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선생님, 당신 참 멋지십니다"

한국교총 수기공모를 통해 본 '오늘의 선생님'


교육이민, 사교육 열풍이다 해서 학교교육을 믿을 수 없다는 말까지 나오고, 점점 사제간의 정도 각박해져 간다고 하지만 일상의 끈을 놓고 잠시만 떠올려 보면 나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주신 선생님, 어려울 때 함께 울고 웃어주신 선생님 등 누구에게나 마음속에는 감사하고 그리워하는 선생님 한 분씩은 있기 마련이다.

지난 3월부터 4월말까지 스승 존중의 아름다운 미풍양속을 확산시키기 위해 교총은 교육수기를 공모했다. 수기 공모작 중 이런 기억 속 옛 스승을 떠올리게 하는 수기가 있어 한 편을 소개한다. 대구교대 안동부설초 김영민(10·4학년)학생의 '이런 선생님 아세요?'는 남다른 교육방식으로 아이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이경순 담임 교사에게 감사하는 제자의 예쁜 마음이 담겨있다.

"이런 선생님 아세요?"

나에게는 너무나도 특별한 선생님이 계신다. 그 분은 바로 이경순 담임선생님 이시다. 2학년에 이어 4학년인 지금도 같은 반인데 이상한 것은 이경순 선생님이 담임이 되면 나의 행동과 정신 자세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것이다. 나뿐만 아니라 우리 반 아이들이 모두 다 그런 것 같다.

왜냐하면 수업 시간에 비뚤한 자세로 앉아 있는 친구가 하나도 없다. 학교에서 하는 모든 공부는 척척 알아서 다 하는 것은 기본이고, 집에서 하는 숙제도 안 해 오는 친구도 하나도 없다. 일기 쓰기, 학습 준비물도 안 해 오는 친구들이 하나도 없다. 모두들 정신을 바짝 차리고 선생님을 무서워하는데도 아이들이 무척 좋아하고 따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나에게 선생님이 굉장히 엄하게 대하는데도 나는 한 번도 선생님을 싫어한 적이 없다. 다른 아이들도 그런 것 같다.

이경순 선생님은 무언가 좀 특별한 교육 방식을 가지고 계신다. 남들이 보면 공부를 너무 많이 시킨다고 할지 모르지만, 공부보다 정신 자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신다. 그리고 정말 다른 선생님과 비교되는 것은 무조건 한가지라도 제대로 될 때까지 시키신다.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연필을 잡지 말라, 글씨를 날려 쓰는 아이한테는 공부하기 싫으냐? 그럼 하지말고 놀아라 하면서 공을 주어 운동장으로 보낸다.

공부 시간에 자세가 흐트러지는 아이는 수업을 다 마치고 특별 교육을 받는다. 그것은 아이들이 제일 싫어하는 명상 교육이다. 어떻게 하느냐 하면 기본이 30분 정도 꼼짝하지 않고 앉아서 정신 집중하는 것이다. 그런 정신 집중이 끝나면, 뭘 생각하면서 명상을 했는지 빽빽하게 적어서 내어야 한다. 아이들은 선생님께 두들겨 맞는 것보다 명상 교육을 더 겁을 낸다. 나도 마찬가지다.

공부보다 중요한 정신교육 강조

그런데 정신만 제대로 차리고 자기 할 일을 똑바로 하는 친구들은 매일 칭찬을 받는다. 일 주일에 동그라미 100개를 모으면, 어머니께 자기가 가장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칭찬의 편지를 써 주신다. 숙제, 수업 태도, 발표, 1일 1선, 청소, 친구랑 사이좋게 지내기 등등 학교 생활을 모범적으로 잘 하면 한 건당 1개의 동그라미를 주신다. 나도 벌써 5번이나 칭찬 카드를 받았다. 그래서 숙제도 면제받아 봤고, 어머니와 영화 보기, 시내 구경 등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요즘은 날아갈 것 같은 기분으로 살아가고 있다.

우리 선생님의 더 특별한 것은 바로 신용 점수다. 똑같이 숙제를 안 해 와도 맞지 않는 아이가 있고, 5대 이상 손바닥을 맞는 아이도 있다. 그게 바로 '믿을 신' 신용 점수인 셈이다. 나도 사실 선생님과 모든 친구들에게 신용을 쌓기 위해서 밤늦게까지, 숙제가 많을 때는 밤 1시가 넘도록 숙제를 한 날도 많았다. 이건 비밀이지만 아침 6시 30분에 학교에 와서 선생님 몰래 숙제를 한 적도 있었다.

그건 다른 아이들도 마찬가지였다. 내가 숙제를 하려고 아침 일찍 학교에 왔을 때 3∼4명 정도의 아이들이 나와 같은 형편이었다. 그래서 서로 꼭꼭 비밀로 하기로 한 적도 있었다. 어머니가 짜 놓은 학원을 갔다 선생님이 내어 주시는 숙제를 하려니,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데 어느 날 어머니께서 학원을 모두 끊어 주셨다.

그 이유는 이경순 선생님은 공부를 똑 부러지게 가르쳐 주시는데 학원에 갈 필요가 전혀 없다는 어머니의 판단이셨다. 나도 그 생각에 찬성했다. 왜냐하면 선생님은 늘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이 되려면 따뜻한 인간미와 실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시면 우리들의 실력을 키워 주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하신다.

신용점수 쌓기 등으로 믿음 가르쳐

선생님은 우리가 나중에 커서 성공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시는 것이다. 선생님은 우리의 공부 어머니인 셈이다. 공부를 그렇게 확실하게 시키시는데도 공부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시는 게 있다. 그것은 따뜻한 인간미다. 한자 급수 시험 떨어지는 것은 괜찮은데, 너희들이 자신감을 잃어버릴까 그게 걱정이 되어서 선생님은 걱정이란다.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길러라, 남을 사랑하려면 자기 자신을 먼저 사랑해라, 청소와 정리 정돈은 기본이다 등등 선생님은 매일 수업 시작 전 10분 동안 말씀해 주신다.

과연 지구상에 이경순 선생님 같은 분이 계실까? 아마도 우리를 그렇게 걱정하시고 우리의 공부를 위해 목숨의 소중함을 돌같이 보는 그런 훌륭한 선생님은 안 계실 것이다. 선생님은 우리의 현재보다는 우리 새천년 꿈나무들의 미래를 더 생각하신다. 항상 엄하시지만 여기서 선생님의 사랑을 나는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선생님은 이 세상 그 어떤 위인보다 내가 존경하는 선생님이다. 선생님 사랑해요. 또 존경합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