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시내 초·중·고교에 설치된 벽걸이형 가스난로가 사라지고 천장형 냉난방 시설이 설치된다.
서울시 교육청은 내년부터 4년간 모두 940억원을 투입, 벽걸이형 가스난로를 떼어내고 전기를 사용하는 천장형 냉난방 기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벽걸이형 가스난로는 지난 89년부터 설치되기 시작해 이달 현재 2만848개 교실에 각각 2개씩 부착돼 있지만 밀폐된 공간에서 실내 산소를 태우다보니 학생들의 두통 등을 유발했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냉난방시설 개선사업에는 224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만큼 순차적으로 시설개선을 추진할 것"이라며 "2008년까지 매년 235억원을 투입해 벽걸이형 난로가 설치돼 있는 교실의 온열환경 조성사업을 끝마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업이 마무리된 후인 2009년부터는 모두 1300억원의 예산을 투입, 시설 개선·확충이 필요한 나머지 2만2205개 교실에도 가스와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는 냉난방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서울시내에 있는 1천199개의 초중고교 7만7082개 교실 중 44.1%인 3만4029개 교실에는 냉·난방 시설이 구비돼 있지만 절반이 넘는 4만3053개 교실은 시설 개선·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공정택 교육감은 지난 8월 26일 취임식에서 선진국 수준의 웰빙 교육환경을 조성해 지역·학교·계층 간 복지 불균형을 해소해 나가겠다면서 교실별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설치를 약속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