고에 영어전용구역을 설치 시범 운영하고 그 성과를 통해 점차 확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 광주시교육청은 ▲1일 1영어문장 외우기 사업 활성화 ▲국제교류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권장 ▲시․구청과 협력 영어마을 조성 ▲외국어고 설립 추진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활성화 ▲영어평가방법 개선 ▲외부인적자원 확충과 인력풀 체제 구축 등을 추진키로 했다.
EBS와 경기도가 영어 능력 향상을 통한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권영만 EBS 사장과 손학규 경기도지사는 1일 경기도청 국제회의실에서 제휴 협정서에 서명하고 △공동 프로그램 제작과 운영에 필요한 인적·물적 지원 및 교류 △대한민국 최고의 영어교육 브랜드 구축 및 공동마케팅의 전개 △영어 콘텐츠 개발·제작·협찬 등에 대해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두 기관은 운영위원회를 설치해 세부 협력에 나설 예정이다. EBS 관계자는 “다량의 영어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EBS와 대규모 집단 연수가 가능한 ‘영어마을’을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가 협력함으로써 영어 사교육비 경감, 글로벌 인재 양성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학교 2학년이 되던 해부터 나는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직장관계로 객지에 계시던 아버지가 설을 쇠러 오셨을 때 주신 세뱃돈으로 일기장을 한 권 산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후 8년간 연속해서 일기를 썼고 그 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부정기적으로 일기 쓰는 일을 계속했다. 어떤 의도를 가지고 시작한 일도 아니고 누가 권해서 시작한 것도 아니었다. 자발적으로 시작한 이 일기 쓰기는 사춘기 시절의 내게 큰 힘이 되어 주었다. 사춘기적의 분홍빛 사연이 고스란히 담겼고 청소년 시절 내 독서 편력이 일기 속에 다 드러나 있다. 갈등과 번뇌까지도 모두 담겨 있으니 그 시절 일기장은 나의 벗으로 나의 모든 사연을 다 들어주었다. 조금 성장한 후에는 좀 더 자유롭게 일기를 썼다. 하루일과가 끝나고 잠자리에 들기 전 하루를 반성하면서 일기를 쓰는 고전적 방식이 아니었다.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아침에도 쓰고 낮에도 쓰고 저녁에도 썼다. 잠자리에 들었다가도 떠오르는 생각이 있으면 다시 불을 켜고 일어나 일기를 썼다. 하루에 두 번도 쓰고 세 번도 쓰고 며칠씩 쓰지 않기도 했다. 분량의 제약도 받지 않았다. 어느 날은 서너 줄을 쓰고 어느 날은 일기장을 가득 채우기도 했다. 대학 노트를 이용한 후로는 한결 자유롭게 썼다. 한 줄도 쓰고 몇 줄도 쓰고 반 페이지도 쓰고 두세 장이 넘게 길게 쓰기도 했다. 내용에도 제한을 두지 않았다. 하루 동안의 체험을 쓰는 것에 머무르지 않았다. 물론 겪은 일도 기록했지만 생각하고 느낀 것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일기를 쓰는 시간에도 떠오르는 생각이 있으면 그 생각을 계속 기록해 나갔다. 펜을 잡고 있으면 생각은 더욱더 꼬리를 물게 마련이다. 때로는 명상이나 사색을 통해 얻게 되는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도 일기에 담았다. 어느 때는 시를 적기도 하고 독후감을 적기도 하고 감명 깊었던 책의 구절을 옮겨 적기도 했다. 한 때는 여러 달 동안 영어로 써보기도 했는데 그것은 영어 공부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안네의 일기'를 흉내 내어 '키티'(Kitty)라는 친구에게 나의 모든 얘기를 털어놓는 대화의 형식으로 써보기도 했다. 이렇게 쓴 일기가 해가 갈수록 쌓여 군대를 갈 무렵엔 8권까지 되었다. 일기장들은 내 책장 한 쪽에 늘 자리하고 있었다. 가끔 꺼내 읽으며 나의 발자취를 돌아보곤 했다. 거기엔 사춘기적의 교우관계, 장래 희망에 대한 진지한 모색, 좋아하던 여학생에 대한 열렬한 사랑고백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성장 과정이 모두 기록되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결혼을 하기 전 방을 정리하면서 나는 어떤 의식을 치르듯 일기장을 한 권 한 권 꺼내 모두 찢어 쓰레기통에 넣었다. 결혼을 앞두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겠다는 나의 다짐의 일환이었다. 그 일기장이 귀중한 기록이거나 소중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개인사적으로 볼 때는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 다시 읽는다면 아마 너무 유치하다고 느끼게 될 것이 분명하다. 당시에도 다시 읽을 때마다 나의 독서량이 많이 부족했다는 느낌을 받곤 했기 때문이다. 다듬어지지 않은 문장이며 풋내 나는 사춘기적 이야기 일색이어서 고소를 금치 못할 수도 있다. 인생에 대한 안목도 빈약했다. 그러나 나는 그 일기를 썼던 행위에 언제부턴가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문학에 심취하고 교내 백일장에서 입선하고 학교 대표로 전국 규모 대학 백일장에 나가는 등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바로 일기를 통해 문장 수련을 한 결과라고 결론을 내렸다. 문학은 문장력을 바탕으로 한다. 아무리 풍부한 상상력과 다양한 체험도 문장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문학 작품으로 탄생될 수가 없다. 사춘기 시절 일기 쓰던 행위가 나의 문장 수업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는 걸 성인이 된 후에 깨닫게 되었다. 문장의 수련 뿐 만이 아니었다. 하루의 생활을 돌아보며 자신을 성찰하고 떠오르는 생각을 계속 기록하던 일이 곧 사고의 훈련 과정이었으며 논리적 사고의 바탕이 되었을 것이다. 성인이 되어서도 늘 마음 한 구석에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그 시절 일기를 썼던 습관에 기인한다고 나는 단언한다. 나는 일기를 쓰며 방황과 갈등을 다스리고 극복했다. 사랑에 대한 갈증을 해소 할 수도 있었다. 그것은 곧 문학 행위와도 같은 것이다. 일기를 쓰면서 나는 열심히 문학의 습작 활동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젊은 날의 방황은 참으로 길고 험난했다. 결혼을 하고 나는 비로소 안정을 찾았다. 이후 나의 생활에 조그만 변화가 생겼는데 바로 그 동안 잊고 있던 문학에 다시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떠오르는 생각을 일기장에 기록하는 일이나 습작노트에 떠오르는 생각을 기록하는 행위는 동일한 것이다. 문학이 조금 더 세련된 표현이나 짜임새 있는 구성은 요했을 것이다. 그러나 생각과 체험을 쓴다는 점에선 동일하다. 나는 열심히 썼다. 옛날에 일기를 쓰던 그 열정으로 시를 썼다. 생활의 애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일기장에 털어 놓듯 작품 속에 담아냈다. 상당 기간의 습작기를 거쳐 나는 시집을 내기로 하고 인천의 중진시인 랑승만 선생님의 발문을 받아 첫 시집을 발간했다. 요식행위에 불과한 것이긴 하지만 문단의 등단 절차를 밟고 싶었지만 쉽지가 않았다. 신춘문예도 응모해보고 문예지에도 몇 군데 작품을 보내봤지만 연락이 없었다. KBS의 한 프로그램에서 실시했던 백일장에 입선했을 뿐이고 여기저기 신문과 교양잡지의 독자란에 습작 몇 편이 실렸을 뿐이다. 그러나 나는 나의 작품에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추천을 받지 못했어도 나의 작품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스스로 믿고 작품집을 계획했다. 한국문단의 원로이신 서천 랑승만 선생님께서는 과찬의 발문으로 필자를 격려해 주셨다. 나는 학생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다. 일기를 쓰라는 것이다. 한 줄이라도 좋고 이삼 일 건너뛰어도 좋다. 그러면 여러분의 논리적 사고력은 한층 향상될 것이다. 작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영어로 일기 쓸 것도 권하고 싶다. 자신도 모르게 영어에 자신감이 붙게 될 것이다.
