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좋아하시나요? 찍히는 것이 아닌 찍는 것. 집집마다 '디카' 한 대씩은 있다고 하니 아마 익숙하실 듯합니다. 그 사진 이야기 한번 할까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사진을 얘기하는 예술, 인생 이야기지요.
대학 사진교육의 1세대인 한정식 교수가 쓴 <사진, 예술로 가는 길>은 제목 그대로 사진과 예술에 대해 쓴 글입니다. 그러나 백주 대낮에 수백만원짜리 기계로 무장한 채, 예쁜 모델을 동반해 몰려다니는 사람들이 원할 만한 내용은 없으니 기대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소개글은 실기를 중심으로 꾸몄다고 하지만 그 실기는 조작법이 아닙니다. 플래시는 어떻게 써야 하는지, 구도를 어찌해야 하는지는 당연히 들어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진에 초보라도 예술을 체험하고 싶다면, 진지한 삶을 느끼고 싶은 독자라면 누구나 책 어느 곳을 뽑아 읽어도 그만입니다.
삶이 진지해야 진지한 사진이 나온다

저자가 말하는 사진기술은 카메라기교가 아닌 사고, 태도, 행동입니다. 저자는 사진가의 태도부터 문제삼고 나옵니다.
"같은 느낌, 같은 생각을 되풀이해서 찍고, 발표하고 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도 없다. 사진가의 삶이 진지해야 진지한 사진이 나오는 것이지, 사진을 오래해야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아름다운 말, 듣기 좋은 말이 듣는 이의 마음을 움직이지는 못한다. 보고 또 보아도 물리지 않는 사진은 기법이 신기한 사진이 아니라 내용이 깊은 사진이다."지극히 당연한 이야기지만 우리 현실은 그렇지 않지요. 새롭게 보고, 느끼고 깨달아야 좋은 작품이 나오고 음미할 수 있는 인생을 일구는 법.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 좋다는 소재와 장소를 찾아다니는 것도 헛수고입니다. "새로운 사물을 찾는 것이 아니라 흔한 사물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는 작업, 이것이 예술로서의 사진 작업"이라고 규정합니다. 더 나아가 사물이 가진 의미를 찾으려 애쓰기보다 어떻게 보이고, 어떻게 느껴졌는가를 찾아야한다고 주장합니다. "내가 사물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지 사물이 가진 의미를 찾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이지요.
디지털 사진에 대한 우려도 그에게는 기우일 뿐입니다. "디지털 기술로 해서 사진은 그 앞날이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하고 변화할 것"이지만 "사진 기술이 어떻게 바뀌든 진지한 사진가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입니다.
감동이 없으면 한 장의 값싼 인화지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tier-Bresson)의 '결정적 순간'은 사진 초보자에도 익숙한 용어입니다. 그 결정적 순간이 내게는 언제 올까 조바심을 내기도 하겠지만 저자의 대답은 "그런 순간은 없다"입니다.
"내게 어떤 느낌이 느껴질 때, 그때가 바로 '결정적 순간'이다. 정물을 찍은 사진도 결정적 순간일 수 있고, 아무리 기막힌 한 순간을 잡았어도 별 의미가 없으면 그것은 결정적 순간으로서의 가치가 없다. 내가 좋아서 찍으면 그것이 결정적 순간이지 결정적 순간이 따로 있어서 그것을 기다렸다가 찍는 것이 아니다."결정적 순간은 사랑하는 순간일 수도, 행복을 느끼는 순간일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많은 임금을 받고 명예를 가진다 해도 감동이 없다면 행복도 사랑도 없습니다. 어느날 문득 <올드보이>처럼 "누구냐? 넌"하고 스스로 반문하게 되겠지요.
"이게 기념사진이지 무슨 작품이야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진이 좋으면 저절로 예술작품이 되는 것이지 예술작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기념으로 찍었어도 보는 사람에게 감동을 주고 아름다움을 전해 주면 그게 작품이 되는 것이고 예술적 목적으로 찍었어도 아무런 감흥을 일으키지 못한다면 반짝거리는 한 장의 값싼 인화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 책 사진책이 맞기는 한 것일까요? 사진이라는 단어에 삶, 예술, 사랑 등만 대입해도 훌륭한 잠언집이 될 듯합니다. "정강이를 흐르는 빛을 볼 때마다, 빛을 이용해서 발을 찍은 것이 아니라, 발을 이용해 빛을 찍은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다"거나 "인생은 등산하는 것과 달라서 목표를 미리 정하고 그에 따라 사는 경우란 거의 없다"는 고백들은 그냥 흘리기에 너무 무겁습니다.
나른한 오후 여러분은 감흥을 일으키는 사진(삶, 사랑, 행복) 한 장 인화하고 싶은 생각 없으신지요?
<追伸>몇 달 전 이호성 사건이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왕년의 홈런왕이자 이호성의 선배였던 김봉연 씨가 신문 인터뷰에서 스포츠 지도자들의 책임을 거론하면서 “지도자들 탓이 크다. 선수들을 똑똑하게 키우면 자기 자리를 차지할까봐 은근히 겁나서 공부를 안 시킨다. 정보를 차단해 선수들을 다루기 쉬운 ‘운동쟁이’로 만든다. 공부를 하면 합리적 주장이나 항의도 할 테니 통제도 어렵고 승패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걱정에 무조건 때려잡는다"고 했습니다.
중학교 국어교사로도 근무했던 저자도 비슷한 한마디 하셨더군요.
"선생이라는 사람의 역할이 참으로 중요하다. 배우는 사람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것이 선생이지, 자기 식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선생은 아니다. 배우는 사람 스스로가 제 길을 찾아내려 노력해야지 선생에게 기대서는 절대로 자립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눈빛. 1만 2000원
사진과 관련됐지만 함께 읽고 보면 좋을 책들<그 섬에 내가 있었네> 故 김영갑의 사진 에세이집. 그를 사로잡아버린 제주도와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가 진솔하게 담겨 있다. 더 이상 사진을 찍을 수 없게 된 사진가의 절망, 그 속에 지워지지 않는 희망이 가슴 뭉클한 감동을 안겨준다. 그의 사진 주제인 '외로움과 평화'가 가장 잘 표현된 사진 70여 컷이 수록되어 있다. 휴먼앤북스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 사진작가 김기찬은 지난 30여 년 동안 서울의 골목 안 풍경을 고집스레 프레임에 담아 왔고, 글을 쓴 시인 황인숙 역시 서울에서 태어나 남산 언저리 골목 동네에 터를 잡고 시력을 다듬어 왔다. 지금은 사라져 구경조차 할 수 없지만 가슴을 덥혀주기에 충분한 골목길에 대한 애틋한 보고서라 할 수 있다. 샘터