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근무하는 학교에서는 선생님들에게 과중한 업무 부담을 주지 않으려 하고 서로를 배려하고, 학교를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해 인근에 유해시설은 단 한 곳도 없다. 아이들은 참으로 선해 조금만 목소리를 높여도 금세 고개를 숙이고 마치 큰 잘못이나 저지른 것처럼 어쩔 줄을 모른다. 또 학부모님들은 학교를 믿고 전폭적으로 지원해 주신다. 내 교직생활 18년 동안 근무한 학교 중 최고의 안정된 분위기로 매일매일 출근하고 싶게 만든다. 우리 학교는 연구학교도 혁신학교도 아니지만 그 못지않게 열심히 연구하고 아이들을 지도하는 분위기를 자랑하며, 모두가 행복하고 ‘조용하면서도 뜨거운 학교’다. 우리가 선생님들에게 조성해야 할 것은 선생님들을 믿고 조용히 지원해 주는 이런 시스템이다. 최근에 근무하기 힘들어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선생님들이 많다는 소식을 듣곤 한다. 교사란 직업은 방학이 있고 출퇴근 시간이 정확하기에 편할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실상은 그렇지만은 않다. 방학 때도 집에까지 일감을 싸들고 가시는 선생님들이 많을뿐더러 퇴근 시간 이후에도 학부모 상담과 교재 연구가 이어지기 마련이다. 또 교직 종사자는 일종의 감정 노동자이므로 감정이 손상당하면 그 스트레스가
인사이동으로 새 학교에 방문한 올 2월의 어느 날, 운동장 가장자리를 따라 서 있는 키 큰 미루나무들 위에는 까치집이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 운치가 있어 참 좋았다. 하지만 분위기 있는 경치보다는 이 곳 학생들이 보여주는 순수함과 나이에 맞는 태도가 교사로서 생활하는 순간순간을 행복하게 하고 있다. 예전 학교의 학생들 중 몇몇은 교사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데 희열을 느끼는 것 같았다. 복도를 지나가는데 바닥을 닦고 있던 대걸레로 교사의 슬리퍼를 더럽히기도 하고 실수인 척 어깨를 치고 가는 학생도 있었다. 그런 행동을 지적하면 왜 화를 내냐며 오히려 당당하게 굴기까지 했다. 더 문제인 건 옆에 있던 다른 학생들이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이런 광경을 구경한다는 것이었다. 아무튼 버릇없는 이런 학생들을 엄격하게 다룰 수 없고, 큰 잘못을 저지른 것도 아니기에 선도위원회에 회부할 수도 없다. 상․벌점 시스템에 벌점을 올려도 봉사활동을 해 감점시키면 그만이기 때문에 교사는 무력감을 느끼며 서서히 지치게 된다. 그러다 지금의 학교에 발령받아 왔다. 모든 학생들이 신발을 복도의 신발장에 놓아둔다는 것에서 처음으로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대도시 학교에도 복도 신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