십 년 전쯤이었다. 미국에 한 달 간 여행할 기회가 있어서 로스앤젤레스를 비롯한 서부에서 2주일, 동부 뉴욕과 캐나다 등지에서 2주일을 지내게 되었다. 하루는 우연히 도시 외곽에 있는 방대한 규모의 아룰렛(Outlet)에 들러 여기 저기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물건들을 구경하였다. 이 곳 저 곳 아이쇼핑을 하다가 내 발길이 머문 곳은 서적 코너였다. 정가보다 싸게 판다고 하기에 책이나 한권 사려고 매장을 둘러보다가 눈에 띈 것이 'Mother, I love you forever'와 'I Keep Falling in Love with You'이다. 하나는 어머니에 관한 시만 모아놓은 시집이고 하나는 사랑에 관한 시만 모아놓은 시집으로 둘 다 Susan Polis Schutz라는 시인에 의해서 편집된 것이다. 사랑에 관한 영미 시는 너무 많이 읽어본 터라 새삼스러운 것이 없다고 하더라도 어머니에 관한 시를 모아놓은 것은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어머니 하면 나는 제일 먼저 우리나라의 어머니들이 생각난다. 물론 나의 어머니를 포함해서이다. 남존여비와 남아선호사상이 팽배했던 우리나라에서 여성들은 인권을 유린당하기도 하고 자유와 평등이 박탈당하기도 했다. 한이라고 하는 독특한 정서를 가슴에 품어야했던 쓰라린 역사의 주인공이었다. 이러한 독특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어머니들은 강인한 모성으로 자식들을 낳아 길렀고 그런 어머니들은 자식들의 마음속에 각별한 정서를 잉태시켰던 것이다. 그렇게 한국의 모성은 자식들의 마음속에 깊이 각인되었기에 우리는 어머니 하면 제일 먼저 우리의 어머니 한국의 어머니, 아니 나의 어머니가 가슴에 사무치게 된다. 아주 당연하게 그렇게만 생각하던 차에 외국의 한 대형 아울렛에서 발견한 아담하게 꾸며진 어머니에 관한 시모음집은 나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여행이 끝나고 귀국하여 나는 찬찬히 시집을 읽어보았다. 시는 언어와 의미를 최대한 압축하기 때문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의미전달이 수월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 시집의 시집들은 평이하기 이를 데 없었다. 나는 시집을 읽어보다가 나중에는 대학노트에 한 편 한편 번역하기에 이르렀다. 번역을 하면서 우리나라 시인들의 어머니에 대한 시와 미국 시인들의 어머니에 관한 시를 자연스럽게 비교해보게 되었다. 그럼 먼저 우리시를 한편 보기로 한다. 어머니 한하운 어머니 나를 낳으실 때 배가 아파서 울으셨다 어머니 나를 낳으신 뒤 아들 뒀다고 기뻐하셨다 어머니 병들어 죽으실 때 날 두고 가는 길을 슬퍼하셨다 어머니 흙으로 돌아가신 말이 없는 어머니 이 시는 낳을 때부터 죽은 후에까지도 어머니의 사랑을 놓지 못하는 자식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낳을 때부터 그리고 한 평생 다 살고 저승으로 떠나면서도 자식을 놓지 못하는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눈물겨운 사랑이 드러나 있다. 즉 어머니와 자식간의 뗄래야 뗄 수 없는 영원한 사랑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우리 민족의 애환과도 관련이 있고 우리나라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정서 '한'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신분적으로 여성이 차별 받던 사회에서 모성애는 더욱 강렬하게 발휘되었을 것이다. 자식에 대한 사랑과 헌신은 어쩌면 차별과 멸시에 대한 반작용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자식에 대한 지극한 사랑과 헌신으로 자란 자식들은 그 희생과 사랑의 어머니상을 영원히 가슴에 품게 된다. 가슴 속에 담긴 어머니는 바로 한국시인들의 시에 다름 아닌 것이다. 그럼 미국시인의 시를 한 편 보자. 사랑하는 어머니 디나 베이서 오늘이 어머니의 생일도 아니에요 어머니의 기념일도 아닙니다 어머니날도 아니에요 그냥 평범한 오늘일 뿐이에요 제가 더 이상 돈이 필요해서도 아니에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생긴 것도 아닙니다 "어머니 사랑합니다'라고 그냥 말하고 싶어요 Dear Mother Deanna Beisser I know it's not your birthday or your anniversary or even Mother's Day It's just an ordinary day I don't need any money and I don't have a problem to solve.... I just wanted to say "I love you." 이 시에도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 잘 나타나 있다. 그렇지만 한 많은 어머니에 대한 자식의 눈물겨운 회한이 서려 있지는 않다. 돈이 필요하면 어머니를 찾았는데 오늘은 그런 것이 아니다. 어려운 문제가 있으면 어머니와 의논하고 힘을 얻곤 했는데 오늘은 그런 것도 아니다. 특별한 날에 ‘어머니 사랑해요’라고 말하곤 했지만 오늘은 그런 날도 아니다. 그냥 ‘어머니 사랑해요’라고 말하고 싶어졌다는 다분히 사춘기적인 감상이 배어있는 시인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애틋한 감성이라기보다는 어머니와 자식간의 객관적이고도 이성적인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어머니와 자식간의 관계가 상당히 객관적이고도 이성적인 기반 위에 설정되었다는 점이 이 시집의 대부분의 시에서 감지되는 보편적 특징인 것이다. 그럼 영시 하나를 더 본 다음에 우리시를 한편 더 보기로 한다. 어머니 쉐일라 디 스트릿트 저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그것은 곧 우리들의 문제였습니다 제가 어떤 결정을 내리던 어머니는 저를 지지해주셨어요 제가 잘못을 했을 때라도 어머니는 제 편을 들어주셨어요 그 때가 바로 제가 어머니를 가장 필요로 하는 때임을 어머니는 다 깨닫고 계셨습니다 저를 철두철미 믿어주셨기 때문에 저도 제 자신을 신뢰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더 이상 어린애가 아닌데도 어머니는 여전히 저의 성장을 돌봐주셨지요 부모님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저의 친구가 되어주시기도 하기 때문에 저는 항상 어머니를 의지 할 수가 있습니다 Mother Sheilah D. Street Whenever I have a problem, it becomes our problem. You support me in whatever decisions I make, and even when I'm wrong, you stand beside me because you realize that's when I need you the most. Your belief in me is so strong that you've made me believe in myself Even though I am no longer a child, you are still helping me to grow. I can always depend on you, not just because you're my parent, but because you're also my friend. 이 시에서도 한결 같이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어머니와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문제가 있을 때 함께 해결해주고 내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도 내 편을 들어주는 어머니, 내가 커서 독립한 후에는 친구처럼 옆에 계시는 어머니를 노래하고 있다. 