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재외동포 교육네트워크 강화해야
우리나라는 중국, 이태리, 이스라엘 다음으로 많은 세계 4번째 재외동포 대국이다. 영주 교민과 일시 체류민을 합쳐 약 682만명으로 대한민국 국민 수의 약 14%에 해당된다. 재외동포 사회는 양적, 질적으로 팽창하면서 조국의 경제적, 정치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점에서 세계 각처에 흩어져 있는 재외동포들은 우리 민족의 큰 자산이고, 세계 중심 국가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외동포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이 뒤쳐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009년 2월 5일에 재외동포의 참정권이 국회를 통과해 재외동포 지원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한 계기가 마련됐다. 따라서 이를 계기로 재외동포와 자녀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 전기가 마련돼야 하겠다. 재외동포 자녀를 위한 교육투자가 미래의 선진 대한민국을 결정할 수 있다. 재외동포 교육기관의 현황을 보면 4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일시 체류민 자녀 혹은 교포 자녀들을 대상으로 국내 및 현지의 정규과정을 가르치는 한국학교가 있다. 둘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한국 역사, 한국 문화 등을 가르치는 사회교육기관 성격인 한국교육원이 있다. 셋째, 동포들이 자율적으로 설립해 주로 주말에 운영되는 한글학교(
- 김상용 부산교대 총장
- 2010-02-18 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