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수업과 생활지도를 병행하는 것이 무척 힘이 듭니다"

mentee
교직생활에 대해 처음에는 막연히 수업만 잘하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경험이 쌓이면서 생활지도 역시 무척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깨달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점 더 높은 수준의 전문성이 요구되면서 수업준비도 벅찬데, 생활지도까지 함께 신경을 쓰려니 어려운 점이 많이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수업과 생활지도 두 가지를 모두 무리 없이 잘해낼 수 있을까요?

mentor-김웅철 | 제주 대정고 수석교사
교과지도와 학생지도는 별개의 문제가 아닌 하나
교단에서 학생들과 씨름하다 보면 수업시간과 학급활동 시간, 그리고 생활지도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무슨 방법을 써야 일관되게 지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되지요. 간혹 선생님들이 “난 수업만 잘하면 된다. 생활지도야 학생부 선생님들이 하는 거지 뭐” 라는 말씀을 하기도 하지만, 제 경험으로는 교과지도와 학생지도는 별개가 아닙니다.
저는 교육자로서의 길을 걷는데 잊지 말고 실천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공부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아정체성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현재의 학생실력수준을 교사와 학생 서로 간에 인정하고 학습자의 부족한 분야를 보충하려면 솔직한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더욱이 요즘은 수준별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은 것부터 칭찬하는 방법으로 학습자 개개인이 모르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자기중심학습을 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가 됐습니다. 따라서 교실수업과 교내외 생활지도까지 소홀함이 없어야 합니다.

수업에 학생들의 입장 반영해야
가령 교재내용에 청소년흡연으로 인한 해악이 정의적으로 학습목표의 일부가 되었다면 음주, 흡연 등으로 주목받는 학생들에게는 고통의 시간일 것입니다. 이때 학생들에게 빠져나갈 기회를 주거나 자신들의 음주 흡연사실을 반성하고 개전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도와줘야 수업목표에 도달할 수도 있고 학생지도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흡연만 떼어놓고 생각할 때 흡연학생 자신 때문에 타인이 간접흡연의 폐해를 입는 것이 온당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하면 금연에 이르게 할 수 있음을 경험했습니다.
선생님들이 간과하기 쉬운 가정환경은 대단히 중요한 변수입니다. 스스로 사회적 약자라고 여기는 빈곤층 학생들이 수업에 몰입하기는 무척 어렵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가정이 재정적으로 파탄 난 경우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합니다. 이런 경우 영어교사인 저는 ‘온실 속의 꽃보다 바람 맞은 들꽃이 더 향기롭다’, ‘지진 난 땅에서도 샘물을 찾을 수 있다’같은 속담과 모네와 마네에 관한 이야기를 영어로 설명하며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려 했습니다. 난감해질 때도 있겠지만 이럴 때는 이해는 물론 인내와 사랑이 필요하겠지요.

친근감과 신뢰를 듬뿍 안겨주는 상담이 최고의 영약
고향에서 교사생활을 시작한 저는 초년병시절 생활지도를 담당하면서 우범지역을 돌아보는 교외지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그러한 활동을 통해 생활의 이모저모를 잘 파악해두니 학생들 사이에서 ‘저 선생님께는 사실을 털어놓고 혹 잘못한 것이 있다면 용서를 받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이 돌았고, 당시 유행하던 TV 드라마의 주인공인 형사 ‘콜롬보’라는 별명도 얻게 됐습니다. 그것이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는데 그 시절부터 체득한 생활지도의 경험은 가장 소중한 학생지도의 자원이 되고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어렵게 살아가던 학생들 중에 불량서클을 결성하는 경우가 흔했지요. 저는 두 개의 불량서클을 용기를 내 해체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서도 수업시간에는 늪에 빠져버린 학생들에게 학업의 즐거움을 주기 위해 여러 방법을 써가면서 교실수업과 학생지도를 같은 맥락에서 지도해나갔습니다. 물론 친근감과 신뢰를 듬뿍 안겨주는 상담이 최고의 영약이었지요.
외국에서 연수를 받을 때 학급담임 선생님과 카운슬러 선생님들이 활동 중에 유기적인 협동관계를 긴밀히 유지하며, 학생을 위해 헌신적으로 교단을 지켜나가는 모습에 크게 공감했던 적이 있습니다. 우리라고 다를까요.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페스탈로치와 신사임당의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가 다르지 않듯, 인성교육과 지식교육이 한 뿌리를 가진 하나의 교육이라는 점을 반드시 명심해 두었으면 합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