이 속에서 우리는 어머니의 인고의 세월이나 눈물겨운 희생의 모습을 발견할 수는 없다. 자식에게 전 삶을 바친 신격화된 어머니의 모습은 아닌 것이다. 우리 시를 한 편 더 보자. 어머니날에 서정주 "애기야......" 해 넘어가 길 잃은 애기를 어머니가 부르시면 머언 밤 수풀은 허리 굽혀서 앞으로 다가오며 그 가슴 속 켜지는 불로 애기의 발부리를 지키고 어머니가 두 팔을 벌려 돌아온 애기를 껴안으시면 꽃 뒤에 꽃들 별 뒤에 별들 번개 뒤에 번개들 바다에 밀물 다가오듯 그 품으로 모조리 밀려들어오고 애기야 네가 까뮈의 이방인의 뫼르쏘오같이 어머니의 임종을 내버려 두고 벼락 속에 들어앉아 꿈을 꿀 때에도 네 꿈의 마지막 한 점 홑이불은 영원과, 그리고는 어머니뿐이다. 물론 내가 읽은 미국의 어머니에 대한 시 모음집이 최고의 시인들의 탁월한 시가 아닐 지도 모른다. 그런 시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인들의 시와 비교하는 것이 정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에 대한 서양의 시를 접해 보지 않다가 모처럼 구한 수십 편의 어머니 시 모음집을 궁여지책으로 텍스트로 삼았음을 독자는 이해하기 바란다. 이 글이 동서양 시의 학문적 비교가 아니라 단지 일단의 미국 시인들의 어머니에 대한 생각의 일단을 살펴본 것에 불과하다는 점도 참작하기 바란다. 위 시는 미당의 시다. 이 시엔 동양적 신비감이 시의 전편에 흐르면서 신화적 상상력이 동원되어 있다. 물론 서양의 시에도 어머니가 신격화되어 있는 시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텍스트로 삼은 시집에는 한결같이 어머니와 화자가 일정하게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특징이 발견된다. 나는 이 시집을 읽으면서 미국의 시인들의 한결같은 어머니 사랑과 미국 어머니들의 지극한 자식 사랑을 볼 수 있었다. 우리는 효라고 하는 단어가 영어에는 없다는 말로 우리의 효 문화를 자랑으로 삼는다. 그러나 자식의 지극한 어머니 사랑, 그것이 바로 효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문화와 관습에 따른 차이는 있을지언정 부모자식간의 사랑에 있어 어찌 동서양이 다르겠는가.
신아연 | 호주칼럼니스트 2월, 새 학년 시작을 앞두고 지난해의 묵은 교과서와 노트, 필기도구 등을 제 방 한가득 펼쳐놓고 정리하는 아들애를 돕다가 잡동사니 사이에 묻힌 유난히 낡은 과학책에 눈길이 머물렀다. 겉장은 벌써 어디로 떨어져 나가 없고 손때로 갈피갈피 말려 올라간 각 페이지, 여백의 군데군데 낙서까지, 지난 한 해 동안 아들애의 손에 몸살을 앓았을 과학책의 고단함이 한 눈에 읽히는 듯했다. 옆에 있는 영어와 수학책도 꼴이 남루하기는 마찬가지인데 올해까지 계속해서 2년 연속 써야 하는 체육책은 그나마 좀 얌전하게 간수한 듯했다. 대학의 원서 버금가는 두꺼운 지질의 교과서가 이 지경이 될 정도로 책을 험하게 다룬 아들애에게 한마디 주의를 줄 법도 하건만, 책 더미 속에서 과학책의 표지를 찾는 손길 중에도 잔소리는커녕 오히려 흐뭇하고 내심 대견하기조차 했다. 아들애가 지난 1년간 사용한 과학 교과서는 실은 헌책이다. 표지 안쪽에 쓰여 있는 우리 아들의 이름 위에 또 다른 두 아이의 이름이 쓰여 있는 것으로 보아 교과서의 주인이 3년 내리 세 번이 바뀌었던 모양이다. 지난 해 9학년(한국의 중학교 2학년)을 시작하면서 아들애는 새 교과서를 갖고 싶어 했다. 그러는 녀석을 타일러서 되도록 깨끗하게 사용한 헌 책을 사도록 했는데 영어, 수학, 사회 등 죄다 남이 쓰던 것으로 장만하던 중에 과학책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새 책, 새 공책, 새 필기도구로 산뜻하게 새 학년을 시작하고 싶었던 소망이 일그러져서 제 딴엔 기분이 후줄근했을 텐데도 녀석은 헌 책들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여 학년말에는 우등상도 받고, 특히나 과학과목은 학년 전체에서 최고점수를 받았다. 갖가지 펜으로 어지럽게 밑줄이 그어진 공식하며, 연습문제 풀이에는 새 주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이미 해답이 쓰여 있는 열악한(?) 환경의 교과서를 가지고도 우수한 성적을 냈으니 책을 좀 험하게 다루었다한들 대수일 것도 없고, 어미의 마음에는 그저 기특하기만 할 뿐이었다. 우리 애 뿐 아니라 호주에선 매해 학년이 바뀔 때마다 교과서 구입을 놓고 부모와 자식들 간에 작은 실랑이가 벌어지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선배들의 교과서를 물려받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대개는 부모들의 뜻을 따르게 된다. 교과서뿐만 아니라 교복과 체육복, 가방, 심지어 신던 구두조차도 후배들에게 물려주어 재활용 할 수 있는 데까지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새 학기 시작을 앞둔 1월 초순경에, 더 이상 필요 없는 교과서나 교복 등을 팔고 싶어 하는 학생들로부터 수거하여 일정한 값을 매겨 신학기 준비물 기간동안 판매를 대행해 준다. 물건이 팔리는 대로 각 개인별로 집으로 수표를 보내주기 때문에 학생들은 되도록 빨리 새 임자를 만나게 하려는 조바심에 평소 사용할 때도 깨끗이 취급하는 습관을 들이게 된다. 부모 마음으로는 자식한테 다른 것도 아니고 교과서 하나쯤 새 것으로 사주지 못하랴 싶지만, 만만치 않은 신학기 준비물을 생각한다면 보통 가정에서는 그도 쉬운 노릇은 아니다. 고등학교 교과서도 새 책으로 구입할 경우 과목당 5만원 내지 10만원을 훌쩍 넘는 게 보통이고, 여기에 교복을 비롯해서 학용품 및 기타 신학기 필요용품을 전부 합치면 한 자녀 당 최대 80만원을 상회하기도 한다. 초등학교의 경우는 이보다 덜 들지만, 호주에서는 1년간 필요한 수업 준비물 일체를 새 학년 새 학기에 한꺼번에 일괄 갖추도록 하기 때문에 집집마다 목돈이 필요하고 형제가 여럿이다 보면 감당하기가 벅찬 가정이 많다. 그러다보니 되도록이면 쓰던 것을 물려받거나 비싼 값을 치루고 새로 산책은 절반이라도 건지기 위해 학생들의 신학기 용품 재활 습관이 자연스럽게 뿌리를 내리게 되는 것이다. 교과과정이 개편되어 교과서가 바뀌지 않는 한 학교마다 펼치는 책 물려받기 전통은 좀체 대가 끊어지지 않으면서 학부형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데 한 몫을 하는 것이다. 한편 이맘 무렵이면 형편이 어려운 가정들의 새 학기 준비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사회도 십시일반 도움의 손길을 펼친다. 평소 생활 곳곳에 알뜰살뜰 배어있는 이 나라의 재활용 문화가 이웃을 향해 보람과 빛을 발하는 순간 중의 하나로 재활용품 판매 대금으로 장학금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 가정에서 내다버린 생활 집기나 옷가지 따위를 모아 깨끗이 수선하고 정리 정돈한 후 재활용 가게를 통해 1~2달러의 값으로 팔아 모은 수익금의 일부를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의 학자금이나 학용품 구입비로 환원을 하는 것이다. 재활용 기금을 통해 고등학교부터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매년 50~100만원 정도를 보조 받으면서 학업을 마친 학생들의 경우 비록 액수가 많지는 않지만 그 돈이 모아지기까지의 따스한 손길과 정성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한 푼을 쓸 때에도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감사를 표하곤 한다. 재활용품점은 또 신학기가 되면 시내 각 학교로부터 학생들의 작아진 교복이나 헌 가방 등을 수집하여 대대적인 할인판매에 돌입한다. 깨끗이 손질이 된 물건을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잇점으로 인해 자녀수가 많거나 소득이 낮은 가정들을 단골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라면 누구나 무엇이 되었건 자식들에게 최상의 것을 해주고 싶고, 학업이나 학교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마련해주는 것에는 그 정성이 더욱 앞서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비용이 만만치 않고, 그로인해 학생들 간에 위화감이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이라면 호주 학교처럼 빈부 구분 없이 아예 헌 책으로 공부하는 것을 전통으로 굳혀 버린다면 학생들이나 부모들이나 마음 언짢은 일 없이 새 학기를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선배들의 수고와 땀, 노력의 흔적이 여기저기 배어 있는 교과서의 갈피갈피를 넘기면서 앞서 걸어가면서 빠뜨린 공식이라도 있다면 뒷사람이 챙기며 따라가는 재미도 느끼면서 말이다.
