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때문에 어제 저녁에도 “당신은 노는 날 아이들과 좀 놀아줄 생각은 않고” 하면서 아내와 다투고 혼자 낚시 가방을 메고 터덜터덜 헌 운동화를 끌고 집에서 1킬로미터쯤 떨어진 저수지로 향합니다. 낚시란 늘 갈 때 기분이 좋고 바쁜데 오늘은 빨리 가고 싶은 마음도 별로 입니다. 빨리 가서 낚시를 담그면 금방 대어들이 줄줄이 이어서 달려 올 것 같은 그 기분에 집을 나서자마자 다 잊어버리고 바쁜 걸음으로 급하게 갑니다. 아침에는 아내와 싫은 소리를 했지만 늘 하던 그대로 점심시간 쯤에는 화가 풀려서 아이들을 데리고 점심을 싸 가지고 오겠지 생각하면서, 가는 길에 남의 밭에 잘 키워 둔 풋 마늘 몇 대궁을 뽑아 매운탕 준비도 해 가지고 갑니다. 낚시를 담근 지 벌써 한 시간이 지났습니다. 입질 한번 없이 접이 식 의자 아래에는 담배꽁초만 소복하게 쌓여갑니다. 물가에 소변을 보면서도 요놈 고기들이 이 때를 노리고 있을지 몰라 하면서 찌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볼일을 보면서도 찌를 봅니다. 12시가 가까워 오고 저수지 저쪽 가에 아내와 아이들 모습이 보입니다. 식구들은 멀리서도 알아볼 수 있는 그 무엇이 있는가 봅니다. 고기는 한 마리도 못 잡았고, 아이들의 비웃는
해인사에 가시면 해인도를 돌아 보세요 소원을 소원지에 적어서 해인도를 돌면 정중탑 앞에 서게 되며 이는 처음 출발한 그 자리이자 번뇌와 망상을 벗어난 반야의 자리이기에 소원지를 소원함에 넣으면 소원이 성취 된다고 한다.
버들피리를 불었어요. 대구 신성초 제 4학년 1반 교실에서 환호성이 울려 퍼졌다. “됐어요. 저도 소리가 납니다.” “저는 줄방귀 소리가 나는데요.” 담임인 손한별 교사가 우리 것 찾기 운동으로 ‘옛날 어린이들의 장난감’ 시간에 버들피리 만들어 불기 시간이다. 어린이들에게 버들피리를 만들어서 불어 보기를 체험시키기 위해 일요일도 반납하고 금호강변에서 버들가지를 꺾어 오고 마을 어르신께 배워 왔지만 잘 되지 않아서 학교 지킴이 남상길 선생님을 자료 인사로 초빙하고 이웃 반 원로 선생님도 오셔서 도와주는 수업이었다. “머리감은 수양버들 거문고 타고” 노래를 부르면서 시작된 버들피리 만들기 놀이 공부는 30분 정도 진행 되었다. 처음 껍질을 벗긴 다음에 이렇게 껍질과 나무 부분이 분리되게 비틀어야 한다. 그 다음은 칼로 잘라서 요렇게 뽑아 가지고 떨판은 이렇게 만드는데, 여기에는 기술이 필요해 너무 많이 벗기면 잘려 나가 버리고 알맞게 벗겨야 소리가 난다고 일러 주었다. 어린이들은 흥미진진하게 처다 보며 따라하려고 해 보지만 실패가 거듭 되었다. 그래도 포기하는 어린이는 없었다. 시끌벅적하게 진행되었지만 전체 어린이가 버들피리를 만들었고 모두가 소리를 낼 수 있었
경계석 돌 틈에 사는 제비꽃이 피었습니다. 비좁은 자리에서 물도 못 먹었을법 한데 본래의 모습을 버리지 않고 잎을 내고 꽃을 피우고 당당하게 살아갑니다. 지금의 자리에 대해 행복해 하며 살랑살랑 웃고 있습니다.
학교 화단에 한 포기 있는 동백이 꽃을 피웠습니다. "예, 너 그기서 뭐하니?" "선생님, 딴 애들은 다 예쁜데 예만 못 생겨서 성형해 주고 있어요" "그 꽃이 해 달라고 했니" "성형은 하고 싶은데 돈이 없다고 해서 무료로 해 주고 있어요."
어린이에게 심부름을 시키려다가 새 학기가 시작되고 벌써 한달이 되어 간다. 이제 학급 어린이들의 이름도 다 외우고 조금씩 친해져서 어린이들이 마음을 열어 줘 집안의 사소한 일도 담임인 나에게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놀랄 일이 우리 교실에서 일어나고 말았다. “민선아 지금 집에 가는 길이지” “예” “이것 좀 2반 선생님 같다 드리고 집에 가라” “안 돼요, 지금 학원가야 하는데, 효주 좀 시키세요.” 2반이 먼 곳도 아니고 바로 옆 교실인데, 난 더 할 말을 잃고 말았다. “그래 알았다.”고 해야 하는 담임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 누구 하나라도 있을까? 저 어린이가 집에서 부모님이 심부름 시키면 뭐라고 할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면서 그 어린이에게 말 걸기가 싫어졌다. 아! 나는 너의 속마음을 알려면 아직 멀었구나. 40대 정도의 선생님들이 어렸을 때는 오빠나 형들의 심부름을 도맡아 해야 했고 심부름도 처음에는 물을 컵에 부어서 오기에서 시작해 과자 사오기, 문방구에 가서 학용품 사오기 까지. 할 수 있으면만화책 이름을 적어주면 글씨를 몰라도 빌려와야 했다. 그런 걸 못하면 바보 취급을 받았고 그게 되면 은행 심부름 까지 영역을 넓혀 가는, 심부름은 곧 사회 교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