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와 기후변화에 관한 개념 정리 ‘기후’는 수십 년 동안 어느 특정한 지역의 날씨를 평균화한 것을 가리키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날씨’는 매일 경험하는 기온과 바람, 비 등의 대기 상태를 말한다. 즉, 오랜 기간 자연이나 인간들의 영향으로 기후가 변하게 되는 것을 ‘기후변화’라고 부른다. 자연적으로 기후가 변화되는 예로는 태양과 지구의 활동변화로 인한 태양 복사 에너지의 변화, 태양과 지구의 위치 변화, 화산 활동 등이 있다. 인위적으로 기후가 변화되는 것은 석유, 석탄 등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가 지속적으로 많이 방출되는 것과 토지개발로 인해 삼림이 감소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현재의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 현상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에너지 사용량 증가와 일치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IPCC 4차 보고서, 2007)가 보고된 바 있다. IPCC란?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 변동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이라고 부른다. 1988년 지구환경 가운데 특히 온실화에 관한 종합적인 대책을 검토할 목적으로 UN 산하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조직으로 온실화의 과학적 평가, 환경이나
[PART VIEW]국어, 수학, 과학, 사회 등의 교과 교육과 같이 환경교육도 고유한 교육목표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식’, ‘기능’, ‘태도’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목표와 달리 환경교육은 ‘행동’과 ‘참여’를 포함하고 있다. 환경교육의 목표는 ‘학교 환경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지식 및 인식(K), 기능(S), 가치 및 태도(A), 행동 및 참여(P)로 나누어 영어의 대문자로 표기해 구분할 수 있다. 지식 및 인식은 환경에 관한 사실, 개념, 일반화, 법칙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능은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에 관한 자료 수집과 해석, 의사결정 기능의 함양에 중점을 두었다. 가치 및 태도에는 환경문제에 동참하려는 자발성과 소유하고 있는 환경윤리에 관해서, 행동 및 참여는 지역과 국제적 환경현안에 대한 참여와 환경을 개선하고 보전하기 위한 자발적 참여에 관해서 구성돼 있다. 환경교육에 대한 내용은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에서 제시됐고 널리 활용되고 있다. 환경교육의 대영역으로는 인간과 환경, 환경문제와 대책, 환경보전으로 나눌 수 있다. 소영역은 자연 및 인공 환경, 환경윤리, 건강과 환경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