국립국어원은 작년 주요 신문과 방송 뉴스에서 사용된 신어를 조사한 ‘2005년 신어’ 보고서를 펴냈다. 작년 한 해 동안 어떤 단어가 새로 만들어졌고 또 어떤 말들이 자주 쓰였을까. 보고서는 2005년 신어 408개, 2004년 신어 344개, 2003년 신어 341개, 2002년 신어 187개, 1995년 신어 1339개 등 총 2619개 어휘를 다뤘다. 지난해 언론에 가장 많이 등장한 신어는 8개 매체에서 총 241회 나타난 ‘스쿨 폴리스(school police)’가 차지해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사회 각계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스쿨폴리스’는 퇴직교원, 경찰관, 사회복지사 등이 교내외 학교폭력 예방지도를 담당하는 제도로, 교육부는 작년 5월부터 이 제도를 부산 지역에서 시범운영하기 시작했다. 스쿨폴리스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배움터 지킴이’라는 순우리말로 명칭을 바꾸기로 한 바 있다. 이외에도 최근 인권위 권고안으로 논란이 됐던 생리통으로 인한 결석을 출석으로 인정해 주는 ‘생리 공결제’나 어린 자녀를 가진 직장인이 정시에 퇴근하는 날을 가리키는 ‘육아데이’ 등의 단어도 많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생충김치’, ‘납김치’ 등의 중국산 식품 관련 신어와 ‘공시족(公試族)’, ‘공시촌(公試村)’, ‘금융고시’ 등 직업 선호도를 반영한 신어도 눈길을 끈다. 특별한 경향을 가진 사람들의 무리를 의미하는 접미사‘-족(族)’은 2002년에 49개, 2003년에 54개, 2004년에 39개의 신어를 만들어 낸 데에 이어 2005년에도 45개의 가장 많은 파생어를 탄생시켰다. 사회 변화에 따라 새로 생긴 제도의 명칭을 나타내기 위해 쓰인 ‘-제(制)’도 ‘생리 공결제, 대리 배달제’ 등 6개의 신어를 만들어냈다. 영역별로는 ‘관고민저(官高民低)’ 등 사회 영역의 신어가 157개(38.5%)로 가장 많았고, ‘세다이어트’, ‘안방펀드’ 등 경제 분야 신어가 7.4%, 통신(5.9%), 정치(4.2%), 의학(2.5%), 법률(2.2%), 교육(1.5%) 등이 뒤를 이었다. 외래어 구성요소는 영어가 129개(89%)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신파라치’, ‘서울시파라치’ 등 파파라치에서 파생된 이탈리아어도 7개(4.8%)를 차지했다. 한편 국립국어원이 10년 전에 조사한 1995년 신어 1339개 단어를 다시 살펴본 결과, 이 중 1.1%에 해당하는 14개 단어가 현재는 쓰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밤에만 조깅을 하는 사람들을 일컫던 ‘검프족’은 영화 ‘포레스트 검프’의 유행이 지난 뒤 사라졌고, 자녀에게 친필 메모를 전하던 ‘글사랑족’도 전화와 이메일이 활발한 현재는 쓰이지 않고 있다. ‘안기부’라는 기관명칭과 함께 사라진 ‘안기부맨’, 영어 사용이 급격히 늘면서 ‘노세일(no sale)’, ‘도어 핸들(door handle)’이란 단어에 자리를 내준 ‘무세일’과 ‘문열개’ 등도 자취를 감춘 대표적인 단어들이다. 국립국어원 측은 “신어의 생성은 사회 현상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면서 “어떤 말이 새로 만들어지는가, 만들어진 말이 얼마나 많이 쓰이는가를 살펴보면 우리 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부터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는 중ㆍ고교가 서울지역 전체 학교 중 50%까지 확대되고 초등학교에는 수준별 수업이 권장된다. 31일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수준별 이동수업 실시 중ㆍ고교가 지난해 전체 대비 40%에서 올해 50%로 확대되고 내년에는 60%로 늘어난다. 작년 3월 현재 서울지역 중학교는 363곳이고 일반계 고교는 214곳이다. 수준도 2단계이상에서 3단계이상으로 확대된다. 즉, 수준별 반이 상급반과 하급반에서 상급반과 중급반, 하급반 등으로 세분화된다. 교육청은 이를 위해 추가 학급 편성에 따른 강사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교사용 영어 1학년 수준별 이동수업 교재 3종을 보급하고 수학과 영어 교과에 걸쳐 수준별 이동수업 관련 연수 및 워크숍도 개최하기로 했다. 특히 중학교 11곳과 고교 10곳 등 21곳을 수준별 이동 수업 중점학교로 선정, 운영하기로 했다. 이 중점학교에서는 수준별 수업 학급을 많이 편성함으로써 가급적이면 소수의 학생들이 집중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하위 수준 학급의 학생수를 최소화해 효율적인 일대일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도록 했다. 교육청은 초등학교의 경우에도 수준별 수업을 적극 권장하기로 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개인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별 이동 수업을 강화키로 했다"며 "수준별 이동수업이 정착되면 평준화 보완을 통한 공교육이 내실화하고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역할은 많다. 학교에서는 학생으로, 집에서는 첫째 딸로서, 친구들 사이에서는 동등한 관계인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각각의 역할에 따라 불리워지는 이름 또한 다르다. 충실히 그 이름에 알맞은 일을 해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름에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나를 어떻게 보아주는 가에 따라 쓰는 단어와 심지어는 걸음걸이와, 옷도 달라진다. 그러고 보면 세상에는 선생님이 많다. 물건을 사러 갔을 때도 점원은 처음 보는 손님에게도 친절하게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쓰기도 하고, 수많은 학원에 학원 선생님들도 많다. 나 역시 또한 주위사람들에게 쑥쓰럽지만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듣는다. 나에게 배우는 꼬마도 곧잘 나에게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또한 나에게도 선생님이 많이 계신다. 방학을 맞이해 영어에다 시험준비로 학원을 다니는 중이다. 학원가에 보면 전단지에 누구 선생님의 강의가 좋네 그사람은 별로네 라는 평가가 많다. 길가에서 나누어 주는 전단지에도 '선생' 이 많다. 한 단어 차이지만 '선생님'과 '선생'의 차이는 실로 크게 다가온다. 왜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붙이지 않을까 궁금하다. 선생도 선생님이고 선생님도 선생이라고 할지 모른다. 하지만 선생님을 대하는 학생과 선생을 대하는 학생을 웬지 모르는 다른 느낌이 든다.
