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부경찰서는 22일 오후 2005학년도 광주지역 수능 부정행위 사건과 관련, 수사브리핑을 갖고 주범급인 고교생 이모군 등 6명을 구속, 외부세력의 개입 등 조직적 범행여부에 대해서도 계속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경찰은 "앞으로 정례적인 브리핑 없이 조사과정에서 새로운 사항이 드러나면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하겠다"고 밝혀 수사확대의사가 없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때문에 교육계 일각에서는 전문브로커 개입여부, 수능부정이 수년전부터 조직적으로 이뤄져왔다는 각종 제보 및 진술, 타지역에서의 수능 부정 가능성 등에 비춰 수능 무력화 우려에 따른 조기봉합을 우려하면서 이번 기회에 검찰 차원의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군 등은 광주시내 6개 고사장에 입실, 사전에 구입한 휴대전화를 통해 감독이 소홀한 틈을 타 정답을 타전, 도우미 학생들이 정답을 받으면 이른바 `선수'와 부정응시자 등 총 92명에게 송신하도록 모의한 혐의를 받고있다.
이군과 함께 구속된 학생들은 S고 배모(19)군, J고 김모(19)군, 역시 같은 J고 김모(19)군, M고 강모(19)군, K고 임모(19)군 등 6명이다.
경찰은 또 이번 사건에 연루된 광주광역시 소재 학생은 주모자 6명을 포함, 6개 고교 141명이며 이번 범행을 위해 학생들이 쓴 비용은 모두 2천85만원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구속된 6명 이외 나머지 학생들에 대한 신병처리는 가담 정도에 따라 최종결정키로 했다.
경찰은 현재 임의동행, 자진출석을 통해 학생 85명에 대한 조사를 마쳤으며 나머지 56명에 대해서는 조만간 조사를 벌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광주지법은 주모자 6명에 대해 신청된 영장에 대해 "석방될 경우 미검자 100여명과 통모하는 등 증거 인멸 및 도주 우려가 있고 범죄 사실이 중한데다 사회적 파장이 커 영장을 발부한다"고 밝혔다.
경찰 수사결과 이번 사건은 광주 S고 배모(19)군이 중학 동창인 C고 김모(19)군에게 범행을 제의하면서 시작됐고, 이는 다시 6개 고교 학생 22명으로 늘었으며 이들은 다시 각 학교 후배들에게 `도우미'로 범행에 동참할 것을 제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범행을 위해 학생들이 낸 돈 2천85만원은 휴대전화 구입비 650만원, 이어폰 등 장비 구입비 270만원, 식대 300만원, 교통비 등 기타 경비 80만원, 문제지 복사 및 구입비 85만원, 고시원 임대료.담배등 간식비 80만원 등으로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쓰고 남은 돈 140만원은 광주 D고 Y(19)군이 보관중이며 480만원은 부정행위에 가담한 대학생 명의로 된 통장에 보관돼있다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은 이들이 갹출해 사용하고 남은 금액이 후배도우미들에 대한 `성공보수'로 활용될 수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경찰은 브로커 등 외부세력 개입의혹에 대해서는 "참여규모가 크고 조직구성이 치밀하지 못해 외부 전문가나 세력의 개입 흔적은 발견할 수 없다"며 "그러나 이 부분에 대해서도 계속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 학부모들의 묵인 내지 개입 의혹에 대해서도 "적발될 경우 불이익을 고려하면 이를 알고도 묵인할 부모는 상식적으로 없다"며 "그런 정황도 포착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논란이 되고있는 ‘대물림’ 현상에 대해서는 “개연성이 전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이를 확인할 단서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