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장난감 제작을 통해 기후 변화 대응 생각하기

이산화탄소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면 지구의 기온은 계속 상승하게 된다. 착시 현상을 이용해 간단한 장난감을 제작하는 수업으로 기후 변화의 문제에 흥미를 갖고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를 줄 수 있다.

기후와 기후변화에 관한 개념 정리
‘기후’는 수십 년 동안 어느 특정한 지역의 날씨를 평균화한 것을 가리키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날씨’는 매일 경험하는 기온과 바람, 비 등의 대기 상태를 말한다. 즉, 오랜 기간 자연이나 인간들의 영향으로 기후가 변하게 되는 것을 ‘기후변화’라고 부른다. 자연적으로 기후가 변화되는 예로는 태양과 지구의 활동변화로 인한 태양 복사 에너지의 변화, 태양과 지구의 위치 변화, 화산 활동 등이 있다. 인위적으로 기후가 변화되는 것은 석유, 석탄 등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가 지속적으로 많이 방출되는 것과 토지개발로 인해 삼림이 감소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현재의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 현상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에너지 사용량 증가와 일치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IPCC 4차 보고서, 2007)가 보고된 바 있다.

IPCC란?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 변동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이라고 부른다. 1988년 지구환경 가운데 특히 온실화에 관한 종합적인 대책을 검토할 목적으로 UN 산하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조직으로 온실화의 과학적 평가, 환경이나 사회에의 영향, 그 대응 등을 검토한다. 이러한 활동은 궁극적으로는 세계의 모든 나라가 ‘지구 온난화 방지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구가 자꾸 더워지는 이유
 ‘지구 온난화’란 지구의 평균기온이 점점 더워지는 현상으로 주로 ‘온실 효과’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온실 효과’란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이 지구로 흡수됐다가 반사돼 우주로 다시 보내질 때 그 열의 일부가 대기 중의 수증기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에 흡수돼 대기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마치 식물원 온실의 유리나 비닐이 보온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런데 이 온실가스의 농도가 너무 높아져 지구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를 붙잡는 일이 많아지면서 지구의 평균 온도가 점점 더워지는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온실가스란?
지구로부터 반사되는 열을 흡수해 지구를 덥게 만드는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육불화황(SF6),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등이 있다.
이산화탄소는 다른 온실가스에 비해 열을 소유하는 능력을 떨어지지만 다른 온실가스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 존재해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기체로, 온실가스 방출량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며 자동차 매연이나 공장의 연기 등에 많이 포함돼 있다.
메탄은 쓰레기 매립지, 천연가스와 석유 생산, 동물의 소화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기체로 산업화 이전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했다.

‘장난감 제작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수업 기획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배출하면 지구의 기온은 계속 상승하게 된다. 본 환경교육 수업 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상황을 착시 현상을 이용한 간단한 장난감을 제작하는 수업이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기후 변화의 문제에 흥미를 갖고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를 얻을 수 있다.

프로그램의 목표
-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증가하면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진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면 동물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지 간단한 장난감으로 표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 운영의 유의점
-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의 구체적인 활동과 경험을 중심으로 지적 호기심과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학습의 효율화를 위해 다양한 실험 활동과 산출물 제작 활동을 운영하고 학습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도록 한다.
- 기후 변화의 위협을 알고 자연 현상의 이해, 생명 존중의 마음을 바탕으로 하는 실천력을 갖도록 지도한다.

‘장난감 제작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수업 전개

동기유발
: 기후 변화의 결과로 변화된 지역의 사진(예 : 북극 주변)을 보여주고 어느 지역인지 발표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왜 북극의 빙하가 녹아버렸는지 개방적으로 설명하도록 유도한다.

학습목표 제시 : 지구 온난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알고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면 동물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지 간단한 장난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전개하기
<활동 1> 지구 온난화의 원인 알기
동기유발에서 이루어진 개방된 질문과 대답에 대한 정리를 해준다.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증가에 따른 온도 상승의 상관관계를 그래프와 영상으로 제시해 이산화탄소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 온난화 현상이 발생함을 인식시킨다.

<활동 2>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착시 장난감 만들기
학생들에게 착시현상에 대한 경험을 묻고 착시현상을 활용한 장난감을 만들어 본다.
<준비물> 나무젓가락, 두꺼운 도화지 2장(10cm×10cm), 테이프, 북극곰 사진, 빙하가 녹은 사진, 언 빙하 위의 사진
① 두꺼운 도화지를 나무젓가락을 중심으로 테이프와 스테이플러를 찍어 고정한다. ② 한쪽 면에 북극곰을 풀로 붙인다.

학생들에게 상황을 부여한다. 에너지를 마구 사용해서 이산화탄소가 많이 배출된다면 북극곰은 어디에 살지를 생각하고 그 사진을 반대편에 붙여보게 한다. 우리가 자원 재활용과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면 북극곰은 어디에 살지 사진을 붙여보게 한다.

상황 1) 온실가스 증가로 지구 온도가 상승하는 정보를 인지하면 반대 면에 빙하가 녹은 사진을 붙인다. 상황 2) 온실가스 감소로 지구온도가 감소하는 정보를 인지하면 단단하게 언 빙하사진을 붙인다.

손바닥에 나무젓가락을 끼고 좌우로 두꺼운 도화지를 돌려서 단단히 언 빙하 위에 있는 북극곰을 관찰해 보게 한다. 학생들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면 얼음이 녹아 있는 곳에 있는 북극곰을, 자원 재활용을 실천하면 단단한 얼음을 밟고 가는 북극곰을 볼 수 있게 된다.

<활동 3> 환경 사랑 실천을 위한 나의 다짐 발표하기
북극의 환경을 개선하고 북극곰을 살리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지 각자의 다짐을 발표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기록을 남기는 학습지를 작성하거나 체크리스트를 사용한다. 이때 발표 내용은 실현 가능한 것을 생각하도록 유도한다.

이것만은 알아두세요
▲ 착시현상을 이용하면 간단한 환경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 우리가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면 지구 온난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김용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환경교육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강사, 서울시교육청 환경생태교육자문위원회 위원, 서울초등환경교육연구회 사무국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