충북교육청은 오는 2월 14일 도내 2006학년도 중학교 입학예정자 전원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진단평가를 실시한다. 평가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등 5개 과목에 걸쳐 실시되며, 6학년 교육과정의 국가수순 성취기준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출제한다. 충북도교육청 관계자는 “중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해 중학교 수학능력을 진단하고 7차교육과정의 수준별 운영을 위한 자료 등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한편 도교육청은 이번 평가 결과를 제출받아 도내 초등학교 6학년의 학업성취 수준을 분석한 후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피드백 자료로서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여유있는 교육"에서 '학력중시 교육'으로 선회하고 있는 일본에서 명문대학 진학률이 높은 공립 중.고일관학교의 인기가 갈수록 치솟고 있다. 공식집계는 없지만 6년간 계획적인 교육을 통해 도쿄(東京)대학 등 이른바 명문대학 진학률이 사립명문고등학교를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마이니치(每日)신문에 따르면 2월 3일 필기시험(적성검사)을 실시하는 도쿄도내 5개 공립일관학교의 입학경쟁률은 대부분 10대 1이 넘는다. 각 학교가 발표한 경쟁률은 고이시카와(小石川)중등교육학교가 155명 모집에 1천907명이 응시해 12.3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을 비롯, 료고쿠(兩國)고교 부속중학교가 10.8대 1, 오슈칸(櫻修館) 9.7대 1, 하쿠오(白鷗) 6.3대 1, 구단(九段) 11.1대 1 등이다. 이중 구단중등교육학교를 제외한 4개 학교는 초등학교 성적부의 내신을 참고자료로 심사하는 서류전형을 통과한 사람에 한해 필기시험을 보게 한다. 응시자중 몇명에게 필기시험 기회를 줄 것인지는 시험장소 사정 등을 고려해 각학교가 결정하지만 줄잡아 3명중 1명은 필기시험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립 하쿠오고교 부속중학교의 경우 작년에 2천54명의 응시자중 필기시험을 본 사람은 720명에 불과했다. 하쿠오의 모집인원은 144명이다. 도쿄를 제외한 수도권 광역지방자치단체에서도 공립 일관학교가 늘고 있지만 서류심사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학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3년 문을 연 도쿄 인근 사이타마(埼玉)현립 이나(伊奈)학원중학교는 올해 1천352명의 응시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필기시험 응시자를 160명으로 제한했다. 중고일관학교는 일본 정부가 교육의 다양화를 목표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6년간 같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1999년 도입했다. 2005년 현재 전국에 공립 120개, 사립 50개, 국립 3개 등 173개가 있으며 앞으로 500개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일본에서는 도요타자동차 등 유력기업들이 영국의 이튼스쿨을 모델로 설립한 엘리트학교 '가이요(海陽)중등학교'가 개교 전부터 전국적인 화제가 되는 등 명문학교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올 봄에 입학생을 처음 뽑는 가이요중등학교의 경쟁률은 7.7대 1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 정부 구조개혁특구추진본부 평가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가 교과과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해 공립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식과목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하는 제도를 2008년부터 도입키로 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보도했다. 현재는 국가가 학습지도요령에서 초.중학교에서 가르칠 과목을 정하고 있다.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고 성적도 매기지 않는 '종합학습'의 하나로 영어를 가르치고 있으나 정식과목으로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사교육비 절감 차원에서 방과후 학교를 대폭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으나 관련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해 사업 추진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3일 학교에서 원어민 영어, 예체능 특기 등을 가르치거나 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른바 '방과후 학교' 활성화 계획을 2006년부터 전면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방과후 학교란 현행 방과후 교육활동을 교육과정 운영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확대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사교육 수요를 학교내에서 흡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부는 당시 방과후 학교가 대통령 공약사항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노무현 대통령 내외의 시범학교 방문을 통해 사교육비 절감이라는 학부모들의 기대감을 잔뜩 부풀렸다. 이를 위해 초중등교육법 23조2항에 방과후 학교의 수익자 부담원칙 등 법적 근거를 신설하기로 하고 법 개정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법 개정안은 방과후 학교의 영역확대를 우려한 학원들의 반발로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이다.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게 되자 교육부는 26일 방과후 학교의 전국적인 확대 방침을 바꿔 학교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시범학교를 지난해 48개에서 올해 267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취약지역내 초등학교 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를 600개에서 1천개로 늘려 2만명의 아동을 흡수하고, 도시지역의 경우 저소득층 및 맞벌이 부부 자녀들의 학교 밖 사교육 수요를 대체할 수 있도록 30개 지역, 160개교 12만명에게 방과후 학교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농산어촌 지역의 경우 9개 군을 시범지역으로 선정, 135개교 4만5천명을 대상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방과후학교 활성화 시범 운영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교육부는 또 방과후 학교가 정규 교육과정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없애기 위해 학습지, 문제풀이식, 교재판매 위주의 프로그램과 정규교육 과정의 정상적 운영을 해치는 프로그램은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와 관련,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방과후 학교가 실력있는 강사를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맞벌이 부부 자녀나 저소득층 지역 학생들의 보육 역할을 확대하는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외국인의 눈높이에 맞춘 한국사 다국어 교재가 발간됐다. 25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화교류센터는 외국 학자와 학생, 일반인을 위한 교과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사진)를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인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판으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정부 초청 장학생 교육용으로 제작된 영어판 한국사 교재는 있었지만 여러 언어로 현지 외국인을 겨냥해 제작된 교과서는 이번이 처음. 