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수능 부정행위 사건에 대해 조사중인 광주 동부경찰서 김영월 수사과장은 21일 "현재까지 4개 학교 6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며 가담인원은 10여명이 더 추가돼 100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김 과장은 이날 오후 동부경찰서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일 오후부터 일명 선수 9명, 도우미 3명 등 12명을 임의동행 또는 자진 출석시켜 조사를 벌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음은 김 과장과 일문일답 --수사진행 상황은 ▲12명으로부터 선수용 휴대전화 3대를 추가로 압수했으며 가담인원이 10여명 더 있을 것이라는 진술을 확보해 확인중이다.
--한 사람당 30만-50만원씩 받아 2천여만원을 모았다는데 ▲휴대전화 구입비로 거둬들인 500여만원 외에 추가로 모은 돈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수사할 예정이다.
--수능 10여일 전 광주시교육청 게시판에 오른 제보와 수법이 매우 유사한데 ▲교육청 게시판 제보는 전혀 모르는 상황이다. 우리는 지난 16일 오후 6시께 한 수험생과 전화통화를 통해 제보를 받았다. 제보를 들은 당시에는 이 학생이 시험을 하루 앞두고 있어 데려다 조사하지 못하고 듣는 선에서 끝났다. 다음날 오전 사실확인을 위해 압수수색영장을 신청하고 교육청 한 국장과 전화통화로 수사방법 등에 논의했다. 그러나 경찰이 시험장에 들어갈 수도 없는 상황이어서 통보로 끝냈다.
--관련자들이 9월 모의고사에서 예행연습을 했다고 하는데 ▲주도자들을 중심으로 범행 모의가 있었던 것 같지만 정확한 사실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관련자들이 추가로 검거돼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수험생 등 고교생을 제외한 일반인들도 연루됐는가 ▲휴대전화 구입시 명의를 빌려준 이들 외에 중학교 시절 건강 때문에 1년을 쉰 주도자의 친구인 대학생이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 부정행위를 도운 것 같은데 정확한 부분은 더 조사해 봐야 할 것 같다.
--앞으로 수사계획은 ▲주범 및 선수, 도우미, 부정 응시자 등 아직 붙잡히지 않은 연루자를 잡는데 일단 주력하겠다. 주말에 확인하지 못한 일부 통신관계 자료에 대해 해당 기관에 의뢰, 명확히 하고 수사중 추가로 나온 진술에 대해서도 사실여부를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