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교는 1923년에 사범학교로 출범한 이후 9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유능한 초등교원 양성과 연수라는 외길을 걸어왔고, 1996년 교육대학원을 신설한 후 벌써 15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끊임없이 제기된 교육대학교 박사학위과정 설치 문제가 국회에서 공청회까지 마쳤으나 아직도 많은 난관들이 기다리고 있다. 그렇다고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 그러면 교대에 박사과정을 설치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수한 박사학위 프로그램과 교수 확보해야 먼저, 교대에 박사과정을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교대 박사과정 설치를 반대하거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정부를 상대로 이해와 협력을 이끌어내야 하고, 국민들의 대변인인 국회에도 지속적으로 문을 두드려야 한다. 둘째, 박사과정에 우수한 인재들을 유치해야 한다. 충분한 현장 경험을 가진 교원들 중에서 연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박사과정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내외 각종 연구물을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정보를 목적에 따라 분석 · 분류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초등교원의 전문성 향상과 학문적 성장을 위한 우수한 박사학위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우수한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우수한 교수 요원이 뒷받침되고 있다. 교대 교수 정원이 묶여 있는 현행 체제 하에서는 학부 교수들이 대학원 강의를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대학원 전임교수도 확보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교대 교육대학원에서는 전공 정원을 5~7명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는데,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박사학위 과정에서는 3~5명 수준이 가장 적절한 정원이라고 나타났다. 따라서 충분한 교수 요원을 확보해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양질의 연구 위한 재원과 연구시설 제공돼야 넷째, 박사학위 프로그램을 가동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 박사과정의 학생들은 연구원 이상의 대우가 필요하다. 외국 우수대학의 박사과정은 연구비와 장학금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대학원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해 박사과정이 운영된다면 강사료 지급에 급급할 수밖에 없다. 정부나 민간 기업 및 단체에서 수행하는 연구를 수주해 충분한 연구비를 확보해야 하고, 발전기금이나 장학금을 최대한 확보해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의 연구비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은 가정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생활비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원파견교사제도’나 ‘연수휴직제도’를 확대 · 시행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현장 경험을 후배들이자 미래 교사들에게 나누어줄 수 있는 강의 기회를 제공해 박사과정 기간 동안 기본적인 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충분한 연구 시설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미국의 많은 대학들은 박사과정의 학생들을 연구조교 또는 수업조교로 활용해 이들이 연구 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 광주교대의 경우 현재 대학원 파견교사들에게 연구실을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도 시설이 부족하다. 교수 연구실을 함께 쓰며 교수들이 확보하고 있는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초등교육학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론(Ground Theory)이 정립돼야 한다.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실험할 수 있는 부설초등학교 또는 대용초등학교를 충분히 확보해 양질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 나아가 교육연구지원센터 등을 가동해 양질의 박사학위 논문들이 쏟아져 나오도록 해야 한다. 박사과정 설치가 결정되기에 앞서 각 교대에서는 지금부터 충분한 준비가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