한국문화교류센터는 현지 역사교과서 집필자 등에게 이 책을 우선적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이 교과서는 기존 교과서들과 많은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주 독자가 외국인들인 만큼 꼭 필요하지 않은 인명, 지명, 관직명 등을 줄이고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표현으로 쓰려고 노력하는 등 철저히 외국인의 눈높이에 맞춰 제작됐다. 집필도 교사들이 해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을 존중하고 2000년대 초까지의 한국 역사학계가 이루어낸 연구 성과를 고르게 담아내고 있다. 또 이 책은 기존의 대부분 한국사 저서들과 달리 현재 한국인의 삶과 보다 가까운 역사를 많이 다루어 근현대사 비중을 절반 가까이로 늘렸다. 한국문화교류센터 이길상 소장은 “한국 역사에 대한 외국에서의 왜곡 현상도 한국사를 소개하는 외국어로 된 교재의 부족에 그 일차적 원인이 있다”며 “이 책이 앞으로 외국 독자들에게 한국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여주는 데 큰 몫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며칠 전 꼬맹이를 데리고 유치원 몇 곳을 방문한 적이 있다. 그 곳에서 연간 학습 계획서를 보니 다양하게 전개되는 아이들의 놀이 문화 프로그램이 다채로웠다. 시골 유치원은 농어촌 거주자에게 학비면에서 60% - 100%까지 혜택을 정부에서 주기 때문에 학부모님들은 웬만하면 시설 좋고 환경 좋은 곳에 아이를 보내려고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다. 또 유치원마다 경쟁이 되어 한글을 가르치기까지 한다고 한다. 법적으로는 한글을 유치원에서 가르치지 못하게 되어 있지만. 한글을 가르치지 않는 유치원에는 부모들이 아이를 보내기를 꺼려 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범법 행위를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행하고 있다고 한 관계자는 말하였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한글을 유치원에서 이미 알고 왔기에 학교 선생님은 한글 가르치는 데 크게 관심을 두지도 않는다고 한다. 그러기에 유치원 시절 한글을 모르는 학생은 계속 글을 모르게 되는 아이러니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요즘 교육 제도의 허상이 아닌지 모르겠다. 정작 초등학교에서 한글을 배워야 하는 데도 이미 발 빠른 가정에서는 아이가 한글을 다 터득해서 학교에 입학시킨다. 6-3-3-4 구조의 학령기를 지켜가는 한국의 현실에서 배움의 속도를 재조절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 것은, 예전의 세대가 배웠던 교육 과정의 내용은 시대에 뒤지게 되고, 급변하는 시대에 새로운 지식은 기하급수적으로 밀려오는 터라 학제의 구조적인 조정은 학령기를 비롯해 빠르게 변해가는 흐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내용을 바꾸어 가는 발전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천진난만하게만 놀던 옛 시절의 어린이들과 기계 문화를 즐기는 요즘의 아이들의 사고의 틀은 180도 전환되어 있다고 본다. 인간과 인간,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루어 가는 사이에 인간에게는 자연다운 본성이 일어나게 마련이다. 하지만 기계 문화에 익숙된 아이들의 본성은 순수하기보다는 당돌하고 그러면서도 대상에 대한 탐구력은 훨씬 돋보인다. 두뇌 전쟁 시대요, 아이템의 개발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 고도의 지능 창출 시대에 가정의 부모들은 아동기 시절부터 조기 교육의 열풍으로 아이가 집에서 생활할 틈이 없는 것 같다. 학교를 마치면 음악 학원으로, 미술 학원으로, 태권도 학원으로 그야말로 자신들의 취미에 따라 소질에 따라 특기 적성 교육을 학원에서 익혀가고 있다. 사교육비의 절감을 아무리 외쳐대도 공교육의 정상화를 되찾기에는 역부족인 듯 하다. 뒤따라야 할 시설, 부족한 재원, 전문적인 소양을 지닌 교사 부족 등등이 학원으로 아이를 내몰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 아닐까? 한국의 학교 학령기를 서둘러 조정하여야 하는 것도 사교육비 절감의 한 방향인지도 모른다. 유치원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여 공교육의 후속 대안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병설 유치원이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준 것도 큰 몫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좀 더 나아가 초등학교에서 배워야 할 한글 교육은 유치원으로 내려 보내야 하지 않을까 싶다. 8세가 될 때가지 이제 초등학교에 입학도 하지 못한다고 한다. 유치원에서는 4세반, 5세반, 6세반, 7세반으로 나누어져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아이를 4년간 유치원에 다니게 하는 집안도 있다. 유치원에서 한글도 다 배우고, 심지어는 산수도 배우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영어도 배우고 있다. 결국 유치원을 제도권으로 끌어들려 놓고서 사교육비만 더 많이 쓰게 하는 꼴을 만들고 있는 것이 교육 당국이 되고 말았다. 이제 유치원에서 한글 교육은 전담하고, 초등학교에서는 새로운 상급 학년의 교과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을까 싶다.
일부 학부모와 사회 일각에서 꾸준히 영어의 조기교육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있더니 이에 맞장구를 치는 셈인지 교육부가 갑자기 초등학교 3학년부터 가르치던 영어를 1학년부터 가르치겠다고 나섰다. 요즘 교육부의 밀어붙이기식 교육정책 일색은 보는 이로 하여금 불안하다 못해 섬뜩함을 느끼게 한다. 아무래도 우리 비교육전문가인 교육부장관은 그렇다 치고 휘하의 교육관료들은 제정신이 아니거나 직무유기로밖에 볼 수 없다. 우리나라는 지금 대통령부터 장관까지 모든 정책이 입안되면 의견수렴이나 준비과정 없이 무조건 밀어붙이기 식으로 사회 전반에 온통 갈등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교육에 관한 한 누구보다 많이 배우고 전문적인 지식을 가졌다고 자부하는 교육관료들이 교육의 본질에 맞는 철학과 소명의식이 아쉽기만 하다. 김대중 정권 시절 역시 정치가인 이해찬 장관이 대안 없이 교육개혁이라는 미명 아래 교사들을 무리하게 내 쫒고 교육을 마치 물건 사고파는 시장인 양 취급하여 결국 지금의 공교육의 위기를 불러온 것도 그렇고 경제관료 출신인 현 김진표 장관의 밀어부치기식 정책 추진도 노무현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과 어찌 그리 똑같은가, 그러기에 ‘초록은 동색이고 가재는 게편’이라 했던가. 돌이켜보면 작금의 교원평가제와 공모초빙교장제 강제시행이나 사립학교법 날치기 통과에 이어 무리한 영어조기교육 시기단축 등 이른바 김진표 장관의 밀어붙이기식 행태는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그가 경제관료로 일할 때 자립형 사립고 신설과 성급한 교육개방 등 공교육 강화와 엇나가는 정책을 적극 밀어붙여, “교육은 교육논리로 풀어야 한다.”는 교육부와 교육계의 반대에 부닥치며 교육계와 갈등을 빚은 바 있다. 그뿐 아니라 당시 경제부처가 교육부와 상의도 없이 자립형 사립고 30개 허가를 조건으로 내거는가 하면 판교 신도시 교육단지 안에 유명 학원들의 입주를 유도해 대규모 학원단지를 조정한다는 계획을 발표해 ‘사교육 조장’이라는 비판여론에 직면하는 오만방자함을 보인 사람이었다. 특히 그는 경제부총리 재임 시절 WTO에 제출할 서비스 개방 1차 양허안에 ‘교육개방’을 거세게 밀어붙인 바 있으며, 서울 강북 뉴타운에 특목고를 유치하는 안을 밀어붙이려다 입시과열 등에 대한 우려로 결국 유야무야 되면서 “비전문가가 교육정책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앞으로 교육 문제를 일체 거론하지 않겠다.”고 사과까지 했다. 이런 장본인이 대통령 코드인사의 하나로 교육부장관에 기용됨으로써 공교육이 경제논리에 좌우되면서 교육현장과 교직사회가 급격히 흔들릴 가능성을 안고 있었던 셈이다. 한마디로 대통령, 총리, 부총리 등 ‘초록동색’인 교육비전문가가 판을 치고 있을 때 교육전문가로 대표되는 교육관료들은 그들의 문외함을 설득하기는커녕 입안부터 밀어붙이기식에 맞장구를 치며 우리나라 교육을 더욱 깊은 구렁텅이로 밀어 넣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도 교육비전문가인 교육수장과 현장 경험이 없는 교육관료들이 정신 차리지 못하고 교육공동체의 합의 없이 무리하게 교육정책을 입안 추진하는 한 우리 공교육의 앞날은 여전히 불투명할 것이다.
