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남사당놀이는 우리 민족의 민속놀이 중 가장 서민적이고 대중적인 놀이라고 할 수 있다. 남사당놀이는 조선시대 말엽부터 천민들에 의해 놀아지던 것으로 풍물(농악),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음), 덜미(꼭두각시놀음) 등 음악과 소리(노래), 춤을 곁들인 갖가지 곡예와 탈놀이, 인형놀이까지 함께 어우러진 종합 예술로 우리나라 민속 예술의 큰 맥을 이어오고 있다. 남사당패는 유랑연예집단으로 갖가지 재주부리기를 일삼던 무리로 본디는 독신 남자들로 이루어졌으며 여자가 들어가게 된 것은 1900년 이후부터인 남사당 말경의 일이라고 알려졌다. 남사당놀이는 관아나 부유층 등 지배 계층으로 불려 다니던 광대놀이와는 달리 서민들의 욕구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민중놀이이다. 남사당패는 성 밖이나 농 · 어촌을 돌며 주로 서민들이 사는 곳을 찾아 공연했는데 마을에 들어가 공연하는 것은 양반들의 허락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했다. 남사당패의 구성을 보면 우두머리인 꼭두쇠를 정점으로 공연을 기획하는 화주, 놀이를 관장하는 뜬쇠, 연희자인 가열, 새내기인 삐리, 나이든 저승패와 등짐꾼으로 한 패거리가 최소 40여 명에 이르렀다. 남사당놀이는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뵈기, 덜미 등 여섯 가지로 논다. 풍물은 일종의 농악놀이로 여섯 마당 중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는데 옛날에는 구경꾼을 유도하기 위해 마을을 돌며 길놀이로 시작해 공연을 알렸다. 풍물은 웃다리가락을 바탕으로 팔도의 특색 있는 장단을 고루 받아들였고 놀이의 대형이 다양하고 여성 무희들을 많이 등장시키는 특색이 있으며 무동을 태워 벌이는 묘기는 아슬아슬해 관중들의 흥미를 북돋았다. 버나는 소고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것을 담뱃대나 기다란 막대로 돌리고 하늘 높이 던지며 받아내는 놀이로, 소리꾼인 매호씨(어릿광대)가 재담과 노래를 주고받으며 진행하는 연극성이 가미된 놀이이다. 살판은 일명 곤두라고도 하는데 오늘날의 덤블링과 비슷한 땅재주이다. 어름은 얼음 위를 걷듯이 어렵다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어름산이(줄꾼)와 매호씨가 재담을 주고받으며 외줄을 타고 노는 줄타기 곡예로 앞으로 가기, 뒤로 훑기 등 열다섯 가지의 순서가 있으며 어름은 남사당놀이 여섯 마당 중 관중들이 가장 흥미있어 한다. 덧뵈기는 탈을 쓰고 노는 일종의 탈놀음으로 마당씻이, 옴탈잡이, 샌님잡이, 먹중잡이 등 네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덧뵈기는 춤보다는 재담과 연기가 우수한 신랄한 사회 풍자극이다. 덜미는 꼭두각시놀음으로 불리는 인형극으로 메모진 막을 치고 다섯 명이 그 안에 들어가 손으로 인형을 조정하며 노는 놀이다. 남사당놀이는 단순한 놀이 이상으로, 덧뵈기와 덜미는 승려와 양반들을 풍자하고 조롱하며 처첩 사이의 갈등 및 서민의 애환과 비판을 담은 뛰어난 민속극이며 풍물은 우리 민족의 가장 기본적인 음악 가락과 춤이 어우러진 기예이며 버나, 살판, 어름은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체육 기술이다. 남사당놀이 가운데 꼭두각시놀음만이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가 1988년에 여섯 마당 모두 추가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보존회가 정기공연, 초청행사 등에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또한 1997년 경기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안성남사당놀이는 안성시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전용공연장을 갖추어 매주 공연하고 있으며 해마다 안성바우덕이 축제를 열어 남사당놀이를 널리 알리고 큰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