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EBS 수능강의 반영률 80% 웃돌아"

언어영역은 60문항중 52문항 반영

17일 치러진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교육방송(EBS) 수능방송 반영률이 언어영역의 경우 86.7%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과목에서 80%를 웃돈 것으로 분석됐다.

EBS는 자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학과 독해 제재의 지문 자체가 교육방송 교재에서 다뤄진 것이 많았고 문항 자체도 그 틀을 유지하면서 다소 다른 문제들로 변용해 출제되는 경향을 보였다"며 "60문항 중 52문항(86.7%)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문학의 경우 현대시 `은행나무'(곽재구)는 <언어심화선택>, `낡은 집'(이용악)은 <수능초이스 현대문학>, 현대소설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은 <언어심화선택>, 고전소설 `최고운전'은 <수능특강 10주 완성>에서 각각 다뤄지는 등 EBS 교재와의 연관성이 매우 뚜렷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대수필을 뺀 모든 문학 제재가 EBS 교재에서 다뤘던 범위에서 출제됐으며, 생소한 문제로 꼽힌 `은행나무'는 EBS 교재에만 들어있는 내용이고 현대소설 `메밀꽃 필 무렵'은 지문으로 제시된 부분이 EBS 교재와 완벽히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독해에서도 호흡기 진화과정을 다룬 과학 지문이 <인터넷 수능 언어종합>의 내용과 같았고 기술혁신 과정을 담은 기술 지문은 <비문학 독해>와 일치했으며 선거에서 신문의 영향력을 다룬 사회 지문은 <언어영역 300제>와 <파이널 실전 모의고사>와 유사했다고 강조했다.

수리는 `가'형이 선택과목 5문항을 포함한 40문항 가운데 개념.원리를 반영(18문항)하거나 소재를 활용(15문항)하는 등 33문항(82.5%)이 반영됐고, `나'형은 30문항 가운데 25문항(83.3%)이 EBS 수능강의와 연계되거나 방송교재 등에서 출제된 문항이 나왔다고 EBS측은 밝혔다.

일례로 수리 `가'형은 정적분의 값을 그림으로 이해해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 타원의 정의와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는 소재활용 문항, 함수의 성질을 이용해 도함수의 그래프를 추론하는 개념, 수리 `나'형의 등비수열과 상용로그의 계산법을 활용한 문제 등은 교재에서 다뤘진 것이라고 EBS측은 설명했다.

EBS 관계자는 "수준별 교재라 하더라도 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부합되는 공통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재를 선택해 학습한 학생이라면 큰 무리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어도 50문항 가운데 41문항(82%)이 EBS 강의와 연계되는 등 <초급영어독해기법>, <초이스Ⅰ>, <외국어영역 200제>,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등의 교재에 실린 지문과 거의 동일, 적중률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출제위원장인 노명완 고려대 교수는 "정부가 교육복지 차원에서 마련한 EBS를 수능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던 약속을 지키려고 노력했다"면서 "학교공부를 충실히 하면서 EBS 수능강의 내용을 책이나 방송을 통해 공부한 학생들은 EBS와의 연계 정도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