전북지역의 원어민 영어교사 수가 턱없이 부족해 학생들이 원어민들로부터 영어를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있다. 26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도내 일선 시.군에 배치된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는 모두 30명으로 지역당 1-2명이 관내 초.중.고교를 순회하며 회화를 가르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당수의 학생이 원어민들로부터 영어를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있다. 김제 모 중학교 2학년 김모(15)군은 "가끔 원어민 선생이 학교를 찾아와 수업을 하고 있으나 그 횟수가 1년에 고작 1-2번에 불과하다"며 "원어민 선생이 자주 찾아와 영어를 가르쳐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도 교육청은 이에 따라 올해 영어권 원어민 자원봉사자와 영어권 유학생을 영어 보조교사로 활용하기로 하고 희망자를 모집하고 있으나 희망자가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원어민 교사를 1명 채용하는데 연간 3천500만원 이상의 예산이 든다"며 "현재 교육 예산이 크게 모자라는 실정이어서 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아니 정확히 말해 교육정책을 입안 추진하는 교육관료들은 우리나라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영어를 배워야 할 정도로 절박해졌다고 판단한 모양이지만 논리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한 것으로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최근 한 일간지(2006.01.20자 국민일보)가 인터넷 조사를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를 가르친 이후 1~2학년은 물론이고 유치원부터 사교육을 받기 시작했으며 응답자 가운데 절반 이상인 53%의 부모가 만 3세 이전의 자녀들에게, 그리고 이 응답자 가운데는 20대에서 3%, 30대에서는 11%가 태교부터 조기영어교육을 시작한다고 답했다고 하니 지금 우리나라 교육부는 온 나라에 기이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몇 해 전 교육부가 제2차(2006~2010년) 국가인적자원 개발계획에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를 가르치겠다고 나설 때 많은 사람들은 필요성은 느끼지만 그에 따라 파생될 부작용을 걱정하고 실효성을 우려했다. 그리고 우려한 대로 현재 초등학교 영어 교육은 거의 사교육에 의존하다 못해 영어 조기유학만 부추기고 있다. 사교육으로 배운 초등학생들은 자신이 다니는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발음과 교육 수준을 비웃는 지경에 이르러 어린 아이들을 영어 학원으로 내모는 결과를 불러옴으로써 결국 준비 없는 영어조기교육 확대는 약이 아니라 오히려 독이 되어 결국 어린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고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도 현행 초등 3학년 영어 교육에도 문제가 많다는 것인데 오히려 더 앞당겨 확대 시행한다는 발상은 세계화 시대 도래와 선진국의 사례에 따른 절박한 필요성이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공교육 내의 영어 교육을 더욱더 부실하게 만들어 불신의 벽을 오히려 키울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모든 학생 아니 온 국민들을 영어에 주눅 들어 우상화시키는 정책으로 바람직한 대안이 아니다. 더구나 이러한 조기영어교육 확대는 사교육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농어촌이나 도시 빈곤층 학생들의 기회 불균형으로 교육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만 심화시켜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앞으로 시범학교 운영 과정을 거쳐 시행한다지만 만약 교육부가 단순히 일부 부유층 학부모들이나 시대적 요구라는 명분과 함께 학원, 학습교재사 등 사교육 시장의 주장에 맞장구를 치며 밀어붙인다면 가뜩이나 영어교육 시기에 불안해하는 국민들을 현옥시키는 다분히 지나친 전시행정 발상으로 우리 교육현장의 실정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처사로 재고되어야 한다.
대구교육대는 24일 제12대 총장 임용 후보에 국어과 강현국(57) 교수를 선출했다. 강 교수는 이날 투표권자 94명 중 90명이 참여한 선거에서 48표를 얻어 총장 임용 후보에 당선됐다. 이번 선거에는 강 교수 외에 영어과 도명기(55) 교수, 컴퓨터과 고대곤(60) 교수 등 3명이 후보로 나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각축을 벌이다 3차례에 걸쳐 진행된 투표 끝에 강 교수가 후보로 최종 선출됐다. 강 교수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제청 절차를 거쳐 오는 3월 1일부터 직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경북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한 강 교수는 83년부터 대구교대에서 재직해왔으며 현재 '시와 반시'의 주간, 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상임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강 교수는 "국립대 법인화와 학교 이전 문제 등 향후 있을 교대의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행정시스템을 정비한 뒤 대외활동을 강화해 CEO형 총장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번 대구교대 총장 선거는 국립대 총장의 공정한 선출을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처음으로 위탁 관리를 실시한 경우로 선거과정에서 불법 사례나 별다른 잡음은 없었다고 선관위측은 밝혔다.
겨울방학의 한 가운데인 17일 점심시간 무렵의 효제초등학교(교장 홍순길) 교정. 텅빈 운동장, 앙상한 나무, 교무실을 지키는 한두 명의 선생님 등 '겨울방학중인 학교는 조용할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갔다. 오전 수업을 마친 수십명 어린이들이 점심식사를 위해 식당으로 바쁘게 발걸음을 옮기고 있었고 이미 점심식사를 마친 학생들은 운동장에서 공을 차고 놀고 있었다. 학기 때와 마찬가지로 학생들로 학교는 활기차 있었다. 효제초교 학생을 포함해 인근 혜화, 숭신, 명신, 창신초교 학생 370여 명이 '방학 없는 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열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학교 총학생수의 약 40%에 이르는 수의 학생들이 방학중에도 수업을 받고 있는 것이다. 현재 진행중인 교육프로그램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종일반 개념으로 운영되는 ‘겨울리더스캠프’와 학기 중 방과 후 특기·적성과목의 연장선인 ‘특기·적성 교육’. ‘겨울리더스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은 학교가 마련한 그날그날의 시간표에 맞게 책읽기,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검색, 영어회화, 영화 및 다큐멘터리 감상과 함께 썰매타기, 팽이치기, 투호 등 겨울철 체육활동을 전개한다. 또 ‘특기·적성 교육’에 참가한 학생은 하루 2시간씩 효제초교 교사 및 특기적성 강사로부터 오카리나, 원어민 영어, 한자교실 등 자신이 신청한 과목의 수업을 듣는다. 이처럼 교육프로그램을 두 가지로 구분한 것에 대해 효제초 양민 교감은 “겨울리더스캠프는 보육기능이 강조된 교육이고, 특기·적성 교육의 경우 특기 과목에 대한 심화교육의 개념”이라며 “이같이 구분된 교육프로그램으로 인해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에 보다 세밀하게 부응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학생·학부모·참여 교사의 반응은 좋다. 학부모와 학생들은 방학이면 여러 학원을 다녀야 했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특히 ‘겨울리더스캠프’의 경우 별도의 수강료 없이 식대만 수익자가 부담하도록 해 사교육비 절감과 방학 중 맞벌이 부부의 육아문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이다. 가정통신문을 보고 등록하게 됐다는 명신초 4학년 송현근군은 “학원도 다녀봤지만 학교가 가까이 있고 학교 안에서만 이동하면 돼 편안한 마음으로 수업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겨울 방학 중 교육프로그램을 운영중인 학교는 효제초교 외에 가양초교의 ‘내 꿈으로 그린 세상’, 신곡초교의 ‘원어민강좌’, ‘겨울독서교실’, 덕암초교의 ‘북부어린이 영어캠프’ 등이 있다.
2006년 1월 11일 수요일! 기다리고 기다리던 대학 3학년을 위한 입시 설명회가 인천 강화도 문예회관에서도 열렸다. 3학년으로 진학할 학생들의 입시 설명회라서 그런지 여태껏 수업 시간에서도 볼 수 없던 부동자세에서 학생들의 진진한 태도는 자신들의 인생에 관한 것을 느끼는 듯 했다. 서울의 모 명문 학원의 입시담당 실장을 초청하여 이루어진 것이라 참가한 학부모님도 좋아하시고 듣고 난 학생들도 모두 만족하는 것 같았다. 대한민국의 1년 행사 중 가장 큰 이벤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고3학년을 위한 입시는 그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진풍경이 아닐 수 없다. 영어 듣기 시험 시간 중에서는 비행기조차도 뜰 수 없는 상황만 보더라도 그 중요성을 가히 느낄 수 있을 만 하지 않는가. 한 인생의 승패는 절반 이상이 고3학년 입시에서 좌우된다고 해도 지나친 억설이 아니다. 한 인생이 살아가는 데 있어 고등학교 시절만큼 많은 학습을 하는 때도 없고, 이 때만큼 가장 많은 책을 보는 시기도 없을 것이다. 만약 한국의 대학생이 고등학생만큼만 노력한다면 세계의 엘리트는 한국이 다 휩쓸고도 남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래서인지 강사로 온 실장의 유창한 말솜씨와 다양한 경험이 학생들의 시선을 끌어들이게 했고, 1년간의 학습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일러 주는 것도 잊지 않았다. 서울 학생들의 학습법과 시간 활용법은 듣는 이에게도 큰 공감이 갈 정도였다. 기상에서 지침까지 전개되는 시간 절약의 치밀한 학습법만이 자신이 원하는 대학으로 갈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하였다. 특히 학부모들도 쉽게 알아들을 수 있게 하면서 자녀와 상담을 할 때 꼭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도 제시해 주었다. 우수한 대학을 진학할 수밖에 없는 한국 사회의 이념적 대결 양상은 고위층으로 올라 갈 수록 그 도가 범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우수한 기업체에서 인재를 뽑을 때도 대학을 고려하고 지역을 생각한다는 보이지 않는 진풍경이 떠돈다는 풍문도 그 내면의 구조적인 조직이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정실주의가 있음을 말해주는 것은 아닐까? 학벌타파를 부르짖고 있지만, 서울에 있는 대학에 입학하려고 도전하는 고3학년 학생들은 밤잠을 설치면서 계속하는 이유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심지어 재수를 하면서까지 서울을 향하는 집념의 도전도 계속되고 있다. 좁은 땅에서 태어난 후손이라서 그런지 두뇌플레이 아니면 먹고 살아가기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처절한 입시 경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일 지도 모른다. 갈수록 소위 명문대라고 하여 졸업을 하고서도 취업이 잘 되지 않으니, 하물며 지방에 있는 대학을 나와서야 무엇하랴는 생각들이 너무 깊이 교사의 마음에나 학생의 생각에나 학부모의 내면에 각각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도시와 동떨어져 있어 문화적인 감도를 받아들이는 데 거리감이 있는 이곳 시골이라 도시 학생들의 입시흐름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1년을 대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시행한 이번 행사의 효과로 학생들은 수시를 지망하기 위한 분주한 움직임과 자신을 뒤돌아 보아 입시에 임하는 긴장된 모습들이 설명회 개최가 성공적이었음을 말해주는 듯 했다. 면학실에서 자신을 다짐하는 마음자세가 돋보이고 스스로를 걱정하는 학생들은 다양한 채널을 이용해 새로운 학습법을 찾으려고 분주하는 모습들이 긴장된 고3학년 학생임을 보게 하는 것 같았다.
인천교육청에서는 겨울방학을 맞은 관내 초.중등교원 7백여명을 대상으로 초등 1정자격 등 각종 자격 및 직무연수과정을 개설하여 교원들의 자질향상 및 교수능력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교육연수원 및 경인교대 초등교육연수원에서는 초등교원 285명을 대상으로 초등 1정자격연수과정 및 특수 초등1정자격연수과정을 개설·운영 각종자격취득에 도움을 주고있고 한다. 또 상명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에 중국어 외 2개과정에 대하여 중등 1급정교사자격연수과정 연수와 인하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에서 한문과정에 대한 부전공자격연수과정을 위탁·개설하여 해당교원들로 하여금 자격취득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인천교육연수원에서는 겨울방학중 처음으로 중등논술지도교사 직무연수과정을 1기와 2기로 나누어 2개과정을 개설함으로써 수능에서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가고 있는 논술시험의 지도와 관련하여 중등교사들에게 매우 유용한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초중등교사 컴퓨터직무연수, 중등전문상담직무연수 등 총 12개과정의 다양한 연수과정을 준비하여 동계방학 중 교원들에게 자질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하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에 중등공통교과직무연수과정을 위탁·개설하여 공통사회와 공통과학과목에 대하여 각각 120시간 및 180시간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토록 하였다 . 또한 영어교과담당교사들의 영어회화 및 교수능력향상을 위하여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및 인천대학교 어학원에 영어심화연수 및 초등영어담당교사 직무연수과정을 위탁, 개설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인천대학교 어학원에서 실시중인 초등영어담당교사 직무연수과정의 경우 영어회화, 영어과교수법등을 중심으로한 알찬 연수과정 운용으로 초등영어담당교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 밖에도 교원 ICT활용직무연수, 경인교대에 위탁·시행하는 초등 국어·수학과 교과직무연수 및 각종 특수분야직무연수 등을 통하여 방학중 교원들에게 다양하고 알찬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변모하는 인천교원들의 자질 교육현장에서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